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반응형

싱그러운 날씨.
흔들리는 나뭇잎과 햇살.
다정한 인사와 안부. 마음이 담긴 메시지.
나를 감동하게 하는 것이나 내가 행복하다고 느끼는
순간을 적으라면 아마도 이 페이지를 빼곡하게
다 채울 수 있을 것 같다. 나는 감동과
행복의 역치가 낮은 사람.


- 바리수의《이젠 네가 피어날 차례야》중에서 -


* 저에게는 아주 작은 자극에도
감동과 행복을 느끼는 능력이 있습니다.
그래서인지 일상에서도 자주 감탄하고 감동하고
감사하고 행복해합니다. 내 감정마저 누군가의 허락을
받을 필요 없습니다. 나는 내 마음을 보냈고 그걸
받아주는 건 상대의 몫이니까요. 나는 그냥
내 몫의 일을 하면 되는 거니까요.

반응형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시인에게서 내가 배운 것  (0) 2023.02.14
모든 순간에 잘 살아야 한다  (0) 2023.02.13
기억의 뒷마당  (0) 2023.02.10
깨달음  (0) 2023.02.09
살아야 할 이유  (0) 2023.02.08
반응형

https://www.youtube.com/watch?v=Y2DibujuYlw

 

세상은 감사하는 자의 것이다.
내 인생에서 어떤 일이 일어나든 감사하는 법을 배웠을 때,
기회, 사람들과의 관계, 부까지도 내게로 다가왔다.
감사해야 할 것에 제대로 감사를 표하는 것,
(역경, 고통, 슬픔 같은) 쉽게 감사하기 어려운 것에도
기꺼이 감사할 때, 인생은 분명 천국이 된다.
- 오프라 윈프리

“행복은 감사하는 것이다. 감사는 더 많은 행복을 가져다준다.
부모에게 감사할 때 부모는 더 많은 것을 주려하고,
친구에게 감사할 때 그 친구는 더 많은 우정을 나누려 하며,
이웃에게 감사할 때 그 이웃은 더 많은 온정을 베풀려고 한다.”
쿠란에 나오는 감사예찬입니다.

 

반응형
반응형

이야기의
가장 본질적인 속성은,
그것이 인간과 인간 사이에 다리가
되어준다는 것입니다. 이야기를 찾을 수 있는
첫 장소는 바로 여러분의 기억 뒷마당입니다.
각자 살아온 인생 말입니다. 나는 이것을
'과거에서 금광을 발견하는 방법'이라고
부릅니다.


- 더그 스티븐슨의《명강의 무작정 따라하기》중에서 -


* 인간에게는, 특별하게도
'기억'이라는 뒷마당이 있습니다.
무궁무진한 이야기의 금광입니다.
내가 살아온 삶의 기억이 반짝이는 이야기를 만들고
그 이야기가 더러는 전설이 되고 신화가 됩니다.
때로는 불멸의 역사가 됩니다.  

반응형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모든 순간에 잘 살아야 한다  (0) 2023.02.13
감동과 행복의 역치가 낮은 사람  (0) 2023.02.11
깨달음  (0) 2023.02.09
살아야 할 이유  (0) 2023.02.08
'우리편'이 주는 상처가 더 아프다  (0) 2023.02.07
반응형

Windows에서 Cisco Webex Meetings의 캐시를 지우려면:

Windows

  1. Cisco Webex Meetings 응용프로그램에서 로그아웃합니다.
  2. 키보드에서 Ctrl + Alt + Del 조합을 누른 후 작업 관리자를 선택합니다.
  3.  탭 아래에서 Cisco Webex 서비스를 선택한 후 작업 종료 버튼을 클릭합니다.
  4. Windows (시작) 버튼을 오른쪽 클릭하고 실행을 선택합니다. 열기 텍스트 상자에서 %USERPROFILE%\AppData\Local\WebEx\wbxcache를 입력합니다.
  5. wbxcache 폴더에서 모든 데이터를 삭제합니다.
반응형
반응형

DALL-E https://labs.openai.com/

 

DALL·E

Experiment with DALL·E, an AI system by OpenAI

labs.openai.com

 

설명을 자세히 작성하면 원하는 이미지가 근접하게 나온다. 

 

반응형
반응형

[백준] 1005번 ACM Craft - PYTHON  https://www.acmicpc.net/problem/1005

알고리즘 분류

 

출력

건물 W를 건설완료 하는데 드는 최소 시간을 출력한다. 편의상 건물을 짓는 명령을 내리는 데는 시간이 소요되지 않는다고 가정한다.

건설순서는 모든 건물이 건설 가능하도록 주어진다.

제한

  • 2 ≤ N ≤ 1000
  • 1 ≤ K ≤ 100,000
  • 1 ≤ X, Y, W ≤ N
  • 0 ≤ Di ≤ 100,000, Di는 정수

>> 소스 

import sys
from collections import deque
 
T = int(input(" 테스트 케이스 T 입력 : "))
 
for _ in range(T):
    N,K=map(int,input(" 건물수, 건설 순서 : ").split())#건물수, 건설순서규칙
    time=[0]+list(map(int,input(" 각 건물들의 건설시간 : ").split()))#건물들의 건설시간
    seq=[[] for _ in range(N+1)]#건설순서규칙
    inDegree=[0 for _ in range(N+1)]#진입차수
    DP=[0 for _ in range(N+1)]#해당 건물까지 걸리는 시간
 
    for _ in range(K):#건설순서규칙 저장
        a,b=map(int,input(" 건설순서규칙 : ").split())
        seq[a].append(b)
        inDegree[b]+=1
 
    q = deque()
    for i in range(1,N+1):#진입차수 0인거 찾아서 큐에 넣기
        if inDegree[i]==0:
            q.append(i)
            DP[i]=time[i]
 
    while q:
        a=q.popleft()
        for i in seq[a]:
            inDegree[i]-=1#진입차수 줄이고
            DP[i]=max(DP[a]+time[i],DP[i])#DP를 이용해 건설비용 갱신
            if inDegree[i]==0:
                q.append(i)
 
 
    ans = int(input(" W : "))
    print(DP[ans])

>> 결과

>> ./1005_ACM_Craft.py 
 테스트 케이스 T 입력 : 2
 건물수, 건설 순서 : 4 4
 각 건물들의 건설시간 : 10 1 100 10
 건설순서규칙 : 1 2
 건설순서규칙 : 1 3
 건설순서규칙 : 2 4
 건설순서규칙 : 3 4
 W : 4
120
 건물수, 건설 순서 : 8 8
 각 건물들의 건설시간 : 10 20 1 5 8 7 1 43
 건설순서규칙 : 1 2
 건설순서규칙 : 1 3
 건설순서규칙 : 2 4
 건설순서규칙 : 2 5
 건설순서규칙 : 3 6
 건설순서규칙 : 5 7
 건설순서규칙 : 6 7
 건설순서규칙 : 7 8
 W : 7
39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