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반응형

명상은
신체 건강뿐 아니라
정신 건강에도 효과적입니다.
몸과 마음은 연결되어 있기에 몸을 자각하고
좋은 움직임이 만들어지면 이는 정신적인 변화로
이어집니다. 대체로 이러한 움직임은 땀을 흠뻑
흘리게 하는 고강도 운동이 아닙니다. 오히려
심박수와 호흡이 비교적 안정된 저강도
운동입니다. 이러한 운동은 몸 수련이자
동시에 마음 수련이 됩니다. 삶을
풍요롭게 만들어줍니다.


- 문요한의《이제 몸을 챙깁니다》중에서 -


* 명상의 효과는 크고 다양합니다.
경험한 사람만이 그 효능을 실감합니다.
가능하면 한 살이라도 젊었을 때 접하는 것이 좋습니다.
명상은 '좋은 움직임'을 배우고 수련하는 것입니다.
몸에서 마음으로, 마음에서 몸으로 흐르는 좋은
에너지가 몸과 마음을 건강하게 해줍니다.
땀을 뻘뻘 흘리지 않아도 됩니다.
흐름을 좋게 하는 것입니다.

 

반응형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마음의 소리, 마음의 인사  (0) 2022.04.04
천천히 걷다 보면  (0) 2022.04.01
지난 겨울에 앓은 감기  (0) 2022.03.30
코리안 디아스포라의 롤 모델 최재형  (0) 2022.03.29
자기 영혼  (0) 2022.03.28
반응형

이 시대의 영성


그릇이 깨지면
담겨 있던 게 다 쏟아지듯,
죽으면 육체도 욕망도 다 없어집니다.
깨지고 쏟아져도 남아 있는 빈 공간, 모든 그릇의
비어 있는 부분 보이드, 그게 스피릿이에요. 스피릿은
우주의 것이지요. 내가 죽으면 내 안에 있던 우주의
스피릿은 남아 있어요. 그래서 영성이 중요한 것이예요.
몸뚱이도 내 것이고 마음도 내 것이지만
영혼만은 내 것이 아니예요.


- 이어령의《메멘토 모리》중에서 -


* 사람의 몸은
우리의 정신과 영혼을 담는 그릇입니다.
그릇의 목적은 무언가를 담기 위한 것입니다.
우리는 자신의 그릇을 비우면서 늘 새로운 것을
채우기를 계속해야 합니다. 언젠가는 그 그릇이 깨지지만
그 안에 담겨 있는 정신은 살아남습니다. 이 시대의
지성이라고 불리던 故 이어령 박사가 죽음을 앞두고
남겨진 우리에게 말합니다. 우리의 영혼이 이 시대의
영성이고 그 영성은 그 사람이 떠나도
살아남아 움직입니다.
 

반응형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단함의 발명  (0) 2022.03.16
고전과 역사를 읽어라  (0) 2022.03.07
농촌을 살리는 길  (0) 2022.03.04
코리안 디아스포라  (0) 2022.03.04
젊은 시절에는 갖기 어려운 마음  (0) 2022.03.04
반응형

몸을 단련하고
건강함을 지켜나가는 일은
어떻게 보면 내가 살아가는 동안
나에 대한 책임감이 아닐까 한다.
여러 가지 습관들이 크고 작은 내 삶의 방향을
끌고 가게 되며 지금 나를 만들어가는 것처럼
좋은 습관을 만들어가며 살아야겠다.

- 김재덕의《나는 오늘도 수련하러 갑니다》중에서 -


* 나의 행복을 위해서,
나의 안녕을 바라며 행동하는 많은 것들이 있습니다.
내 주변을 깨끗하게 정리하거나 땀 흘려 운동을 하는 것,
몸에 좋은 음식을 챙겨 먹는 것도 한 방법입니다.
그것들이 내 몸에 배게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나를 위해 몸에 밴 좋은 습관이 오늘도
나를 편안히 잠들 수 있게 해줍니다.

반응형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연 섭리, 자연 치유  (0) 2021.12.14
삶이 쉽지 않은 이유  (0) 2021.12.13
새로운 세상이란  (0) 2021.12.10
오늘 하루, 어떻게 보내셨나요?  (0) 2021.12.09
오프라 윈프리의 '실패는 없다'  (0) 2021.12.08
반응형

마음이 우울하고 외로울 때
마음을 바꾸기 어렵다면 몸부터
돌보는 것이 좋습니다. 예를 들어,
옷을 따뜻하게 입고, 따뜻한 차와 음료를
자주 마시며, 입맛이 없더라도 뜨거운 국물에
갓 지은 따뜻한 밥을 먹는 것입니다. 좀 더 여유가
있다면 가까운 온천이나 마사지 숍을 들르거나
편안한 이불이 있는 숙소에서 하룻밤을
지내보는 것도 좋습니다.


- 문요한의《이제 몸을 챙깁니다》중에서 -


* 사람의 몸은 신비롭습니다.
몸이 추우면 마음도 함께 추워집니다.
반대로 몸을 따뜻하게 덥히면 마음도 풀립니다.
몸을 마음으로 다스리고, 마음을 몸으로 치유하는 것이
코로나 시대에 꼭 필요한 힐링 요법입니다. 따지고 보면
너무도 쉽고도 확실한 방법인데, 순간순간 놓치거나
건너뛰는 것이 문제입니다. 어려울 것 없습니다.
마음이 힘들수록 몸부터 따뜻하게!
그것이 힐링의 시작입니다.

반응형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잘' 나이 든다는 것  (0) 2021.12.01
우표 없는 기도  (0) 2021.11.30
자신과의 대화  (0) 2021.11.29
괴로운 일이 생겼을 때  (0) 2021.11.26
다수를 위한 사랑  (0) 2021.11.25
반응형






불안뿐만 아니라
모든 감정은 신체 변화 및 신체 감각과
연관되어 있다. 우리는 슬픔에 창자가 끊어지고,
사랑에 가슴이 뛰며, 분노에 피가 끓는다고 말한다.
비유적이긴 하지만 이런 표현 역시 기본적인
생리적 현실을 반영한다. 감정적 상태와
신체적 변화 사이의 관계를 광범위하게
연구한 최초의 사람 중 하나는,
다름 아닌 찰스 다윈이다.


- 앨런 재서노프의《생물학적 마음》중에서 -


* 몸과 마음은 하나입니다.
서로 긴밀히 연결되어 상호작용합니다.
화를 자주 내면 간이 상하고, 슬픔이 깊으면
폐가 나빠집니다. 반대로 간이 나빠지면 쉽게
욱하며 화를 잘 내게 되고, 폐가 나쁘면 슬픔에,
신장이 나쁘면 공포와 두려움에 취약해집니다.
몸의 각 장기를 잘 관리하는 것이 마음을 다스리는
것이고, 마음을 잘 다스리는 것이 몸을 건강하게
하는 일입니다. 몸과 마음의 중간 자리에
'명상'이 있습니다.

반응형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GO'와 'STOP' 사이에서  (0) 2021.08.02
부모의 가슴에 박힌 대못 수십 개  (0) 2021.08.02
어떤 사람으로 기억되고 싶은가?  (0) 2021.07.28
주변 환경에 따라  (0) 2021.07.27
경쟁과 협력  (0) 2021.07.26
반응형

팔굽혀펴기 같은 건
못해도 상관없어. 하지만
눈부신 바다엔 뛰어들어야 하지 않겠니?
데이지가 핀 비탈길은 달려 내려가고 싶지 않니?
몰디브의 산호초 속으로 다이빙해 들어가고
싶지 않니? 아라비아의 사막을 낙타를 타고
다섯 시간 동안 흔들리고 싶지 않니?
코파카바나의 삼바 축제에서 동이
틀 때까지 춤을 추어야
하지 않겠니?


- 곽세라의 《소녀를 위한 몸 돌봄 안내서》 중에서 -


* 소녀도 팔굽혀펴기를 해야 합니다.
몸의 근력을 키워야 마음의 근육도 단단해지니까요.
그러나 그것만으로는 안됩니다. 소녀 시절이기 때문에
더 아름답고 몽환적인 꿈, 낭만, 도전이 필요합니다.
눈부신 상상의 바다에 뛰어들어 다이빙하고
노래하고 춤추며 하루하루 매일이
멋진 축제가 되게 해야 합니다.
소년소녀의 특권입니다.

반응형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연애를 시작했다  (0) 2021.07.07
돈이 전부가 아니다  (0) 2021.07.06
거울과 등대와 같은 스승  (0) 2021.07.05
떠돌이 바이올린 연주자  (0) 2021.07.02
타인이 잘 되게 하라  (0) 2021.07.01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