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반응형

사람들은 도움을 받는 일을 편히 여기지 않는다.
도움의 손길을 내밀 때는 내가 강하고, 쓸모 있고, 중요한 사람처럼 느껴진다.
내가 남을 도울 때 기분이 좋다면 다른 사람도 마찬가지다.
부탁을 청하는 일은 그 사람에게 자신이 쓸모 있고 중요한 존재라고 느낄 수 있는 기회를 준다.
- 미셸 레더맨, ‘아는 사람의 힘’에서 

남에게 도움 받을 때는 내가 약하다는 느낌을 갖게 됩니다.
그래서 대부분 도움 받는 것을 꺼려합니다.
내가 기꺼이 도움을 받아들일 때 상대는 자신을 좋은 사람으로 여기게 됩니다.
남이 나를 도우려 할 때 기꺼이 도움을 받아들이고
감사함을 표하는 것, 서로에게 좋은 일입니다.

반응형
반응형

독점을 목표로 하라.
차별성이 뚜렷해서 다른 회사와 경쟁할 필요가 없는
세상에 단 하나뿐인 회사를 만들라.
경쟁은 패자가 하는 것이다.
주위 사람들을 쓰러뜨리는 데만 집중하면 시야가 좁아져
보다 가치있는 일을 놓치고 만다.
— 피터 틸 (페이팔 창업자) 

이어지는 이야기입니다.
“다른 사람이 한 일을 모방하는데 그친다면 아무리 해봤자
세상은 1에서 n이 될 뿐이다.
기존에 있는 것에 무언가를 덧붙이는데 불과하다는 뜻이다.
하지만 완전히 새로운 것을 창조하면 세상은 0에서 1이 된다.
내일의 승자는 시장의 치열한 경쟁 속에서 탄생하는 것이 아니다.
그들의 비즈니스는 세상에 단 하나만 존재할 뿐이다.

반응형
반응형
티베트어로 
'인간'은 '걷는 존재'
혹은 '걸으면서 방황하는 존재'라는 의미라고 한다.
나는 기도한다. 
내가 앞으로도 계속 걸어나가는 사람이기를. 
어떤 상황에서도 한 발 더 내딛는 것을 
포기하지 않는 사람이기를. 


- 하정우의《걷는 사람, 하정우》중에서 - 


* 걸으면 
탁한 마음의 먼지가 내려앉습니다.
걷다 지친 몸으로 잠을 자면 숙면을 취할 수 있습니다.
푹 잠이 들었다 깨어나면 다시 또 새롭게 시작할 힘을
얻곤 합니다. 믿어보세요. 걸으면 참 좋습니다.
그 경험 때문에 저 또한 걷기를 포기하지 
않는 사람이 되기를 꿈꿉니다.

 
...
반응형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어린이는 부모의 말을 닮는다  (0) 2019.01.30
낱말 하나에 우주가  (0) 2019.01.28
헌법을 아십니까?  (0) 2019.01.25
크레파스와 미술시간  (0) 2019.01.24
영혼을 위한 투자  (0) 2019.01.23
반응형
역경이 존재하는 이유가 있다.
역경은 우리를 몰아내기 위해 존재하는 것이 아니다.
우리가 무언가를 간절히 원하는지 깨달을 수 있는
기회를 주기 위해 있는 것이다.
그것을 충분히 간절히 원하지 않는 사람들에게
역경은 그만하라고 말한다.
역경은 그런 사람들을 단념하도록 하기 위해 존재한다.
- 랜디 포시, ‘마지막 강의’에서

“질병과 몰락, 환멸과 파산, 친한 친구와의 이별, 이러한 것들은
처음에는 다시 찾을 수 없는 손실로 생각된다.
그러나 시간이 흐름에 따라 이런 손실 속에 숨겨져 있던
강한 회복력이 나타나기 시작할 것이다.” 에머슨의 말입니다.
지혜로운 사람에겐 역경은 포장된 신의 선물이 될 수 있습니다.


...
반응형
반응형

나는 영혼입니다. 

나는 신성한 빛입니다. 

나는 사랑입니다. 

나는 의지입니다. 

나는 확정된 계획입니다. 


I am the Soul.

I am the Light Divine.

I am Love.

I am Will.

I am Fixed Design. 



- 이숙인의《요가에세이》중에서 - 



* 나.

세상에 하나뿐인 나.

'나'는 보통의 존재가 아닙니다.

그 존재 자체만으로 '신성한 빛'입니다.

날마다 '소울 만트라'를 암송하는 것만으로도 

'나'는 사랑과 의지, 확정된 계획의 사람으로

승화하는 존재가 될 수 있습니다. 



...

반응형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박티 요가  (0) 2018.01.19
언어와 수사학(修辭學)  (0) 2018.01.18
침묵 공감  (0) 2018.01.16
평화로운 마음  (0) 2018.01.15
달라도 괜찮아!  (0) 2018.01.13
반응형


사람은 꿈의 크기만큼 자란다.

사람들은 스스로 설정한 기준, 즉 자신이 성취하고

획득할 수 있다고 생각하는 바에 따라 성장한다.

자신이 되고자 하는 기준을 낮게 잡았다면

그는 그 이상 성장하지 못한다.

반면 자신이 되고자 하는 목표를 높게 잡았다면

그는 위대한 존재로 성장하게 된다.

- 피터 드러커


인도의 대표적 IT기업 위프로테크의 아짐 프렘지 회장은

“당신의 목표를 사람들이 비웃지 않는다면

그건 너무 작은 것이다”고 말했습니다.

큰 꿈을 갖는 사람은 작은 성공에 결코 만족하지 않습니다.

큰 꿈은 지속적 노력을 선물로 가져다줍니다.

사람은 꿈의 크기만큼 자랍니다. 



...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