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반응형

20대에는 미친 듯이 몰아치는 열정만 빛나 보였는데,
나이가 들수록 '열정'보다 '열심'이 미덥다.
화려하고 요란한 뜨거움 보다 우직한 성실함에게
웃으며 손을 들어주고 싶다.
눈부시게 잠깐 빛나는 사람보다
평범한 날들이 쌓여 은은히 빛나는 사람에게 손을 들어주고 싶다.
- 위서현, ‘뜨거운 위로 한 그릇’에서

 

 

열정이 성공을 만듭니다.
그러나 순간적인 불타오름,
남에게 피해를 주는 뜨거움이 아닌,
묵묵히 오래가는 뚝배기 같은 열정이라야 진정한 의미를 가집니다.
인생은 단기 승부가 아니기 때문이고,
인생은 남과 함께 만들어갈 때 비로소 완성되는 것이기 때문입니다.

반응형
반응형

두려움은 인간이 만들어낸 악마의 무기이다.
확신과 신념은 이러한 악마를 물리치고
성공적인 삶을 살아가기 위해 꼭 필요한 인간의 무기다.
이 신념에는 위대한 힘이 있다.
신념은 좌절과 실패에 쉽게 무릎 꿇지 않는 자들을 지지하는
우주의 불가항력적인 힘과 연결되는 고리이다.
- 나폴레온 힐

 

대다수 실패자들은
스스로가 마음속에 심어 놓은 한계 때문에 실패합니다.
부정적인 마음과 자기 의심이 성공을 가로막는 주요 장애물입니다.
확신과 신념으로 두려움을 제거하는 것이
성공을 향한 첫 걸음입니다.

 

반응형
반응형

 의사에게 살해 당하지 않는 47가지 방법, 마이크로소프트웨어 2014 (월간) 1월호

 

의사에게 살해 당하지 않는 47가지 방법
국내도서
저자 : 곤도 마코토 / 이근아역
출판 : 더난출판 2013.12.02
상세보기

 

마이크로소프트웨어 (월간) 1월호
국내도서
저자 : 마소인터렉티브편집부
출판 : 마소인터렉티브(잡지) 2013.12.30
상세보기

 

 


[추천사] 과잉 진료의 현실을 되짚어보는 기회가 되길 바라며
[감사의 글] 제60회 기쿠치간상을 수상하며
[시작하는 글] 문제는 ‘병’이 아니라 ‘치료법’이다

PART 1 의사가 병을 만들고 환자를 만든다
01 환자는 병원의 ‘봉’이 아니다!
02 병원에 자주 가는 사람일수록 빨리 죽는다
03 노화 현상을 질병으로 봐서는 안 된다
04 ‘혈압 130’은 위험 수치가 아니다
05 혈당치를 약으로 낮추면 부작용만 커진다
06 콜레스테롤 약으로는 병을 예방할 수 없다
07 암 오진이 사람 잡는다
08 암의 조기 발견은 행운이 아니다
09 암 수술하면 사망률이 높아진다
10 한 번의 CT 촬영으로도 발암 위험이 있다
11 의사를 믿을수록 심장병에 걸릴 확률이 높다

PART 2 병을 고치려고 싸우지 마라
12 3종류 이상의 약을 한꺼번에 먹지 마라
13 감기에 걸렸을 때 항생제 먹지 마라
14 항암 치료가 시한부 인생을 만든다
15 암은 건드리지 말고 방치하는 편이 낫다
16 습관적으로 의사에게 약을 처방받지 마라
17 암 환자의 통증을 다스리는 법
18 암 방치요법은 환자의 삶의 질을 높여준다
19 편안하게 죽는다는 것은 자연스럽게 죽는 것이다

PART 3 암 검진과 수술 함부로 받지 마라
20 암 검진은 안 받는 편이 낫다
21 유방암, 자궁경부암은 절제 수술하지 마라
22 위 절제 수술보다 후유증이 더 무섭다
23 1센티미터 미만의 동맥류는 파열 가능성이 낮다
24 채소주스, 면역요법 등 수상한 암 치료법에 주의하라
25 면역력으로는 암을 이길 수 없다
26 수술로 인한 의료사고가 너무 잦다

PART 4 잘못된 건강 상식에 속지 마라
27 체중과 콜레스테롤을 함부로 줄이지 마라
28 영양제보다 매일 달걀과 우유를 먹어라
29 술, 알고 마시면 약이 된다
30 다시마나 미역을 과도하게 섭취하지 마라
31 콜라겐으로 피부는 탱탱해지지 않는다
32 염분이 고혈압에 나쁘다는 것은 거짓이다
33 커피는 암, 당뇨병, 뇌졸중 예방에 좋다

PART 5 내 몸 살리려면 이것만은 알아두자
34 건강해지려면 아침형 인간이 되라
35 지나친 청결은 도리어 몸에 해롭다
36 큰 병원에서 환자는 피험자일 뿐이다
37 스킨십은 통증과 스트레스를 줄여준다
38 입을 움직일수록 건강해진다
39 걷지 않으면 모든 것을 잃는다
40 독감 예방접종은 하지 않아도 된다
41 ‘내버려두면 낫는다’고 생각하라

PART 6 웰다잉, 죽음을 어떻게 맞이할 것인가
42 건강하게 오래 살 수 있는 네 가지 습관
43 희로애락이 강한 사람일수록 치매에 안 걸린다
44 100세까지 일할 수 있는 인생을 설계하라
45 당신도 암에서 예외일 수는 없다
46 자연사를 선택하면 평온한 죽음을 맞을 수 있다
47 죽음을 대비해 사전의료의향서를 써 놓자

반응형
반응형

실수는 행동하는 자의 특권이다.
실수를 할까 두려워하는 것은 관료주의의 요람이고,
모든 발전의 적이다.
100퍼센트 옳은 결정이란 없다.
우리는 실수를 얼마든지 허락한다.
직원들에게 일종의 실수 면허증을 만들어주었다.
- 잉바르 캄프라드, 이케아 회장 (‘이케아 불편을 팔다’에서)

 

 

우리는 누구나 도전을 통해 성취하고, 실수를 통해 배웁니다.
그러나 성장할수록, 성공할수록 실수를 두려워합니다.
더 큰 문제는 실수와 실패가 두려워
새로운 도전을 망설인다는 데 있습니다.
실수를 용인하는 것을 넘어 실수를 장려해야 하는 이유가 여기에 있습니다.

반응형
반응형

내가 성공한 것은 돈도 기술도 계획도 없었기 때문이다.
돈이 없어 한 푼도 귀하게 썼고,
기술을 몰라 보통 사람도 편히 쓸 수 있는
서비스를 개발할 수 있었으며,
계획을 세우지 않아 변화하는 세상에
능동적으로 반응 할 수 있었다.
- 마윈, 알리바바 회장

 

누군가에겐 돈이 없는 것이 좌절과 실패의 이유가 되고,
누군가에겐 성공의 원인이 되기도 합니다.
풍족함 보다는 결핍에서 오는 간절함이
해답을 찾게 해줍니다.
조건이 아닌 생각이 미래를 결정합니다.

반응형
반응형

회사를 영어로 말하면 컴퍼니(company)다.
이 컴퍼니라는 것은 함께(com), 퍼니(빵),
즉 함께 빵을 먹는 동료들이라는 뜻이다.
그러나 컴퍼니로서 더욱 중요한 것은 먹는 빵 이상으로
뜻을 함께 먹는, 뜻을 공유하는 것이다.
동료가 되기 위해서 그 이상으로 중요한 것은 없다.
- 손정의 소프트뱅크 회장, ‘지금 너희에게 필요한 것은’에서             

 

 

흔히들, 회사는 이익공동체라 합니다.
어떤 이해관계로 인해 구성원간 계약관계로 이뤄진 조직을 말합니다.
만약에 이를 이해타산이 아닌, 뜻을 공유하는 조직으로
만들 수 있다면, 그 힘은 엄청나게 커질 것입니다.
뜻과 의미, 가치를 공유하는 데 더 많은 시간과 노력을 투자해야합니다.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