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반응형

'음악교육을
받아 본 적이 없는 친구들이 어떻게
저런 영혼을 울리는 노래를 할 수 있을까?'
게다가 몹시 가난한 마을이어서 아이들이 학교엔
다니지 못하지만, 음악으로 자연스럽게 공동체가
하나를 이루면서 교육이 이루어지고 있었다.
그 미션트립은 내 인생에 큰 영향을 주었다.
그러면서 가슴 뛰는 꿈을 품게 했다.
'어려운 환경의 어린이들을 위한
음악학교를 세우고 싶다.'


- 임다미의 《더 히어로》 중에서 -


* 음악은 태초의 언어입니다.
아기들은 배운 적 없지만 엄마와 눈 맞추며
옹알이로 노래를 합니다. 그 멜로디와 표정을 보면
천사와도 같습니다. 말을 하기 전 노래로 의사소통을
합니다. 자연의 소리를 들어보세요. 모두 노래입니다.
새소리, 바람 소리, 물소리, 저마다 자기만의
아름다운 소리로 영혼을 울립니다.

반응형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퇴수(退修)라는 단어  (1) 2025.05.09
잠자리에 누웠을 때  (0) 2025.05.08
급발진을 경계하라  (0) 2025.05.07
'사슴 같은 눈'으로 바뀌었다  (0) 2025.05.07
숨 넘어간다  (0) 2025.05.07
반응형

손짓은 심리학에서
'마음 이론'(Theory of Mind)라고 부른다.
타인의 마음을 읽는 능력이 시작되는
관문이다. 우리는 다른 사람이 무슨
생각을 하는지 궁금해하면서
일생을 살아간다.


- 브라이언 헤어, 버네사 우즈의 《다정한 것이 살아남는다》 중에서 -


* 손짓 하나만으로도
많은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언어나 표정보다 더 직접적이고 강력합니다.
무슨 생각을 하고 있는지, 무엇을 원하는지
그 진의를 단박에 알아차릴 수 있습니다.
말보다 더 진솔합니다.
손짓은 마음입니다.

반응형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세포가 춤추고 있다고 상상하라  (0) 2024.12.02
첫눈  (0) 2024.12.02
영원한 연인  (0) 2024.11.28
멋진 걸 보는 눈  (0) 2024.11.27
부모의 책 읽어주기  (0) 2024.11.26
반응형

아기의 말에는
내용보다 선율이 더 많다.
아기의 언어는 소리로 변한 침묵이다.
어른의 언어는 침묵을 추구하는 소리이다.


- 박연준의 《듣는 사람》 중에서 -


* 아기는 말을 못 합니다.
그 작은 입을 오물이며 노랫가락처럼 옹알거릴
뿐입니다. 바라보는 어른들은 너나없이 미소를 지으며
그 옹알이에 대꾸를 합니다. 근원적 태초의 선율입니다.
반면에 어른의 언어는 너무 많이 오염되어
선율을 잃었습니다. 차라리 침묵하며
아기의 옹알이 때로 돌아가는 것이
좋을지도 모릅니다.

반응형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세상에서 무슨 일이 일어나든  (0) 2024.04.11
슬픔은, 절대  (0) 2024.04.11
12년 전에 본 영화를 다시 보니  (0) 2024.04.08
나는 어디로 가는 걸까  (0) 2024.04.04
식은 죽 먹기 글쓰기  (0) 2024.04.03
반응형

[python] gTTS 한글 speak

 

# gTTS : Google Text to Speech API : Google에서 제공하는 TTS 서비스. gTTS라는 모듈을 인스톨해야 함
"""
    'en'으로 지정했을 때 한글이 text에 포함되어 있으면 이를 무시하지만, 'ko'일때 text내의 영문은 무시되지 않고 음성합성을 수행한다(아주 이상함)
    영어는 여자 성우, 한글은 남자 성우이다(변경 불가능)
"""

from gtts import gTTS
import pygame
import time

text ="안녕하세요, 여러분. 파이썬으로 노는 것은 재미있습니다!!!"

tts = gTTS(text=text, lang='ko')

tts.save("helloKO.mp3")



# Initialize Pygame mixer
pygame.mixer.init()

# Load the audio file
pygame.mixer.music.load("helloKO.mp3")

# Play the audio file
pygame.mixer.music.play()

# Allow time for the audio to play
time.sleep(10)

# Stop the playback
pygame.mixer.music.stop()

 

반응형
반응형

언어는 행복의 문을 여는 중요한 열쇠다.
두뇌는 자신이 말한 언어를 의식 속에 넣어
자신의 인생에 반영시키는 시스템으로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행복한 인생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긍정적인 언어를 좀더 의식적으로 선택해서 사용하는 습관이 중요하다.
- 사토 도미오, ‘당신의 꿈을 이루어 주는 미래 일기’에서


백만불짜리 습관이라는 책에는
‘아마도 성공을 위해 사용할 수 있는, 가장 강력한 주문은
“나는 나를 사랑해!”라는 말이라고 쓰여 있습니다.
많은 심리학자들은 우리 감정의 95%는
그 순간 마음을 스쳐 가는 말에 의해 좌우된다고 말합니다.
긍정을 심으면 긍정이 나오고, 부정을 심으면 부정이 나옵니다

반응형
반응형

느낌은 전체적이다.
여기 몸과 마음, 그리고 영혼이 모두 참가한다.
이것은 비밀이다.
언어로 표현할 수 없기 때문에.
이것은 비밀이다.
언어는 부적당하기 때문에.
이것은 비밀이다.
가르칠 수 없기 때문에.


- 타골, 라즈니쉬의《까비르 명상시》중에서 -


* 새벽빛이 열리는 여명의 시간,
안개낀 옹달샘 숲길을 홀로 걷노라면
온 몸과 마음과 영혼이 하나가 되어 전체적으로
느껴지는 느낌이 있습니다. 말로 형용할 수 없는,
전율 같기도 하고 비밀과도 같은 오묘한 떨림입니다.
그 떨림이 몸과 마음과 영혼의 찌꺼기를 털어내고
그날 하루를 더욱 행복하게 만듭니다.
세상을 더욱 사랑하게 합니다.
다시 글을 쓰게 합니다.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