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반응형

이별은
평생 지속되는 삶의 한 요소이며
사는 동안 반복되는 일임을 받아들인다.
이별이나 죽음을 파괴자, 침입자, 도둑처럼
느끼는 시간들에서 벗어난다. 무엇보다
명백한 진실은 우리 모두 수십 년
이내에 죽을 것이라는 점이다.


- 김형경의《좋은 이별》중에서 -


* 삶은 이별의 연속입니다.
끊임없이 이별하고, 헤어짐을 반복합니다.
이별을 목도했을 때 제대로 슬퍼해야 합니다.
잘 먹고, 잘 싸고, 잘 우는 아기가 건강하듯이
잘 울고, 맘껏 아파해야 건강한 사람입니다.
마음껏 아파하고, 슬퍼하세요. 눈물이
마른 후에, 좀 더 깊은 내면을 가진
자신을 만날 수 있게 됩니다.
 

반응형
반응형

관상은
자신의 내면이 얼굴로 투영된 것이다.
잘생기고 못생긴 것은 부모 덕분이지만
관상의 좋고 나쁨, 맑음과 탁함, 귀함과 천함은
자신이 만들어 가는 것이다. 그러므로 자신을
돌아보고 수양하며 기도하는 삶을 살아가야
맑고 귀한 좋은 관상을 얻을 수 있다.


- 김동완의《사주명리 인문학》중에서 -


* 저도 몇 개월만 있으면 마흔이 됩니다.
그래서일까요. 요즘 거울을 보면 자꾸 제 나이를
의식하게 됩니다. 좋은 인상의 얼굴을 갖기 위해
어떤 노력을 해야 할지 생각해 보곤 합니다.
좋은 마음으로 내면뿐만이 아닌
외면까지도 더 아름다워지기를
조용히 바래봅니다.  
 

반응형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쁨과 치유의 눈물  (0) 2020.09.22
누구나 숨을 쉰다  (0) 2020.09.21
가만히 안아줍니다  (0) 2020.09.18
번아웃 전조  (0) 2020.09.17
우울증도 말을 한다  (0) 2020.09.16
반응형

스스로에게 이렇게
물어보는 습관을 들이세요.
지금 이 순간 내 안에서 무슨 일이
일어나고 있는가? 이 질문은 당신에게
올바른 방향을 제시해 줄 겁니다. 그러나
분석하지는 말아야 합니다. 그저 바라보세요.
내면에 집중하세요. 감정의 에너지를 느껴야 합니다.
만약 어떤 감정도 느껴지지 않는다면, 내면의
에너지 장에 더 깊이 집중합니다. 그것이
존재로 들어가는 입구입니다.

- 에크하르트 톨레의《이 순간의 나》중에서 -


* 사람은
밖에서 에너지를 얻고 살아갑니다.
먹는 밥, 마시는 물, 들이키는 공기, 모두 바깥에서
얻는 것들입니다. 그러나 그것만으로는 부족합니다.
안에서 받쳐주는 내면의 에너지가 충만해야 합니다.
그래야 감정의 기복이 적어지고 방향도 찾게 되고
존재로 들어가는 입구도 열립니다.
자기다움을 지킬 수 있습니다.

반응형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나는 가운데에서 왔습니다'  (0) 2020.08.24
건강한 자기애愛  (0) 2020.08.24
24시간 스트레스  (0) 2020.08.20
많은 것들과의 관계  (0) 2020.08.18
이야기가 곁길로 샐 때  (0) 2020.08.17
반응형



정체는 알 수 없지만
내면의 감각은 분명히 무언가를 느꼈다.
빛이나 소리의 느낌이었다. 섬세하지만
강렬한 힘이 느껴지는 눈부신 빛의 형태였다.
그 빛이 교황의 흰머리 아래에 보이는 깨끗한
갈색 피부와 몸을 감싼 거칠고 얼룩진 천을
밝힌 것 같았다. 길게 울려 퍼지는
현악기 혹은 바람의 선율도
들렸다.


- 로버트 휴 벤슨의《세상의 주인》중에서 -


* 사람마다
그가 내는 빛이 있습니다.
밝은 빛 어두운 빛, 맑은 빛 탁한 빛.
어떤 사람은 눈부신 아우라를 내뿜습니다.
빛의 샤워처럼 하늘에서 쏟아지는 영적 에너지가
보는 사람을 압도합니다. 교황처럼 오랜 기도와 수행,
선한 생각과 목표, 그것을 뒷받침하는 삶이
빛으로 나타나 온몸을 휘감습니다.
바람으로 다가옵니다.

반응형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변명은 독초다  (0) 2020.07.28
밀가루 반죽  (0) 2020.07.28
바이칼 호수의 온도 관리 능력  (0) 2020.07.28
'건강한 필란트로피'가 왜 필요한가  (0) 2020.07.28
남의 실수에서 배운다  (0) 2020.07.28
반응형





우리 모두는 
자신의 내적 자원을 보살피는, 
두려움에 직면해서도 두려움 없는 가슴을 
발견하는 법을 배울 수 있다. 자원의 닻은 아주 
다양하다. 믿음직한 친구나 영적인 인물을 떠올리고, 
나무에 기대고, 자신의 가슴을 어루만지고, 바위를 
껴안을 수 있다. 그러한 것들이 깨우는 긍정적 
내면 상태에 온전히 집중하는 것이 우리의 
삶을 품는 부드러운 현존감을 
직접 보살피는 일이다. 


- 타라 브랙의《끌어안음》중에서 - 


* 내적 자원은 
눈에 보이지 않습니다.
가려져 있지만 때가 되면 냉철함, 기민함,
통찰력으로 사람 앞에 그 가치를 드러냅니다.
내적 자원은 고독과 두려움의 고통을 거쳐 닻을 
내립니다. 그래서 다른 사람의 영적 길잡이가 될 수
있고, 사랑과 위로를 나누는 힐러가 될 수 있습니다.
꽃, 나무, 바위, 물소리와 새소리 들리는 숲길도
내적 자원을 발견하는 통로입니다.
좋은 훈련장입니다.

반응형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여백의 아름다움  (0) 2020.05.09
색깔에도 소리가 있다  (0) 2020.05.08
지금이 중요하다  (0) 2020.05.06
어린이는 신의 선물이다  (0) 2020.05.06
우두머리 수컷 침팬지  (0) 2020.05.04
반응형

통제는
내면의 불안감과
깊이 연관되어 있다.
나는 보통 내가 불안함을 느낄 때 타인을
통제하려 든다. 그래서 이제는 다른 사람에게
이래라저래라 말하고 싶은 순간이면
나 자신에게 그 이유를 묻는다.

- 레이첼 켈리의《내 마음의 균형을 찾아가는 연습》중에서 -


* 내가 불안하면
다른 사람도 불안하게 보입니다.
그래서 이래라저래라 간섭하고 통제하려 듭니다.
다른 사람을 통제하려 들기 전에 자기 자신을
다스리는 것이 우선입니다. 자기 불안감을
타인에게 옮기는 것은 금물입니다.

반응형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다섯 시간 감옥  (0) 2019.09.27
세계에서 가장 자극적인 나라  (0) 2019.09.26
목재는 충분히 말려서 써야 한다  (0) 2019.09.24
외로운 떠돌이  (0) 2019.09.23
무엇을 해야 하는가?  (0) 2019.09.23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