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반응형

리더는 양떼를 뒤에서 인도하는 목자처럼
조직원들을 이끌어야 한다.
그러나 조직원들이 이끌려 간다는 느낌 없이
리더를 따르도록 해야 한다.
- 넬슨 만델라

 

 

멋진 표현입니다. 리더십의 핵심 개념이 다 들어있습니다.
유사한 의미를 지닌 노자의 글을 다시 보내드립니다.
“훌륭한 지도자는 아랫 사람들이 큰 일을 할 수 있도록 동기를 부여하는 사람이다.
그리고 자기가 임무를 완성 했을 때,
백성들 입에서 “마침내 우리가 이 일을 해냈다”고
자랑스럽게 말할 수 있도록 하는 사람이다.

 

반응형
반응형

 

 

 

 

 

 

 

이 세상에서 제일 좋은 것은 배운다는 것.

돈이란 잃거나 도둑 맞을 수가 있고 건강과 정력은 약해질 수가 있다.

그러나 머리 속에 넣어둔 것은 영원히 당신의 것.

 - 루이 라무르 -

 

 

 

 

 

 

 

 

.

반응형
반응형

열정은 언제나 설득력을 발휘하는 웅변가이다.
말하자면 열정은 자연스런 기술이며,
열정의 법칙은 오류를 모른다.
더 없이 단순하지만 열정이 있는 사람의 설득력이
언변은 아주 유창한데도 열정이 없는 사람의 설득력보다 훨씬 더 강하다.
- 프랑수아 그 라로슈푸코, ‘철학자의 스크랩북’에서

 

열정, 신뢰, 헌신, 사랑을 실천하는 사람은
따로 설득을 위한 노력을 경주할 필요가 없습니다.
그 자체가 사람의 마음을 움직이기 때문입니다.
말로 설득하는 사람은 하수, 행동으로 설득하는 사람은 고수입니다.

 

반응형
반응형

 

 

 

 

 

 

 

 

우리는 누구에게 어떤 것도 가르칠 수 없다.

다만 스스로 발견하도록 도와줄 수 있을 뿐이다.

 - 갈릴레오 갈릴레이 -

 

 

 

 

 

 

 

 

.

반응형
반응형

글을 쓰기로 작정하고 책상에 앉았지만
머릿속에 방벽이 쳐진 것처럼 도저히 글을 쓸 수 없는 상황을
작가의 장벽(Writer’s Block)이라 한다.
쓸 수 없기 때문이 아니라
감동적인 글을 쓸 수 없을 것 같은 두려움 때문에 생긴다.
이를 제거할 수 있는 가장 좋은 방법은
일단 한 문장을 쓰는 것이다.
- 이민규 교수, ‘동아비즈니스리뷰’에서

 

이 교수는 주장합니다. “할 일을 미루면서
의욕이 나지 않기 때문이라 말하는 사람이 많지만
이는 심리학적으로 틀린 설명이다.
의욕이 없어 시작을 못하는 게 아니라
시작을 하지 않기 때문에 의욕이 생기지 않는 것이다.”
하기 싫은 일도 일단 시작하면 그것이 흥분을 유발해
그 일을 계속하게 만드는 현상을 에밀 크레필린 박사는
작동흥분이론(Work Excitement Theory)이라 명명했습니다.

 

'시작이 반'이라는 말이 있듯이 아무리 힘들고 어려워 보이는 일이라도 일단 시작해 보라.

그러면 의외로 쉽게 풀려나간다.

 

반응형
반응형

자네가 평소 사용하는 말이 자네의 미래를 만든다네.
자네가 다른 사람에 대한 험담이나
부정적인 말과 소문들을 내뱉으면
자네의 장래도 그렇게 부정적인 것들로 가득 차게 되네.
자네가 기쁨, 희망, 비전 풍요로움을 말하면
자네의 인생 역시 기쁨과 희망으로 충만하게 되지.
- 혼다 켄, ‘돈과 인생의 비밀’에서

 

별 신경쓰지 않고 매일 매일 일상적으로 쓰는 말이
우리의 미래를 만듭니다.
성공하는 사람들이 일상적으로 사용하는 단어에는
비전, 배려, 사랑과 우정, 감사가 꽉 차 있습니다.
성공하는 단어로 바꿔보세요. 성공이 찾아옵니다.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