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반응형

사람을
있는 그대로 사랑하는 법을
배우는 데는 오랜 시간이 걸린다.
자기 주위에 있는 사람들을 자기 비슷하게
만들려고 애쓰는 버릇이 깊이 뿌리박혀 있기
때문이다. 상대방을 자기 비슷하게 만들려고
하는 노력을 사람들은 흔히 사랑,
혹은 애정이라고 착각한다.


- 황동규의《사랑의 뿌리》중에서 -


* 사람을
있는 그대로 바라보고
있는 그대로 사랑하기가 참 어렵습니다.
특히 어린아이에게는 더욱 그러합니다. 어떻게든
내 생각, 내 방식을 주입시키려 애를 씁니다.
그것을 사랑이라고 착각합니다. 아닙니다.
있는 그대로 안아주고 품는 것이
진정한 사랑입니다.

반응형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일상의 재미와 통찰  (0) 2016.05.07
내부의 힘  (0) 2016.05.06
깨달음의 길  (0) 2016.05.04
용기  (0) 2016.05.03
물을 끓이며  (0) 2016.05.02
반응형
인성은 쉽고 조용하게 계발될 수 없다.
시련과 고통의 경험을 통해서만
영혼은 강해지고 야망이 고무되고
성공이 이뤄질 수 있다.
- 헬렌 켈러

 

‘역경은 재능을 이끌어내는 놀라운 효과를 발휘합니다.
이런 재능은 순조로운 환경에서는 결코
드러나지 않을 것들입니다.’(호러스)
역경은 우리를 겸손하게 만들고 또 강하게 만들어 줍니다.
역경이 없었다면 결코 찾을 수 없는 새로운 기회를
찾아 나서게 해줍니다. 역경을 사랑해야 할 이유들입니다.

 

 

 

 

반응형
반응형

희망은 소멸할 수 있지만
용기는 호흡이 길다. 희망이 분출할 때는
어려운 일을 시작하는 것이 쉽지만, 그것을
마무리하는 데에는 용기가 필요하다.
희망 없는 상황에서 용기가 힘을
발휘할 수 있게 해 줄 때
인간은 최고조에
달할 수 있다.


- 에릭 호퍼의《길 위의 철학자》중에서 -


* 용기는
모든 것의 바탕입니다.
용기가 있어야 사랑할 수 있고,
용기가 있어야 도전할 수 있습니다.
희망이 사라진 곳에서도 용기만 있으면
다시 새로운 희망을 품을 수 있습니다.
마침내 더 큰 희망의 열매를
얻을 수 있습니다.

반응형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있는 그대로  (0) 2016.05.05
깨달음의 길  (0) 2016.05.04
물을 끓이며  (0) 2016.05.02
사랑이 깃들어진 손길  (0) 2016.04.30
첫사랑의 기억  (0) 2016.04.29
반응형

사랑으로 일한다는 것은 무엇입니까?
사랑하는 이에게 입힌다는 마음으로,
그대의 가슴속에서 실을 뽑아 옷을 짜는 것입니다.
사랑하는 이에게 살 집을 마련해 준다는 마음으로,
따뜻한 손길로 집을 짓는 것입니다.
사랑하는 이에게 열매를 먹인다는 마음으로,
정성들여 씨를 뿌리고 그 결실을
기쁜 마음으로 거두어들이는 것입니다.


- 칼린 지브란의《예언자》중에서 -


* 사랑이 깃들어진 손길은
엄청난 힘과 변화를 안겨줍니다.
차가운 것들을 밝고 따스함으로 전환시키는 힘입니다.
사랑으로 일한다는 것은 혼과 정성, 진실된 마음으로
손을 움직이는 것입니다. 그 손길이
세상을 따뜻하게 만듭니다.

반응형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용기  (0) 2016.05.03
물을 끓이며  (0) 2016.05.02
첫사랑의 기억  (0) 2016.04.29
꽃에 물을 주는 사람  (0) 2016.04.28
기적의 섬  (0) 2016.04.27
반응형

인간의 욕망으로
추악해진 섬, 그러나 한 사람의
의지와 생각으로 다시 스스로의 모습을
되찾아가는 재생의 섬 나오시마는 기적이다.
아니 기적이 일상이 된 곳이다.


- 후쿠타케 소이치로, 안도 타다오 외《예술의 섬 나오시마》중에서 -


* 우리나라 남해 외도(外島)도
한 노부부의 꿈으로 기적의 공간이 되었습니다.
충주의 '깊은산속 옹달샘'도 한 사람의 꿈이 자라나
대한민국의 대표를 넘어 세계적인 명상치유센터로
자리잡고 있습니다. 누구든 자신이 가진 꿈에
땀과 눈물과 사람이 더해지고 혼이 담기면
'기적의 섬'을 만들 수 있습니다.

반응형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첫사랑의 기억  (0) 2016.04.29
꽃에 물을 주는 사람  (0) 2016.04.28
두 팔 벌려 안고 싶다어린  (0) 2016.04.26
괜찮다, 다 괜찮다  (0) 2016.04.23
자제력과 결단력  (0) 2016.04.22
반응형

아들러는
인생에서 피해갈 수 없는
세 가지 과제가 있다고 했습니다.
일, 교우관계, 사랑이 그것입니다.
이 과제를 해결할 능력이 없는 사람은
어떤 핑계를 대서라도 과제로부터
도망치려고 합니다.


- 기시미 이치로의《지금 여기서 행복할 것》중에서 -


* 프로이트는


사랑, 일, 놀이를 3대 행복의 조건이라 말했습니다.


지금 하고 있는 일, 지금 하고 있는 사랑,
그것을 놀이로 만들 줄 아는 여유,
그것만 있으면 지금 어디서든
행복할 수 있습니다.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