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실시간 경복궁 Live Cam I "Gyeongbokgung", Seoul, Korea I 광화문 청와대 궁 けいふくきゅう 景福宫 서울관광 首爾風景 한국
https://www.youtube.com/live/cl87UIF0VqI
https://www.youtube.com/live/cl87UIF0VqI
비평은
우리의 관점에 도전장을 내밀거나
적어도 진지하게 고민하게끔 함으로써
성장할 기회를 제공한다. 비판받은 부분을
바꾸지 않을 수도 있고, 완전히 다른 방향으로
갈 수도 있다. 중요한 것은 결과가 아니라
과정이다. 다른 관점을 받아들이고
새로운 결정을 하는 과정을 통해
우리는 성장한다.
- 윌 구이다라의 《놀라운 환대》 중에서 -
* 비평이 없는 사회는
성장이 멈추거나 아예 죽은 사회입니다.
비평을 통해서 우리는 방향 전환을 꾀할 수 있습니다.
극단의 길도 피할 수 있습니다. 극단에 이르기 전에
비평을 받아들이고 방향을 바꾸는 것이 개인과
공동체를 살리는 길이기도 합니다. 비판과
비평을 수용하지 않는 사회는 발전이
없이 소멸되어 갈 뿐입니다.
연줄 (0) | 2025.01.06 |
---|---|
겨울 밥상의 푸른색 (0) | 2025.01.03 |
벌떡 일어난다 (0) | 2025.01.02 |
겨울엔 흙도 잠든다 (0) | 2025.01.02 |
진실을 말하는 용기 (0) | 2024.12.30 |
나는 요즘 벌떡 일어납니다
어둠이 이쪽과 저쪽으로 갈라집니다
그 사이로 비행기가 날아갑니다
방향을 틀 수 없는 것들이 있습니다
갈라진 어둠은 곧 닫힙니다
나는 거기에 갇힙니다
벌건 핏물이 올라옵니다
거기 사람 맞습니까
또 아침입니다
정말 이렇게 사는 게
맞습니까
- 손미의 시집 《우리는 이어져 있다고 믿어》 에 실린
시 〈불면〉 중에서 -
* '푸른 뱀'의 새해가 밝았습니다.
쉽게 잠들 수 없고, 겨우 잠이 들었어도 가위에
눌린 듯 벌떡벌떡 일어나 뜬눈으로 밤을 지새웁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여지없이 아침은 오고
또 다른 하루, 또 다른 한 해가 시작됩니다.
과거가 현재를 도와주고, 죽은 자가
산 자를 살린다는 한강 작가의
말이 새삼 가슴을 칩니다.
겨울 밥상의 푸른색 (0) | 2025.01.03 |
---|---|
왜 비평이 필요한가 (1) | 2025.01.02 |
겨울엔 흙도 잠든다 (0) | 2025.01.02 |
진실을 말하는 용기 (0) | 2024.12.30 |
철새 (0) | 2024.12.30 |
겨울이
쓸쓸하다고 한 것은
흙도 잠들기 때문이다. 솔직히
밭을 보아도 살아 있는 것은 무, 시금치, 파
정도이고 여름 같은 축제는 없다. 아침저녁으로
밭두둑에는 서릿발이 선다. 추운 아침에는 흰 얼음
기둥이 나타나며 무는 물론 파도 얼어 있다.
모두 잠들어 있다. 이런 밭에서는 흙을
먹는 나날은 이미 끝났다고
봐야 한다.
- 미즈카미 쓰토무의 《흙을 먹는 나날》 중에서 -
* 겨울에는 흙도, 나무도,
씨앗도 잠듭니다. 동면의 시간을 거쳐야
봄에 힘차게 흙을 뚫고 싹을 틔울 수 있습니다.
우리 인간도 하루 일과에 지쳐 잠자리에 들고,
이튿날 아침 다시 기운을 얻어 일어납니다.
모든 것은 재충전의 시간이 필요합니다.
하물며 흙도 겨울엔 잠을 잡니다.
왜 비평이 필요한가 (1) | 2025.01.02 |
---|---|
벌떡 일어난다 (0) | 2025.01.02 |
진실을 말하는 용기 (0) | 2024.12.30 |
철새 (0) | 2024.12.30 |
삐죽삐죽 올라온 흰머리 (0) | 2024.12.30 |
[python] Happy New year 2025 loop
import time
from random import randint
for i in range(1,85):
print('')
space = ''
for i in range(1,1000):
count = randint(1, 100)
while(count > 0):
space += ' '
count -= 1
if(i%10==0):
print(space + 'Happy New Year 2025🎉')
elif(i%9 == 0):
print(space + "🪅")
elif(i%5==0):
print(space +"🎈")
elif(i%8==0):
print(space + "🎈")
elif(i%7==0):
print(space + "🍁")
elif(i%6==0):
print(space + "❤️")
else:
print(space + "🔸")
space = ''
time.sleep(0.2)
[python] Scatter plot animated using python, ffmpeg (0) | 2025.01.16 |
---|---|
[python] 정렬 알고리즘 실행 시 비용 계산은 보통 실행 시간(시간 복잡도)이나 작업 횟수를 측정 (0) | 2025.01.15 |
[python] Merry christmas Tree (0) | 2024.12.24 |
[python] pair plot (1) | 2024.12.20 |
[python] Generate OTP using python (1) | 2024.12.13 |
<input type="file"> 요소에 accept="image/*;capture=camera" 속성을 추가하면, Android 장치에서 기본적으로 카메라 앱을 호출하여 이미지를 캡처할 수 있습니다. 다음은 이를 구현하는 방법과 주의사항입니다:
<input type="file" accept="image/*;capture=camera">
🏆 10 Hottest New Productivity Apps - May 2024 (0) | 2024.06.14 |
---|---|
What’s new in Flutter 3.22 (0) | 2024.05.30 |
Reverse Searching Netflix’s Federated Graph (0) | 2024.05.17 |
Get Dynamic Widget Size in Flutter (0) | 2024.05.17 |
토스가 꿈꾸는 React Native 기술의 미래 (0) | 2024.03.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