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반응형

과거는
개인에게 상당한 영향을 미친다.
그리고 과거로부터 말끔히 벗어나기란
거의 불가능하다. 하지만 아무리 그렇다고
하더라도 불행한 가족의 고리를 무기력하게
계속 반복해야만 하는 것은 아니다.
우리는 부모의 잘못과 실수가
되풀이되지 않도록 스스로
노력할 수 있다.


- 최광현의《가족의 발견》중에서 -


* 과거 습관이
오늘과 내일의 나를 만듭니다.
나쁜 습관은 나쁜 결과로 이어지고,
좋은 습관은 좋은 열매로 보답 받습니다.
습관도 부모에서 자식으로 대물림됩니다.
좋은 습관은 더 잘 살려 물려주어야 하고,
나쁜 습관은 하루라도 빨리 그 고리를
끊어내야 합니다.

반응형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대물림의 역전  (0) 2015.01.29
상처가 아물 때까지...  (0) 2015.01.28
허송세월  (0) 2015.01.26
아이들의 '몸말'  (0) 2015.01.24
유적, 역사의 아이러니  (0) 2015.01.23
반응형


꿈을 품고만 있어서는 안됩니다.

꿈은 머리로 생각하는 것이 아닙니다.

가슴으로 느끼고

손으로 적고

발로 뛰는 게 꿈입니다.

- 존 고든 



브라이언 트레이시는

  ‘목표를 세우고 실천에 옮기는 습관을 들이면 2년 안에 인생이 달라질 것’ 

  이라고 단언합니다.


성공하는 사람은 실패를 두려워하지 않고

새 아이디어를 실행하지만,

실패하는 사람은 아이디어의 문제점만 지적하며

실천하지 않을 구실을 찾습니다.

변화는 꿈에서 시작됩니다.

반응형
반응형

투자하기에 최적의 시점은
하늘에 잿빛 먹구름이 가득할 때다.
남들이 두려워 할 때 욕심을 부리고,
남들이 욕심을 부릴 때 두려워하라.
가장 좋게 보이는 시기가 제일 위험하다.
- 박정태, ‘월가의 지혜 투자의 격언 365’에서

 

‘겁나서 죽을 것 같으면 사고,
좋아서 죽을 것 같다면 팔라’는 말이 있습니다.


모두가 한 목소리를 낼 때는
그 자체만으로도 한번쯤 의심해 보아야 합니다.


모두가 비슷한 생각을 한다면
모두가 틀렸을 가능성이 그만큼 높습니다.


군중과 반대방향으로 생각하는 습관을 가져야 합니다.

 

반응형
반응형



                                                       

나중에 하지,
그 나중에가 영영 오지 않을 수도 있다.
정신과 육체가 피곤하고 스트레스가 지금
이 순간을 짓눌러도 '나중에 하지’ 라는
말을 아껴라. ‘나중에 하지’라고
말하는 순간 가치와 행복은
영원히 찾을 수 없다.


- 해암스님의《마음 비우기》중에서 -


* 가장 안좋은 말의 하나가
"나중에 하지"라는 말일 것입니다.
가장 안좋은 습관 또한 지금 할 일을
나중으로 미루는 일입니다. 말이 반복되면
습관이 되고, 습관이 반복되면 그 습관이
자신의 삶과 운명을 결정해 버립니다.
삶의 가치와 행복이 갈립니다.


반응형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일심일덕', 한마음 한뜻으로  (0) 2014.10.23
'상처받은 치유자'(Wounded Healer)  (0) 2014.10.22
독서와 메밀국수  (0) 2014.10.20
괜찮아요, 토닥토닥  (0) 2014.10.18
어느 날 문득 시인이 되었다  (0) 2014.10.17
반응형

대부분의 사람이 성공하지 못하는 공통요소가 있다.
대부분 사람의 능력은 큰 차이가 없으므로
이점만 극복될 수 있다면 거의 모든 사람이 성공할 수 있다.
바로 질질 끄는 버릇(Procrastination)이다.
‘언젠가 해봐야지’라고 생각하는 사람의
‘언젠가’는 오는 법이 없다.
- 니시자와 야스오, ‘인생의 버팀목이 되는 33가지 이야기’에서

 

 

“언젠가라는 말로 생각하면 실패합니다.
지금이라는 말로 행동하면 성공합니다."(벤저민 프랭클린)
실패가 두려워 시작을 못하는 것 보다는
일단 저질러 보는 것이 필요합니다.
처음부터 너무 거창한 목표 때문에 주저하고 있다면,
작은 목표를 잡고 일단 시작부터 해보는
습관을 길러볼 필요가 있습니다.

 

반응형
반응형
'행복'을 습관화 해봅시다.
'기쁨'을 습관화 해봅시다.
그렇게만 된다면 습관은 나에게 강력한 힘이
되어 줄 것입니다. 웬만한 시련이나 역경이
찾아와도 행복과 기쁨이라는 감정 습관의
힘으로 손쉽게 돌파할 수 있을 것입니다.


- 박용철의《감정은 습관이다》중에서 -


* '세 살 버릇 여든까지 간다'는 속담처럼
습관의 힘은 매우 큽니다. '작심삼일'은 그만큼
좋은 습관을 만드는 게 어렵다는 말이기도 합니다.
거창한 습관을 만드는 것이 아니더라도 이제부터는
작은 것 하나라도 좋은 습관을 기르는 것은 어떨까요?
'행복'과 '기쁨'의 감정 습관을 이제부터
하나씩 만들어 보세요
반응형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네가 먼저 다가가!  (0) 2014.04.08
아이를 벌줄 때  (0) 2014.04.07
시어머니 병수발  (0) 2014.04.04
사랑도 연습이 필요하다  (0) 2014.04.03
그대는 받아들여졌다  (0) 2014.04.02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