반응형
반응형

슈퍼보스들은 성과에 대한 요구를 거듭 높이면서 직원들을 볶아댄다.
만약 그들이 닦달하지 않는다면 그때가 바로 걱정해야 할 순간이다.
슈퍼보스들은 단순히 뛰어난 성과를 원하는 게 아니다.
그들은 세계적인 수준의 성과를 거두기를 기대한다.
그들은 뛰어난 사람들이 자기 한계를 넘어서게 만든다.
불가능한 일을 목표로 설정한다.
- 시드니 핑켈스타인, ‘슈퍼 보스’에서 

우리 모두는 스스로 평가하는 자신의 능력보다
훨씬 높은 수준의 성과를 낼 수 있는 잠재력을 갖고 있습니다.
훌륭한 상사는 작은 성취에 만족하지 않고,
직원들이 가진 무한 잠재력을 다 개발할 수 있도록,
그들 스스로 한계를 시험할 수 있도록 계속해서 더 높은 목표를 부여합니다.
상사가 나를 닦달하지 않으면 그때가 바로 걱정해야 할 순간입니다.

반응형
반응형

소중한 기억이
있는 것만큼 중요한 것은
그것을 계속 끌고 가는 것일 텐데
이 소중한 기억은 휘발성이 남달라서
자꾸 사라지려 든다. 불행은 접착성이 강해서
가만히 두어도 삶에 딱 달라붙어 있는데, 소중한
기억은 금방 닳기 때문에 관리를 해줘야 한다.
소중한 기억이 지뢰처럼 계속 폭발할 수 있도록.
그러면 소중한 비밀은 일회성에서 벗어나
간헐적으로 나를 미움에서
구출할 수 있다.


- 문보영의《준최선의 롱런》중에서 -


* 소중한 것일수록 휘발성이 강합니다.
잘 날아가고 너무 쉽게 잊혀집니다. 그러다가
그것을 잃었을 때 비로소 소중함을 다시 깨닫게
됩니다. 맑은 공기가 얼마나 소중한지, 평범한 일상,
일상의 행복이 얼마나 값진 것인지 그 일상을
잃었을 때 알게 됩니다. 소중한 것은 결코
일회성이 아닙니다. 우리 삶 속에 깊숙히
들어와 매일매일 반복됩니다.
잊어서는 안 됩니다.

반응형

'생활의 발견 >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육의 시간, 영의 시간  (0) 2020.06.24
산사(山寺)를 찾는 이유  (0) 2020.06.23
하지 않을 의지  (0) 2020.06.22
이별의 이유  (0) 2020.06.19
바늘구멍  (0) 2020.06.18
반응형

사람들이
농담으로 말하듯이,
우리가 자유 의지를 가지고 있지 않을지
모르지만, 하지 않을 의지는 가지고 있다.
우리는 도덕적인 행동을 할 수는 없어도
충동은 억누를 수 있다. 심지어
어떤 충동은 완전히
뒤집을 수 있다.


- 데이비드 브룩스의《소셜 애니멀》중에서 -


* 하지 않을 의지도 중요합니다.
그 의지를 어떤 순간에 발휘하느냐가 문제입니다.
돌아보면 '나'만을 생각할 때 나오는 행동은 늘 충동에
가까웠습니다. '우리'를 생각하니 내 행동에 의지가
담기고 그 뒤에 더 많은 의미가 따라오는 것을
경험합니다. 그 어느 때 보다 우리 모두
'우리'를 생각해야 할 때입니다.
 

 

반응형

'생활의 발견 >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산사(山寺)를 찾는 이유  (0) 2020.06.23
소중한 기억  (0) 2020.06.22
이별의 이유  (0) 2020.06.19
바늘구멍  (0) 2020.06.18
'손 씻기'를 반복하면서...  (0) 2020.06.17
반응형

나무늘보는 어떻게 멸종하지 않을 수 있었을까?

나무늘보는 가장 느린 동물의 대명사로 여겨지는 빈치류의 동물로 다양한 창작물에서 게으름뱅이 역할로 자주 등장하는 동물이다. 나무늘보의 이름은 전세계적으로 비슷한 뜻을 가지고 있는데 영어로 Sloth(나태) 일본어로도 게으름뱅이를 뜻하는 나마케모노, 프랑스어와 독일어, 스페인어와 러시아어 등등에서도 모두 게으르다는 뜻을 가지고 있다.

 

나무늘보는 너무 느린 움직임 탓에 무능력한 동물이라 여겨지기 때문에 어떻게 나무늘보가 지금까지 멸종하지 않을 수 있었는지 의아해 하는 사람들이 적지 않을 것이다. 하지만 이런 인식과는 달리 실제로 나무늘보는 나름대로의 생존전략에 따라 진화해 왔다.

 

나무늘보의 생존전략은 포식자의 눈에 최대한 띄지 않는 것인데 근육량을 줄여 칼로리 소모를 줄이는 방식으로 진화해왔기 때문에 필연적으로 움직임이 느려지게 되었다. 하지만 그런 만큼 신진대사가 극단적으로 느려서 아주 적은 양의 먹이로도 살아갈 수 있는데 하루에 3장 정도의 나뭇잎만 먹어도 생존이 가능한 수준이라고 한다.

 

나무늘보는 매우 가볍기 때문에 나무에서 의식주를 해결하는 것이 가능하며 1주일에 한번 정도 배설을 할 때를 제외하고 나무에서 내려오지 않는다. 나무에 올라가 있을 때의 나무 늘보는 거의 움직이지 않기 때문에 털에 녹조류가 껴 자연적으로 의태가 가능하기 때문에 천적의 눈에 잘 띄지 않는다.

 

나무늘보의 털 내부에는 최대 900마리의 나방과 딱정벌레의 서식처가 되어 공생하는데, 이들은 나무늘보 털 속에서 자라는 해로운 진드기와 세균들을 먹어 치우며 살고 있다. 또한 나무늘보의 피부엔 최대 81종의 곰팡이가 자라는데 이들도 서식처를 제공받는 대신 주변에 항생 물질을 분비해 나무늘보를 감염의 위험에서 지켜주고 있다.

 

느린 행동 탓인지 나무늘보에겐 공격성이 없다고 알려져 있지만 실제로 야생에서 나무늘보를 위협하게 되는 경우 이빨을 보이거나 발톱을 휘두르는 공격성을 보인다고 한다. 이때의 나무늘보는 비교적 빠른 속도로 움직이기도 하고 상당히 길고 날카로울 발톱을 가지고 있을뿐더러 그 안에 많은 박테리아가 살고 있으므로 나무늘보에 의해 상처를 입었을 시 병원에서 제대로 된 치료를 받아야 한다. 

 

나무늘보가 맛이 없어서 포식자들이 잡아먹지 않아 멸종하지 않았다는 통념과 달리 포식자들은 나무늘보를 발견할 수 없는 것뿐 눈에 띈 나무늘보를 맛이 없다는 이유로 놔주지는 않는다. 때문에 배변을 끝내고 올라가던 중에 포식자의 눈에 띄어 명을 달리하는 나무늘보들도 종종 목격된다.

 

멸종하지 않았을 뿐이지 현재 나무늘보는 멸종위기종으로 분류되고 있는데 인간에 의해 서식처인 정글이 빠른 속도로 파괴되고 있기 때문이다.

 

http://www.sideview.co.kr/news/articleView.html?idxno=2122

 

나무늘보는 어떻게 멸종하지 않을 수 있었을까? - 인터넷신문사 사이드뷰

나무늘보는 가장 느린 동물의 대명사로 여겨지는 빈치류의 동물로 다양한 창작물에서 게으름뱅이 역할로 자주 등장하는 동물이다. 나무늘보의 이름은 전세계적으로 비슷한 뜻을 가지고 있는데

www.sideview.co.kr

 

반응형
반응형
반응형
반응형

나는 성공의 열쇠가 무엇인지는 모르지만,
실패의 열쇠가 무엇인지는 알고 있다.
그것은 모든 사람을 만족시키려고 하는 것이다.
- 빌 코즈비 (Bill Cosby), 미국 배우 

모든 사람의 욕구에 다 맞추려고 하다보면
단 한사람의 욕구도 충족시키지 못할 수도 있습니다.
여러 가지 일을 동시에 추진하다 보면
한 가지 일에서도 성공하기 힘든 것 역시 같은 이치입니다.
고객, 업무, 사업, 제품 할 것 없이 전략적인 포기와 더불어
선택된 부분에 대해 집중할 줄 아는 지혜가 필요합니다.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