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반응형

당신은 일반적으로 무엇(what)을 어떻게(how) 하라고 지시한다.
하지만 가장 중요한 것은 그 이유(why)를 말하는 것이다.
우리는 이유를 말해주는데 서툴다.
무엇은 머리로 참여하게 만들고,
어떻게는 손으로 참여하게 만든다.
그리고 이유는 마음을 움직이게 하고
정서적인 유대관계를 형성한다.
- 그레그 크리드, 타코벨 CEO

 

 

가장 전폭적인 지원을 이끌어내는 것이
바로 정서적 유대감입니다.
머리와 손보다는
가슴을 움직여야 폭발적 힘을 이끌어 낼 수 있습니다.
이유를 아는 사람들은
스스로 방법을 찾아냅니다.
왜를 먼저 말해야 합니다.

 

반응형
반응형

변명거리가 많을수록 결과는 나빠진다.
삶에서 끌어내는 즐거움은 우리가 얼마나 많은
변명거리를 만들어 내는가와 반비례한다.
만일 당신이 무덤에 들어가면서도
고속도로에 늘어놓을 만큼의
긴 ‘하지 못했던 이유들’을 갖고 간다면
그것은 결국 당신이 ‘하지 않았다’는 것을 뜻한다.
- 앤드류 매튜스

 

 

일은 핑계거리가 있다고 해서,
혹은 안되는 이유를 납득 가능하게 설명할 수 있다고 해서
끝나는 것이 아니라,
원래의 목적하는 바를 완수했을 때,
비로소 끝나는 것입니다.
핑계나 변명도 습관입니다.

 

반응형
반응형

요즘 같은 변화의 시대에서
‘안정적’으로 사업이 굴러간다고 느끼는 순간
위기는 이미 시작됐다고 볼 수 있다.
안정성이 경고 사인이 되는 시대다.
안정성은 이제 안전함(Sense of security)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폭풍 전야의 고요함을 의미할 뿐이다.
- 마크 엡스타인 美라이스대 교수

 

 

안정성은 모든 인간이 추구하는 본능 중 하나입니다.
그래서 더욱 더 위험하다 할 수 있습니다.
안전하다고 느끼면 변화하지 않으려 저항하게 되고,
누군가 먼저 변화해서 판이 바뀐 다음에야 비로소
현실에 눈을 뜨기 시작해 생존 위험에 빠지게 됩니다.
안정성은 곧 경고 사인입니다.

반응형
반응형

회사를 만든다는 것은
사람을 만드는 것이다.
인재는 이윤이 가장 높은 상품이며,
인재를 제대로 경영하는 기업이 최후의 승자다.
- 롄상그룹 CEO 류촨즈

 

 

너무나 당연한 일입니다.
그러나 과연 얼마나 많은 기업이
인재경영에 있어 합격점을 받을 수 있을까 생각해보면
아직은 가야 할 길이 너무나 먼 길이기도 합니다.
최고경영자가 먼저 나서 회사의 가장 중요한 자산인
사람에게 가장 많은 시간을 투자하는 것에서부터
인재경영이 시작될 수 있습니다.

반응형
반응형

사람들이 그들의 가장 바람직한 모습이
될 수 있도록 도와 주어라.
그리고 그들이 이미
가장 바람직한 모습이 된 것처럼 대하라.
- 괴테

 

 

괴테의 이어지는 이야기입니다.
‘현재의 모습 그대로 상대방을 대해주면
그 사람은 현 상태 그대로 남아있을 것이다.
하지만 상대방이 할 수 있는
잠재능력대로 그를 대해주면
그 사람은 결국 그것을 이뤄낼 것이다.’

반응형
반응형

우리는 자신을 침대에서 나오게 하는
어떤 것을 갖고 있어야 합니다.
침대에서는 아무것도 할 수 없으니까요.
가장 중요한 것은
우리가 향하는 목표지점과 방향을 찾는 것입니다.
- 유명 코미디언 조지 번스

 

미래를 창조하는 데 꿈만한 것은 없습니다.
그러나 인간은 안락한 삶을 추구하고
현재에 안주하려는 경향을 갖고 있습니다.
그렇습니다. 꿈을 가로막는 것은 거창한 것이 아닙니다.
게으름 같은 사소한 습관이 쌓여 거대한 장벽을 만드는 것입니다.
강렬한 목표, 생생한 꿈의 힘을 빌려 게으름을 물리치고
벌떡 일어서는 자에게만 희망찬 미래가 열립니다.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