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반응형

문지기

 

집 잘 지켜요

 

반응형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편하게 앉으렴  (1) 2025.06.10
걱정 말고 사세요  (0) 2025.06.09
페이스 조절  (1) 2025.06.09
우연은 없다  (0) 2025.06.05
달을 물고 나르는 새  (0) 2025.06.04
반응형

환자와
건강한 사람의 차이가 뭘까요?
환자는 침대에 누워있고, 건강한 사람은
자신의 두 발로 걸어 다니고 있는 걸까요?
맞는 이야기예요. 그렇다면 환자와 건강한
사람의 차이는 '걷다'가 될 것입니다. 환자는
걷지 못하고 건강한 사람은 걷고 있다.
이 말은 즉 인생에서 자신의 길을
중단한 사람이 곧 환자라는
이야기입니다.


- 필립 길버트 해머튼《지적 생활의 즐거움》중에서 -


* 아파보면
걷는다는 것이 얼마나 대단한 것인지를
알게 됩니다. 잘 걷기 위해서는 스스로 페이스
조절을 잘 해야 합니다. 인생길에서도 걷다가 힘들면
쉬었다 가야 합니다. 쉴 때 쉬지 못하면 쓰러지게
됩니다. 그러면 다시 걷기 힘들어집니다.
자신의 인생 목표가 단거리 경주인지
마라톤인지를 판단해서 페이스
조절을 해야 합니다.

반응형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걱정 말고 사세요  (0) 2025.06.09
문지기  (0) 2025.06.09
우연은 없다  (0) 2025.06.05
달을 물고 나르는 새  (0) 2025.06.04
상처를 씻는다  (0) 2025.06.04
반응형

사람은
우연히 태어나
우연히 죽는 것이다.
혼자서 살고 혼자서 죽는다.
죽은 뒤는 무無다. 이런 생각을
받아들이는 것이 가능한지 아닌지에,
내셔널리즘에서 오는 현기증을 극복할 수
있을지 없을지가 달려 있다. 그러나
지금으로서는 이는 인간이라는
존재에게 너무도 힘겨운
일이다.


- 서경식의 《디아스포라 기행-추방당한 자의 시선》 중에서 -


* 세상은 우연으로
점철되어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생각지도 않게 우연히, 우연히, 그 우연들이
겹치고 겹쳐 필연이 되고 역사가 됩니다.
우연을 가장한 필연입니다.
우연은 없습니다.


우연은 예상하지 못한 일이나 결과, 즉 인과관계 없이 일어나는 것을 의미하며, 필연은 인과관계에 의해 반드시 그렇게 될 수 밖에 없는 것을 뜻합니다. 즉, 우연은 예측 불가능한 일이고, 필연은 예측 가능한 일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 우연 (偶然):
    원인 없이 예상치 못하게 일어나는 것을 의미합니다. 예를 들어, 복권에 당첨되는 것은 우연한 일입니다.
  • 필연 (必然):
    반드시 그렇게 되어야 할 것을 의미합니다. 예를 들어, 방탕한 생활을 하는 것이 필연적으로 몰락으로 이어지는 것은 필연입니다.
 
반응형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문지기  (0) 2025.06.09
페이스 조절  (1) 2025.06.09
달을 물고 나르는 새  (0) 2025.06.04
상처를 씻는다  (0) 2025.06.04
새도 사나워질 수 있다  (0) 2025.06.02
반응형

봐라, 저 새 지금
낮달을 물어 나르고 있나 봐

새의 입에 물린 달이 말했다
들어 봐! 저 새가 물어 나르는 시간 속에
긴 숨소리 같은 것이 들리지 않니

나는 그저 달을 우두커니 보고 있었다
그가 조금씩 내 안으로 들어오고 있었다
그와 나는 하나가 되었다


- 문재규의 시집 《달을 물어 나르는 새》 에 실린
  시 〈달을 물어 나르는 새〉 중에서 -


* 새와 달과 내가
하나가 되는 순간이 있습니다.
새가 달을 물고 나는 것을 바라보는 찰나,
새도 달도 내 안에 하나 되어 들어옵니다.
역사와 현실과 내가 하나가 되는 순간도
있습니다. 어둠의 골짜기에서 벗어나
빛을 바라보는 찰나, 모든 것은
빛 속에 하나가 됩니다.

반응형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페이스 조절  (1) 2025.06.09
우연은 없다  (0) 2025.06.05
상처를 씻는다  (0) 2025.06.04
새도 사나워질 수 있다  (0) 2025.06.02
모래알  (0) 2025.06.02
반응형

자고 나면 피고
자고 나면 지고
자고 나면 잎이 나오고
자고 나면 연초록 잎 짙어지고
자고 나면 아침이
금방 노을이 내리고

상처 난 가지에 핀 봄 꽃사태
그 꽃에 취해 상춘을 하며
여러 모양의 상처를 씻는다


- 권희수의 시집《밀려왔다 밀려갔을》에 실린
  시〈상처를 씻는다〉전문 -


* 나무도 꽃도
상처와 함께 자라납니다.
더 단단한 옹이가 생기고, 더 강력한 향기를
풍깁니다. 사람을 취하게 합니다. 사람도,
역사도, 고난과 상처 속에 자랍니다.
지나간 고난 속에 뜻이 있고,
씻고 또 씻어낸 상처 속에
미래가 있습니다.

반응형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우연은 없다  (0) 2025.06.05
달을 물고 나르는 새  (0) 2025.06.04
새도 사나워질 수 있다  (0) 2025.06.02
모래알  (0) 2025.06.02
새가 길을 찾는 방법  (0) 2025.05.30
반응형

새는 사나워질 수 있다.
한배에서 태어난 새끼들은 몸집이 작은
자기 동생을 잡아먹기도 한다. 일부 종의 수컷은
번식 영역을 놓고 육탄전을 벌인다. 하지만 일반적으로
대부분의 종은 육체적으로 격하게 싸우지 않는다. 그럴
여력이 없다. 만약 부상을 당하면 날지 못하니까.
새들은 노래로 자신의 장소와 가족을 지킨다.
시끄러운 노래로.


- 트리시 오케인의《나는 새들이 왜 노래하는지 아네》중에서 -


* 동물에게도
집단의식이 있습니다.
자신의 생명과 종족의 보존을 위해 행동하는
본능적 집단의식입니다. 전혀 배우지 않고도
그들은 그렇게 합니다. 그래서 약한 개체들일수록
무리지어 다닙니다. 새가 대표적입니다. 종족을
지키는 것이 곧 자기를 지키는 것이기에
때론 몹시 사나워집니다.
사람도 그렇습니다.

반응형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달을 물고 나르는 새  (0) 2025.06.04
상처를 씻는다  (0) 2025.06.04
모래알  (0) 2025.06.02
새가 길을 찾는 방법  (0) 2025.05.30
단 한 표 차로 역사가 바뀌었다  (0) 2025.05.29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