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반응형

한 사람의 힘으로는 다수의 힘을 이길 수 없다.
한 사람의 지혜로는 만물의 이치를 알기 어렵다.
한 사람의 지혜와 힘보다는
온 백성의 지혜와 힘을 쓰는 것이 낫다.
물론 한 사람의 생각만으로 일을 처리해도 성공한 경우가 있지만
피로가 너무 클 것이고,
실패할 경우 엉망진창이 되고 만다.
-한비자

 

스티브 잡스 사례처럼
‘한 사람이 10만명을 먹여 살릴 수 있는
새로운 시대’가 열리고 있습니다.
그러나 잡스 사후 애플이 내리막길을 걷는데서 알 수 있듯이
소수에 의존하는 조직은 수많은 문제를 안고 있습니다.
(적재적소에 인재를 배치하고, 팀원들이 하나가 되는)
팀보다 뛰어난 선수는 없습니다.

 

반응형
반응형
미국 시인 존 그린리프 휘티어는
‘인간이 사용하는 가장 슬픈 말은 무엇일까?’라는 물음에 이렇게 답했다.
‘말이든 글이든 인간의 언어 중 가장 슬픈 말은 이것이다.
“아, 그때 해볼걸!”
(Of all sad words of tongue or pen,
the saddest are these;
“It might have been!”
-이미도, ‘똑똑한 식스팩’에서 인용

이미도 선생은 영어단어 Risk의 본질적 뜻은
도전이라 말합니다.
따라서 ‘take a risk’는 ‘위험을 감수하라’ 보다는
‘도전하라’, ‘모험하라’로 해석해야 한다고 주장합니다.
가장 위험한 도전은 도전하지 않는 도전입니다.
(The biggest risk is not taking one.)

 

반응형
반응형

새벽은 당신 인생의 시작처럼, 석양은 당신 인생의 끝인 것처럼 살아라. 그러면 당신은 당신에게 생기는 새 힘과 새 지식이 남들에 대한 당신의 가치에 근거한 것임을 알게 될 것이다.

- 존 러스킨, <근대화가론> 의 저자 -

반응형
반응형

비전은 많이 오용되고 남용되는 단어 중 하나다. 당신이 조직을 멋지게 운영한다면 다른 행성에서 온 방문객이라도 문서를 보지 않고 비전을 추측해낼 것이다. - 짐 콜린스 -

반응형
반응형

구성원이 시스템의 일체감을 한번 경험하게 되면, 자신의 능력을 최대한 발휘하려고 노력하게 된다. 이는 마치 우주비행사가 처음으로 우주공간에서 지구를 바라보고 세계가 하나라는 사실을 깨닫게 되면 인생관이 바뀌는 것과 마찬가지다. 조직생활에서도 이와 똑같은 현상이 일어나므로 일체감의 원칙을 적절히 이용해야 한다.

- 데이빗 쿠퍼라이더, 케이스 웨스턴 리저브 대학교수 -

반응형
반응형
남들과 다르다는 이유만으로 꼭 필요한 사람이 되는 것은 아니다.
하지만 꼭 필요한 사람이 되는 유일한 방법은
남들과 달라지는 것이다.
남들과 다를 것이 없다면
무수한 사람들 중 한명에 불과하다.
대체불가능한 사람만이 살아남을 수 있다.
-세스 고딘

‘린치핀’에서 아인슈타인의 글을 함께 보내드립니다.
‘불을 발견한 사람, 먹을 수 있는 식물을 처음 재배한 사람,
증기기관을 발명한 사람 등등.
보통 사람들과는 다르게 생각하는 창조적 인물들이 없었다면
사회는 발전하지 못했다.
달리 말하면,
사람의 개성을 키우지 않으면 사회는 진보할 수 없다.’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