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반응형
고전과 역사를 읽어라



삶이 던지는 문제에
대처하려면 사람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기술 혁명은 들불처럼 일어나도 사람은 변하지
않는다. 위대한 고전과 역사를 읽어라.
변하지 않는 지혜는 그 속에 있다.


- 찰스 핸디의《삶이 던지는 질문은 언제나 같다》중에서 -


* 고전은 독서의 백미이고,
역사는 세상 공부의 핵심입니다.
공통점은 인문학적 소양과 지혜입니다.
고전과 역사책을 읽는 것도 시기가 있습니다.
시기를 놓치면 지혜의 우물이 바닥난 채로
그럭저럭 나이 들게 됩니다.
반응형

'생활의 발견 >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수많은 생각, 서로 교차하고 겹쳐지고  (0) 2022.03.16
고단함의 발명  (0) 2022.03.16
이 시대의 영성  (0) 2022.03.07
농촌을 살리는 길  (0) 2022.03.04
코리안 디아스포라  (0) 2022.03.04
반응형


나쁜 기업은 위기에 의해 파괴되고,
좋은 기업은 위기에서 살아남고,
위대한 기업은 위기에 의해 진보한다.
- 앤드류 그로브, 인텔 전 회장


기업 경영 뿐만 아니라, 인생에서도 위기가 찾아오는 것을
피할 수는 없습니다. 평온한 시기에는 실력 차가 드러나 보이지 않습니다.
위기가 닥치면 비로소 실력 차가 격차로 현실화됩니다.
위기를 어떻게 극복하느냐에 따라 개인과 조직의 미래가 갈립니다.
위대한 리더는 위기를 반깁니다.

반응형
반응형

이 시대의 영성


그릇이 깨지면
담겨 있던 게 다 쏟아지듯,
죽으면 육체도 욕망도 다 없어집니다.
깨지고 쏟아져도 남아 있는 빈 공간, 모든 그릇의
비어 있는 부분 보이드, 그게 스피릿이에요. 스피릿은
우주의 것이지요. 내가 죽으면 내 안에 있던 우주의
스피릿은 남아 있어요. 그래서 영성이 중요한 것이예요.
몸뚱이도 내 것이고 마음도 내 것이지만
영혼만은 내 것이 아니예요.


- 이어령의《메멘토 모리》중에서 -


* 사람의 몸은
우리의 정신과 영혼을 담는 그릇입니다.
그릇의 목적은 무언가를 담기 위한 것입니다.
우리는 자신의 그릇을 비우면서 늘 새로운 것을
채우기를 계속해야 합니다. 언젠가는 그 그릇이 깨지지만
그 안에 담겨 있는 정신은 살아남습니다. 이 시대의
지성이라고 불리던 故 이어령 박사가 죽음을 앞두고
남겨진 우리에게 말합니다. 우리의 영혼이 이 시대의
영성이고 그 영성은 그 사람이 떠나도
살아남아 움직입니다.
 

반응형

'생활의 발견 >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단함의 발명  (0) 2022.03.16
고전과 역사를 읽어라  (0) 2022.03.07
농촌을 살리는 길  (0) 2022.03.04
코리안 디아스포라  (0) 2022.03.04
젊은 시절에는 갖기 어려운 마음  (0) 2022.03.04
반응형

반야심경 https://youtu.be/-3SCR__uCFE

 

반응형
반응형
농촌을 살리는 길



이제 우리나라도
농촌에는 멋진 농장이 자리 잡아야 한다.
그렇게 되려면 정부 차원에서 다양한 지원을
할 필요가 있다. 농장을 효율적으로 경영하려면
농로나 물 공급 시설 등 인프라를 잘 갖춰야 한다.
농장을 만드는 데는 농지만 필요한 것은 아니다.
인력과 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는 인프라가
중요한 것이다. 제2의 농지 정리 사업이
필요한 시기다.


- 박현출의 《농업의 힘》 중에서 -


* 멋진 농장,
꿈만 같은 이야기입니다. 15년 넘게
농촌에 살다 보니 농촌의 여러 문제를 가까이서
접하게 됩니다. 농촌의 저출산, 고령화도 심각합니다.
드넓은 초등학교엔 학생이 귀하고, 제가 사는 읍면의
중학교는 전교생이 25명입니다. 제2의 농지 정리
사업도 필요하지만 더 많은 사람들이 농촌에
올 수 있도록 멋진 농장, 멋진 직장,
멋진 학교가 많아져야 합니다.
반응형

'생활의 발견 >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전과 역사를 읽어라  (0) 2022.03.07
이 시대의 영성  (0) 2022.03.07
코리안 디아스포라  (0) 2022.03.04
젊은 시절에는 갖기 어려운 마음  (0) 2022.03.04
길가메시여, 힘에만 의지하지 말고  (0) 2022.03.04
반응형

황금시간을 가장 중요한 과제에 투자하라
조각 시간을 모아봤자 아무런 성과도 나오지 않는다.
하루 가운데 진짜 의미있게 사용할 수 있는 시간은 겨우 한 시간 정도이다.
더구나 인간의 기력과 체력 모두가 충만한 시간은 하루에 길어야 한 두시간이다.
그런 황금 시간을 A등급의 귀중한 과제에 중단 없이 집중적으로
한꺼번에 사용하지 않는 한 성과는 오르지 않는다.
달성하려고 한다면 첫째도, 둘째도 집중, 또 집중해야 한다.
- 피터 드러커


피터 드러커는 시간관리에 대해 특별한 관심을 가졌습니다.
“시간은 독특한 자원이다.
시간을 빌릴 수도, 고용할 수도, 구매할 수도,
혹은 더 많이 소유할 수도 없는 것이다.”라고 시간의 중요성을 강조했으며,
매니저의 가장 중요한 책무는 시간이라고 하는 귀중하지만 독특한 자원을
효율적으로 관리하는 것이라고도 말한 바 있습니다.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