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반응형

앞서간 사람들의 생각을 알고
그들의 생각과 내 생각을 서로 맞추어보는
과정을 통해 생각이 단단해져 소신을 갖출 수
있지 않을까? 그래서 사회 비판적인 내용을
포함해 많은 책을 읽게 되었다.


- 문형배의 《호의에 대하여》 중에서 -


* 저자는 2,000권 정도의 독서를
했다 합니다. 고전을 포함해 많은 책들을
읽으면서 사고의 지평을 넓히고 인간의 깊은 내면을
읽을 수 있는 혜안을 갖게 된 게 분명합니다.
법조문을 넘어 수 많은 고전 속에서 행간을
읽으며 솔로몬과 같은 명 판결의 길을
추구했을 것입니다.

반응형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쉴 틈이 없다  (0) 2025.10.01
안창호의 '기쁜 소식'  (0) 2025.09.30
시간  (0) 2025.09.29
두려움을 마주하는 것  (0) 2025.09.26
돌아가신 아빠의 여권을 들고  (0) 2025.09.25
반응형

외로움은
모든 인간이 느끼는 감정입니다.
부정적인 감정이 아니라 감내해야 하는
감정이고, 인간을 더욱 인간답게 성숙시키는
감정이기도 합니다. 저에게 고독은 두 가지
얼굴을 보여줍니다. 자기 자신을 깊숙이
만나는 시간인 동시에, 고요함 속에
침잠해 있다 보면 하느님과 함께
있게 되는 시간이기도 합니다.


- 김민희, 한동일의《명랑 주교 유흥식》중에서 -


* 인간이 인간답게 사는 것,
참으로 어려운 일입니다. 그러나 그것이야말로
가장 기본적인 인간의 덕목입니다. 방법은 여러 가지
입니다. 외로움을 통해 스스로 내면의 성숙을 이룰 수도
있고, 신앙을 통해 영혼의 깊이를 더할 수 있습니다.
자신과 깊숙이 만나는 시간들입니다.
때로는 외로움이 그립습니다.

반응형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세포자살 '아포토시스'(Apoptosis)  (0) 2025.06.30
악수  (0) 2025.06.30
나무의 경계  (0) 2025.06.26
중단된 독서  (1) 2025.06.25
빈둥거리는 시간  (0) 2025.06.24
반응형

쉬운 길만 택한다면
나라는 그릇에 조금만 불편한 것이
채워져도 견디지 못할 것이다. 나를 불편하게 하고
나를 힘들게 하는 것. 그것이 사람이 되었든 상황이 되었든
그것들을 극복했을 때 내가 꿈꾸는 '뭐든 이뤄낼 수 있는'
사람이 될 것이다. 어떤 상황이든 나에게 주어진 환경에
대해 감사할 줄 알자. 그 모든 것이 나를
성장시키는 조력자가 될 테니까.


- 이신우의 《너를 잃고 나를 얻다》 중에서 -


* 삶의 여정에서
의미 없이 다가오는 것은 없습니다.
그럴 만한 이유와 뜻이 반드시 있습니다.
그렇게 다가오는 것 중에 자칫 쉬운 것만 선택하기가
쉽습니다. 바로 이 점을 경계해야 합니다. 고통스럽게
다가오는 것일수록 행운이 숨어있을 가능성이
큽니다. 그 고통을 이겨내는 과정에서 얻는
교훈도 큽니다. 내면의 성장도
뒤따라 옵니다.

반응형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AI 윤리'와 '한국형 챗GPT'  (0) 2025.05.16
아픔은 일어난 뒤에 사라진다  (0) 2025.05.16
나도 모르는 게 많다  (0) 2025.05.13
'통찰력의 총합'  (0) 2025.05.12
물은 바다로 흐른다  (0) 2025.05.12
반응형

겉으로는
마냥 밝고, 씩씩하고, 늘 웃고,
당차 보이는 사람일수록 실제로는
그렇지 않다는 걸 알게 된 경우가 많았다.
그럴 때마다 반전처럼 놀라기도 했다. 그런 경험들이
누적되다 보니 아, 사람이란 결코 단면 같은 존재는
아니구나, 누구나 복잡하구나, 누군가 단순하게만
보인다면 그것은 내가 그에 대해 빙산의
일각밖에 모른다는 뜻이구나, 하는 걸
뼛속 깊이 알게 되었다.


- 정지우의 《사람을 남기는 사람》 중에서 -


* 사람은 결코 겉만으로는 알 수 없습니다.
사람의 내면은 복잡하기 짝이 없습니다. 참으로
많은 다양성이 내면에 존재하기 때문입니다. 타고난
성품도 있지만, 자라 온 환경과 주변 인물들도 많은
영향을 미쳤을 것입니다. 따라서 사람을 단편적으로
판단하면 큰일납니다. 겉으로 드러나는 모습 말고
그 안의 깊은 호수까지를 살펴보아야 합니다.
사람을 판단할 때는 신중해야 합니다.

반응형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외모와 목소리  (0) 2025.01.22
아파트 부부 싸움  (0) 2025.01.21
제 발등 찍기  (0) 2025.01.20
산책이 사람을 똑똑하게 만든다  (0) 2025.01.17
가장 적대적인 요소  (0) 2025.01.16
반응형

프리드리히 니체는
1844년에 개신교 목사 집안에서 태어났다.
어린 시절에 그는 이런 집안의 정신을 흠뻑
받아들인 것이 분명하다. 그가 "성서 구절과
종교적 노래들을 하도 훌륭하게 표현해서
듣는 사람이 울음을 터뜨리지 않을 수
없었다"라는 보고도 있다. '꼬마 목사'가
그의 별명이었다. 그러나 소년은
다른 분야에서도 아주 명석했다.


- 빌헬름 바이셰델의 《철학의 뒷계단》 중에서 -


* 어린 시절의 환경은
개인의 역사뿐 아니라 인류의 역사에도
지대한 영향을 미칩니다. 목사의 아들로 태어나
'꼬마 목사'라는 별명을 얻었을 만큼 신실했던
니체가 '신은 죽었다'는 폭탄선언을 했습니다.
왜 그랬을까요? 교회 안에서 자랐던 까닭에
교회의 비신앙적 내면을 더 잘 보았기
때문이 아닐까요?

반응형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체중계에 찍히는 숫자  (2) 2024.11.15
사랑한다면 춤을 춰라  (1) 2024.11.14
전쟁터의 샘물에서  (0) 2024.11.12
정장 차림으로 서재에 들어간다  (0) 2024.11.11
아메리카  (0) 2024.11.11
반응형

위험을 감수하고
꿈을 쫓아가도록 다그치는
내면의 음악은, 당신이 태어날 때부터
이미 가슴과 직관적으로 연결되어 있습니다.
'열정 enthusiasm' 이란 단어를 인식하면서 당신이
하는 모든 일에 최선을 다하세요. 그 '열정'이란 단어는
'신 enthos 안에서 iasm'란 뜻을 담고 있습니다.
당신 내면의 열정은 위험을 감수하더라도
고유한 당신만의 목적을 따르라는
신의 손짓입니다.


- 웨인 다이어의 《웨인 다이어의 인생 수업》 중에서 -


* '대우주'라 일컬어지는 자연에는
경이로운 음악이 가득합니다. '소우주'라 불리는
우리 인체에도 아름다운 음악이 넘쳐흐릅니다.
허나 그 음악을 듣지 못하는 사람이 많습니다.
자기 내면의 소음이 크기 때문입니다. 마음을
비우고 에고를 잠재울 때 비로소 자연이,
몸이 내는 음악을 들을 수 있습니다.
바로 그때 알 수 없는 열정으로
자신의 한계를 뛰어넘는 힘이
솟구쳐 오릅니다. 신의
손짓을 느낍니다.

반응형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신만의 힐링 장소  (0) 2024.09.27
문해력의 위기  (0) 2024.09.26
건강한 장수 비결  (0) 2024.09.24
천년의 사랑, 영원한 사랑  (0) 2024.09.23
저항  (0) 2024.09.23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