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닥이 안보인다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름다운 마침표 (0) | 2024.12.10 |
---|---|
꼬리 자르기, 다리 자르기 (0) | 2024.12.09 |
부끄러움을 아는 것 (0) | 2024.12.06 |
'나는 언제나 심연의 가장자리에 있다' (0) | 2024.12.05 |
깨달음이란 (0) | 2024.12.04 |
바닥이 안보인다
아름다운 마침표 (0) | 2024.12.10 |
---|---|
꼬리 자르기, 다리 자르기 (0) | 2024.12.09 |
부끄러움을 아는 것 (0) | 2024.12.06 |
'나는 언제나 심연의 가장자리에 있다' (0) | 2024.12.05 |
깨달음이란 (0) | 2024.12.04 |
맹자는
의로움을 많이 강조했다.
악행을 미워할 뿐 아니라, 스스로
옳지 못함을 부끄럽게 여겨야 사람다운 삶을
살 수 있다는 것이다. 심지어 '부끄러운 마음이
없으면 사람이라고 할 수 없다'라고까지
말했다.
- 조윤제의 《신독, 혼자 있는 시간의 힘》 중에서 -
* 맹자는 사덕(四德)의
사단(四端)을 말했습니다. 그중에서도
수오지심(羞惡之心)을 인간이 갖춰야 할 높은
덕목으로 꼽았습니다. 자신의 부끄러움을
모르는 사람이 넘쳐나는 현실에서
깊이 되새겨볼 만한 덕목입니다.
꼬리 자르기, 다리 자르기 (0) | 2024.12.09 |
---|---|
위기 (0) | 2024.12.09 |
'나는 언제나 심연의 가장자리에 있다' (0) | 2024.12.05 |
깨달음이란 (0) | 2024.12.04 |
누군가를 사랑하게 되면 (0) | 2024.12.03 |
'차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마저
아무런 반향도 얻지 못하자 니체는 이렇게 쓴다.
"가장 깊은 영혼에서 그렇게 불렀는데도 대답 소리
하나 듣지 못하니, 이는 끔찍한 체험이다. 그것은 나를
살아 있는 사람들과의 모든 유대에서 쫓아냈다."
그런데도 그는 자신의 길을 가야 한다는 것을
알고 있었다. 하지만 그는 또한 "나는 언제나
심연의 가장자리에 있다"라는 것도
의식하고 있었다.
- 빌헬름 바이셰델의 《철학의 뒷계단》 중에서 -
* 니체가 심혈을 기울여 쓴
'차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가 당대에는
빛을 보지 못했으나 이제는 고전 중의 고전으로
꼽히는 명작이 되었습니다. 당시의 '우매한' 군중
속에서 초인을 소환하는 공허한 외침은 니체를
심연의 가장자리에 서게 했습니다. 그래서
말년 10년을 정신병원에서 보내야 했던
니체의 절망이 아프게 다가옵니다.
위기 (0) | 2024.12.09 |
---|---|
부끄러움을 아는 것 (0) | 2024.12.06 |
깨달음이란 (0) | 2024.12.04 |
누군가를 사랑하게 되면 (0) | 2024.12.03 |
세포가 춤추고 있다고 상상하라 (0) | 2024.12.02 |
인생에 도움 되는
깨달음을 준다면 책은
이 세상에 남기는 작가들의 유언이다.
매일매일 유언을 쓰는 것처럼 글을 쓰는 삶은
자신을 격려하는 일이며, 천국을 미리 맛보는 일이다.
내 글쓰기는 실력이 부족하고 거칠지라도 계속
되어야겠다. 죽음이라는 불가피한 순간을
맞이할 때까지 나의 유언을 먼저
나에게 들려주고 싶다.
- 송수진의 《다시 '나'의 삶으로》 중에서 -
* 깨달음이란
작은 죽음 후 다시 태어남과 같습니다.
단단한 고치를 뚫고 나온 나비의 시선입니다.
애벌레 때는 볼 수 없었던 세상을 새롭게 바라보는
차원이 달라진 시선입니다. 작가는 매 순간 새로이
태어난 시선으로 천국을 미리 맛봅니다. 품어 안은
생각과 인고의 세월을 깨달음의 산고를 통해
유언처럼 세상에 내어 놓습니다.
부끄러움을 아는 것 (0) | 2024.12.06 |
---|---|
'나는 언제나 심연의 가장자리에 있다' (0) | 2024.12.05 |
누군가를 사랑하게 되면 (0) | 2024.12.03 |
세포가 춤추고 있다고 상상하라 (0) | 2024.12.02 |
첫눈 (0) | 2024.12.02 |
누군가를
사랑하게 되면
우리는 어떻게 되나요?
말도 안 되는 행동, 엉뚱한 행동을
서슴지 않고 하게 되잖아요. 그를 위해
무엇이든 할 수 있다는 생각이 들면서,
지금까지 이토록 소심하게 살아왔나
후회까지 하지요.
- 정여울의 《끝까지 쓰는 용기》 중에서 -
* 사랑에 빠지면
누구나 '초인'이 됩니다.
불가사의한 힘이 솟구칩니다.
그를 위해서는 세상에 두려울 것이 없지만,
또한 그를 잃을까 한없이 두렵기도 합니다.
절정과 절망의 나락을 오가며 극렬하게
살아있음을 느낍니다. 삶 가운데 가장
큰 축복의 선물인지도 모릅니다.
'나는 언제나 심연의 가장자리에 있다' (0) | 2024.12.05 |
---|---|
깨달음이란 (0) | 2024.12.04 |
세포가 춤추고 있다고 상상하라 (0) | 2024.12.02 |
첫눈 (0) | 2024.12.02 |
손짓 하나만으로도 (0) | 2024.11.29 |
우리는 익숙한 패턴을 깨고
더 건강하고 나은 삶을 향해 나아갈 수 있다.
지금 당장 세포가 신나게 춤을 추며 활짝 웃고
있다고 상상해보라. 더 좋은 방법은 실제로
춤추고 웃으며 몸속 세포들도
나와 똑같이 하고 있다고
상상하는 것이다.
- 에릭 프랭클린의 《세포 혁명》 중에서 -
* 명상의 기법 중에
'심상화(心象化) 명상'이 있습니다.
마음속에 생각으로 상을 떠올려 시각화하고
그것을 현상화하는 작업은 단지 상상에 그치지
않습니다. 세상의 모든 것은 생각으로부터
생성되었습니다. 세포가 춤추며 웃고
있다고 상상해 보세요. 일상의 삶도
그렇게 될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