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반응형

열 명 정도가
야외 식탁 앞에 모였다. 그런데
어찌 된 일인지 아무도 고기에 손을 대지 않았다.
이유를 물었다. 왜 안 먹느냐고. 그중 한 명이 나서서
안 먹는 게 아니라 못 먹는 거라고 했다. 그제야 알게
되었다. 치아가 성한 사람이 한 명도 없었던 것이다.
오랜 노숙 생활로 건강이 좋지 않다는 것쯤은
알고 있었지만, 치아 상태가 그 정도로
심각한 줄은 몰랐다. 하물며 거기
모인 모두가 그렇다니.


- 최준영의 《가난할 권리》 중에서 -


* 고기를 먹고 싶어도
씹을 수가 없어 못 먹는 상황,
기가 막히는 광경입니다. 어디 이뿐인가요.
배가 고파도 삼킬 수 없어 못 먹고, 걷고 싶어도
다리가 불편해서 못 걷고, 보고 싶어도, 듣고 싶어도,
하고 싶어도 끝내 못 하는 일들이 참으로 많습니다.
게다가 건강을 잃으면 모든 것이 허사입니다.
건강의 핵심은 치아에 있고, 치아의 건강은
현실의 삶에 있습니다. 자기 삶을 잘
관리해야 치아도 건강해집니다.

반응형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역사의 신(神)  (0) 2023.12.27
휴식할 준비 완료!  (0) 2023.12.26
마음먹었다면 끝까지 가라  (0) 2023.12.20
헌 책이 주는 선물  (0) 2023.12.19
계절성 우울증  (0) 2023.12.18
반응형

뒤처지는 느낌이 든다는 건
네가 무언가 시작했고
포기하지 않았다는 증거잖아.
마음먹었다면, 될 때까지 해보자.
결국 꿈은 이루어질 테니까.

- 고은지의 《오늘도 잘 살았네》 중에서 -  

* 마음을 먹는다는 것은
어떤 목표와 결심을 스스로 마쳤다는 의미입니다.
자신의 인생 방향을 과거나 현재보다 미래에 두고
새로운 꿈을 향해 발돋움을 한다는 뜻도 됩니다.
익숙한 것에 안주하지 않고 마음먹는 것이
중요합니다. 마음먹었으면 끝까지 가보는
용기와 인내가 필요합니다.

반응형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휴식할 준비 완료!  (0) 2023.12.26
아무도 고기를 먹지 않았다  (0) 2023.12.21
헌 책이 주는 선물  (0) 2023.12.19
계절성 우울증  (0) 2023.12.18
질문  (0) 2023.12.17
반응형

헌책방에 새로 들어온
책을 정리할 때 나는 가장 설렌다.
누군가의 손을 거친 책에서 느껴지는 특유의
느슨한 질감, 냄새, 그리고 무엇보다 책 속에서
때때로 발견하는 흥미로운 이야깃거리들 때문이다.
새 책은 공장에서 태어나 곧장 서점으로 오는 것이라
아직 아무도 펼쳐보지 않은 상태다. 읽은 사람이
없는 책은 아직 책이 아니다. 책은 누군가가
읽었을 때 비로소 책이 된다. 읽히지 않은
책은 글자가 적힌 종이뭉치일 뿐이다.


- 윤성근의 《헌책방 기담 수집가》 중에서 -


* 낯선 거리에서
헌책방을 만나면 아주 반갑습니다.
켜켜이 쌓인 헌 책들 사이에서 보물을 발견하면
횡재라도 한 느낌입니다. 더구나 저자의 사인이나
읽은 이의 밑줄이라도 보게 되면 비밀을 훔쳐본 것처럼
설레기도 합니다. 저자가 쓴 글을 매개로
낯선 이와 만나 친구가 된 듯합니다.
헌 책이 주는 선물입니다.

반응형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무도 고기를 먹지 않았다  (0) 2023.12.21
마음먹었다면 끝까지 가라  (0) 2023.12.20
계절성 우울증  (0) 2023.12.18
질문  (0) 2023.12.17
샹젤리제 왕국  (0) 2023.12.15
반응형

날씨는 세상의 살갗이요
아침에 일어났을 때 가장 먼저 걸치는 옷과도 같다.
그래서 이상기후의 시대에 사는 우리는 기분을 망칠
위험에 늘 노출되어 있다. 인간의 신경계는 대기의
미묘한 차이를 감지한다. 구름이나 안개의
미세한 밀도 차이가 극적인 기분 변화를
불러올 수도 있다. 1980년대에 새로
등장한 "계절성 우울증"은 미국
정신의학회가 계절성 동반을
특징으로 분류하고 있다.


- 파스칼 브뤼크네르의 《우리 인생에 바람을 초대하려면》 중에서 -


* 계절성 우울증은
해가 짧아지기 시작할 때 나타나는 증상입니다.
낮 동안의 일조량이 줄어들었을 때, 세로토닌 분비량이
줄면서 우울해집니다. 계절성 우울증을 앓는 사람들은
계절이 변하는 걸 민감하게 느낍니다. 온몸의 세포가
계절의 날씨에 따라 먼저 반응하기 때문입니다.
그 반응을 알아차리고 '흐림'을 '맑음'으로
바꿀 줄 알아야 계절을 즐길 수 있습니다.

반응형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마음먹었다면 끝까지 가라  (0) 2023.12.20
헌 책이 주는 선물  (0) 2023.12.19
질문  (0) 2023.12.17
샹젤리제 왕국  (0) 2023.12.15
강아지 치료비  (1) 2023.12.14
반응형

질문

 

네가 진짜 너냐?

 

반응형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헌 책이 주는 선물  (0) 2023.12.19
계절성 우울증  (0) 2023.12.18
샹젤리제 왕국  (0) 2023.12.15
강아지 치료비  (1) 2023.12.14
스토리텔링 동화 쓰기  (0) 2023.12.13
반응형

겨울은 매양
소멸과 끝의 시간만은 아니다.
눈 덮인 산속의 모든 생명이 휴식과
절제의 시련을 통해 생성의 시간을 기다린다.
눈에 갇힌 나는 샹젤리제 왕국의 성주다. 밋밋한
삶을 못 견디는 나는 부족한 호기를 채우기 위해
엉뚱하게도 한평생 산속을 쏘다니며 나만의
자유와 홀로서기 왕국을 만들어왔다.
나의 낙원이자 피난처이기도 하다


- 박상설의 《박상설의 자연 수업》 중에서 -


* 누구나 자기만의
'샹젤리제 왕국'이 필요합니다.
휴식과 충전, 치유와 회복이 이뤄지는 곳.
몸과 마음이 지치고 힘들면 언제든 찾아갈 수 있는 곳.
사람 사이 관계가 버겁고 뒤틀릴 때 숨을 쉴 수 있는 곳.
가득 눈 덮인 겨울산에 갇혀 오도 가도 못하는 곳이면
차라리 더 좋습니다. 눈 쌓인 산과 함께 숨 쉬고
교감하며 진정한 쉼과 힐링을 경험할 수
있을 테니까요. 우리 인간도 결국은
자연의 일부입니다.

반응형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계절성 우울증  (0) 2023.12.18
질문  (0) 2023.12.17
강아지 치료비  (1) 2023.12.14
스토리텔링 동화 쓰기  (0) 2023.12.13
입을 다물라  (0) 2023.12.12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