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려움을
인지하고 인정하면
두려움의 힘이 줄어드는 방향으로
현존감이 깊어진다. 훈련을 통해서 저항을
멈추면 마귀들이 사라짐을 깨닫는다.
여전히 두렵지만 보다 큰 현존감과
자기-연민의 공간에 다시 연결되면서
선 위에 머문다.
- 타라 브랙의《끌어안음》중에서 -
* 우리 주변은 마귀들이 많습니다.
두려움의 마귀, 낙심과 절망과 공포의 마귀....
시시때때로 나타나 우리를 못살게 만듭니다.
심지어 극단의 선택으로 몰아가기도 합니다.
그 마귀를 이겨내는 것은 피하지 않는
것입니다. 뒷걸음을 치더라도
등을 보이지 않는 것입니다.
아침편지
두려움의 마귀
교황의 아우라
정체는 알 수 없지만
내면의 감각은 분명히 무언가를 느꼈다.
빛이나 소리의 느낌이었다. 섬세하지만
강렬한 힘이 느껴지는 눈부신 빛의 형태였다.
그 빛이 교황의 흰머리 아래에 보이는 깨끗한
갈색 피부와 몸을 감싼 거칠고 얼룩진 천을
밝힌 것 같았다. 길게 울려 퍼지는
현악기 혹은 바람의 선율도
들렸다.
- 로버트 휴 벤슨의《세상의 주인》중에서 -
* 사람마다
그가 내는 빛이 있습니다.
밝은 빛 어두운 빛, 맑은 빛 탁한 빛.
어떤 사람은 눈부신 아우라를 내뿜습니다.
빛의 샤워처럼 하늘에서 쏟아지는 영적 에너지가
보는 사람을 압도합니다. 교황처럼 오랜 기도와 수행,
선한 생각과 목표, 그것을 뒷받침하는 삶이
빛으로 나타나 온몸을 휘감습니다.
바람으로 다가옵니다.
귀인(貴人)
"진짜 부자들의 공통점은
좋은 인연을 알아보고 그것을
소중히 가꿔간다는 데 있죠. 그들이 인연을 통해
Having의 과실을 거두게 되는 것도 이 때문이죠."
여기서 '귀인'(貴人)이라는 단어가 생각났다.
'나에게 좋은 일이 생기도록 도와주는
귀한 사람’이란 뜻이다.
- 이서윤, 홍주연의《더 해빙》중에서 -
* 살면서
귀인을 만나는 것은 행운입니다.
그런데, 그 귀인이 "나 귀인이오"라고 쓰고
나타나는 것이 아닙니다. 묘한 악연으로도 다가옵니다.
때로는 슬쩍 스쳐 가는 사람 가운데 귀인이 있습니다.
이미 수많은 귀인을 몰라보거나 흘려보냈을지도
모릅니다. 마치 누군가가 보내준 것처럼
선물처럼 섭리처럼 만나기도 합니다.
이미 당신 옆에서 소중한 귀인이
웃고 있을지도 모릅니다.
똘레랑스
똘레랑스
다 안아줄게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교황의 아우라 (0) | 2024.07.30 |
---|---|
귀인(貴人) (0) | 2024.07.29 |
아이들의 감정 변화 (0) | 2024.07.29 |
도토리 떡잎 (0) | 2024.07.25 |
기쁨과 행복을 길어 올리는 두레박 (2) | 2024.07.24 |
아이들의 감정 변화
가끔은
나이가 어린 학생들도
강렬한 감정의 변화를 경험하고
고통스러운 기분에 휩싸이곤 합니다.
그럴 때 자신의 감정과 기분을 조절하는 방법을
알지 못한다면 엄청난 고통을 겪게 될 거예요.
이때 교사들이 숨을 들이쉬고 내쉼으로써
마음다함의 에너지를 만들어 내
학생들의 고통을 덜어준다면
더없이 아름다운 일이겠지요.
- 틱낫한, 캐서린 위어의《행복한 교사가 세상을 바꾼다》중에서 -
* 아이들의 감정은
참으로 변화무쌍합니다.
종잡을 수 없습니다. 순하고 여린 듯하면서도
격하고 분화구처럼 치솟습니다. 한 살이라도 일찍
자신의 감정 변화를 스스로 다스리는 방법을 잘
배워야 불필요한 고통을 줄일 수 있습니다.
어렵지 않습니다. 깊은 호흡 하나만
잘 배워도 감정 변화를 다스리는
능력을 얻을 수 있습니다.
도토리 떡잎
도토리에서
떡잎들이 나왔네
나는 떡갈나무가 될 거야
나는 신갈나무가 될 거야
나는 상수리나무가 될 거야
아름드리나무가 되어서
다람쥐들에게 도토리를 두루 나눠 줄 거야
그래그래 우리 나중에
다람쥐들한테 도토리 많이 나눠주자
- 최승호의 시집 《부처님의 작은 선물》 에 실린
시 〈도토리〉 중에서 -
* 저희 옹달샘에도
도토리나무가 많습니다.
떡갈나무, 신갈나무, 상수리나무, 이파리 모양에
따라 이름이 다르지만 모두 도토리나무로 통합니다.
도토리 떡잎에 다람쥐의 생존이 달려 있습니다.
떡잎이 튼실할수록 큰 나무로 자라 더 많은
도토리가 열리고, 더 많은 다람쥐들이
그 혜택을 누릴 것입니다. 그것이
자연의 순리입니다.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똘레랑스 (0) | 2024.07.29 |
---|---|
아이들의 감정 변화 (0) | 2024.07.29 |
기쁨과 행복을 길어 올리는 두레박 (2) | 2024.07.24 |
통찰력 있는 질문 (0) | 2024.07.23 |
자기 존엄 (0) | 2024.07.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