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람들에게 고맙다고 말하기’, ‘주의 깊게 경청하기’, ‘부드럽게 질문하기’,
‘가볍게 인사하기’, ‘상대방 덕분이라고 말하기’, ‘미소 짓기’처럼
사소한 행동들이 실적을 상승시키는데 도움을 주는 반면,
언뜻 생각하면 사소해 보일지라도 정중하지 않게 행동할 경우
대가를 치를 수 있다.
정중한 사람이 빠르게 승진한다.
- 크리스틴 포래스, ‘무례함의 비용’에서
정중하게 행동하는 사람들에게 정보를 공유할 가능성은 59%,
조언을 구할 가능성은 72%, 정보를 부탁할 가능성은 57% 높다고 합니다.
이처럼 정중함은 팀의 협업 능력을 크게 활성화 시킵니다.
정중함은 직원들에게 더 안전하고, 더 행복한 느낌을 줍니다.
직원들은 정중한 리더를 존중하고 따릅니다.
사람
- 정중한 사람이 빠르게 승진한다 2019.12.30
- 당신에게 최고의 모습을 기대하는 사람만 만나라 2019.12.26
- 내 마음을 따라가다 2019.12.23
- 오랜 친구가 좋다 2019.12.16
- 사람을 만나는 공부 2019.12.06
- 12월은 2019.12.02
정중한 사람이 빠르게 승진한다
당신에게 최고의 모습을 기대하는 사람만 만나라
세상을 더 좋게 만들어 가려는 사람을 곁에 두어야 한다.
우리에게 유익한 사람하고만 관계를 맺는 것은
이기적인 행위가 아니라 바람직한 행위다.
우리는 그들 덕분에 좀 더 나은 사람이 될 수 있고,
그들도 성장하는 우리를 보고 좋은 영향을 받을 것이다.
건강하고 이상적인 인간관계란 이런 것이다.
- 조던 피터슨, ‘12가지 인생의 법칙’에서
이어지는 내용입니다.
“당신에게 최고의 모습을 기대하는 사람만 만나라.
당신의 원대한 목표를 지지하는 사람들이 곁에 있으면
함부로 행동하기가 어려워진다.
몸과 마음이 모두 건강한 사람과 가까이 지내려면
강인한 의지와 꾸준한 노력이 필요하다.
겸손해야 하고, 용기가 있어야 한다. 모든 걸 스스로 판단해야 하고,
조건 없는 동정과 연민도 경계해야 한다.”
'생활의 발견 > 행복한 경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웃음은 초콜릿 2,000개의 에너지를 가졌다 (0) | 2019.12.31 |
---|---|
내 삶은 내가 믿는 대로 된다 (0) | 2019.12.27 |
천국 만드는 간단한 방법 (0) | 2019.12.24 |
미쳤다는 말을 듣지 못하면 아직도 꿈이 작은 것이다 (0) | 2019.12.23 |
위기의 순간 (0) | 2019.12.23 |
내 마음을 따라가다
철학자 존 스튜어트 밀의 표현을 가져다 쓰자.
"사람은 누구든지 자신의 삶을 자기 방식대로
살아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방식이
최선이어서가 아니라, 자기 방식대로
사는 길이기 때문에 바람직한 것이다.
- 유시민의《어떻게 살 것인가》중에서 -
"아..저렇게 살아야 하는 건가?"
어떻게 살아야 하는지를 늘 고민하던
저에게 하나의 좋은 답을 안겨준 문장입니다.
'자기 방식대로 살아라.' 물론 그 자기 방식이
다른 사람에게도 좋은 방식이어야 하겠지요.
흠칫흠칫 움츠리고, 검열하던 습관에서
물러나 나를 사랑하고 관찰하는 일.
그것부터 시작할까 합니다.
오랜 친구가 좋다
마음이 어지러울 땐
사람을 만나고 싶지 않지만
오래된 인연은 피할 수가 없습니다.
색안경을 무기 삼아 햇빛 쨍쨍한 거리로 나섰습니다.
밥 먹고 차 마시고 함께 웃고 울다 보니
'오랜 친구가 좋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 김흥숙의《생각라테》중에서 -
* 엊그제 캐나다에 이민갔던 죽마고우를
옹달샘에서 20년만에 만났습니다. 타임머신을 타고
옛날로 돌아가 옛날 이야기로 꽃을 피웠습니다.
참 좋은 힐링의 시간이었습니다.
'오랜 친구가 좋다'는 생각이
저도 들었습니다.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첫사랑이기에 (0) | 2019.12.18 |
---|---|
서로 축복하라 (0) | 2019.12.17 |
몸챙김(Bodyfulness) (0) | 2019.12.16 |
어른들도 처음엔 다 어린이였다 (0) | 2019.12.13 |
몸에 독이 되는 음식 (0) | 2019.12.12 |
사람을 만나는 공부
역사는 무엇보다
사람을 만나는 공부입니다.
고대부터 근현대까지의 긴 시간 안에
엄청나게 많은 삶의 이야기가 녹아 있어요.
그 이야기를 읽다 보면 절로 가슴이 뜁니다.
가슴 뛰는 삶을 살았던 사람을 만나고
그들의 고민과 선택과 행동에 깊이
감정을 이입했기 때문이죠.
- 최태성의《역사의 쓸모》중에서 -
* 역사(History)는 이야기입니다.
나보다 먼저 산 사람들이 빚어낸 이야기입니다.
그 이야기를 만든 사람들을 만나는 것이 역사 공부입니다.
그의 삶이 이야기가 되고 역사가 된 사람들을 만나는 것,
그 만남을 통해 내 가슴이 뛰고 새로운 선택, 새로운
행동을 하게 되면 역사 공부를 잘 한 것입니다.
사람이 사람을 만남으로써 새로운
역사가 만들어집니다.
12월은
12월은
우리 모두
사랑을 시작하는 계절입니다
잠시 잊고 있던
서로의 존재를
새롭게 확인하며
고마운 일 챙겨보고
잘못한 일 용서 청하는
가족 이웃 친지들
세상 사람 누구에게나
벗으로 가족으로 다가가는
사랑의 계절입니다.
- 이해인의 시집《희망은 깨어있네》 에 실린
시〈12월은〉에서 -
* 12월은
한해를 마무리하는 마지막 달입니다.
올 한해를 돌아보고 새해를 준비하는 시간입니다.
바로 이때 '사랑을 시작하라'는 시인의 말이
하늘의 명령처럼 들립니다. 사랑의 시작은
미룰 일이 아닙니다. 바로 12월입니다.
새해가 새롭게 다가옵니다.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살아있다는 것 (0) | 2019.12.04 |
---|---|
오늘 밤도 푸근히 잘 주무세요 (0) | 2019.12.03 |
심리적 거리 (0) | 2019.12.01 |
시로 집을 짓다 (0) | 2019.11.29 |
작은 물컵, 큰 호수 (0) | 2019.11.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