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반응형
MindsLab seminar(20140527) 03_실시간 마켓센싱을 위한 마켓인텔리젼스



...


반응형
반응형

“컴퓨터가 당신의 이메일을 읽을까 봐 걱정하는 것은 개가 당신의 벗은 몸을 볼까 봐 걱정하는 것이나 마찬가집니다.”

컴퓨터가 당신의 데이터를 보관하고 있다면, 그것이 폭로될 위험은 늘 존재한다. 프라이버시 정책이 내일 당장 바뀌어서 당사자의 명시적 동의 없이도 과거의 데이터를 새로이 이용할 수 있게 허용할 수도 있다. 또 해커나 범죄자가 데이터를 훔쳐갈 수도 있다. 당신의 데이터를 갖고 있는 기관이 새롭고 공개적인 방식으로 그것을 사용할 수도 있고, 다른 조직에 팔아넘길 수도 있다. FBI는 데이터 주인에게 국가안보서신을 제시할 수 있는 반면, 개에게 주인의 벗은 모습을 설명하게 만들 수 있는 법정은 이 세상에 없다. 

『당신은 데이터의 주인이 아니다』 P. 203






...

반응형
반응형
DevOps!! 도데체 왜, 어떻게 할까??




데브옵스(DevOps)의 현재와 미래 - ChatOps & VoiceOps (윤석찬)



당신은 DevOps 엔지니어가 아닙니다.






...

반응형
반응형

세 가지 방법 : DevOps를 뒷받침하는 원칙




첫 번째 방법 은 특정 부서 또는 업무 부서의 성과와는 달리 전체 시스템의 성과를 강조합니다. 이는 대규모 부서 (예 : 개발 또는 IT 운영) 또는 개별 기여자 (예 : , 개발자, 시스템 관리자).


IT 부서가 사용할 수있는 모든 비즈니스 가치 흐름에 중점을 둡니다. 즉 요구 사항이 식별되면 (예 : 비즈니스 또는 IT) 개발자가 개발 한 다음 IT 운영으로 전환 한 다음 서비스의 형태로 고객에게 제공됩니다.


첫 번째 방법을 실제로 적용한 결과는 알려진 결함을 다운 스트림 작업 센터로 전달하지 않으며, 로컬 최적화가 글로벌 성능 저하를 일으키지 않고, 항상 흐름을 증가 시키며 항상 시스템의 심오한 이해를 달성하려고 시도하는 것을 포함합니다 (Deming에 따라) .




두 번째 방법 은 왼쪽 피드백 루프에 대한 권리를 창출하는 것입니다. 거의 모든 프로세스 개선 이니셔티브의 목표는 피드백 루프를 단축하고 증폭하여 필요한 수정을 지속적으로 수행 할 수 있도록하는 것입니다.


두 번째 방법의 결과에는 모든 고객, 내외부의 이해 및 응답, 모든 피드백 루프의 단축 및 확대, 그리고 필요한 곳에 지식의 포함이 포함됩니다.




제 3의 길은 두 가지를 육성하는 문화를 창조하는 것입니다 : 지속적인 실험, 위험을 감수하고 실패로부터 배우기; 반복과 연습이 숙달의 전제 조건임을 이해하십시오.


우리는 이것들을 똑같이 필요로합니다. 실험과 위험을 감수하는 것은 우리가 지금까지 해왔 던 것보다 위험 지대에 더 깊숙이 들어가는 것을 의미한다고 할지라도, 우리가 개선하기 위해 계속 노력하도록하는 것입니다. 우리는 너무 멀리 지나갈 때 위험 지대에서 물러나는 데 도움이 될 수있는 기술을 숙달해야합니다.


제 3의 방법의 결과는 일상 업무 개선에 시간을 할당하고, 위험을 감수하는 팀에게 보상하는 의식을 만들고, 탄력성을 높이기 위해 시스템에 결함을 도입하는 것을 포함합니다.


...

반응형
반응형

구글지도에 영상도 올릴 수 있는데, 우리나라 명소들은 구글지도에서 보면 사진도 부족하고, 

아쉽기만하다.  


구글지도에서 우리나라 "한라산", "설악산"  검색해보고,  

미국의 "El capitan" 검색해보면 답이 보인다. 


외국인 관광 유치하려면 이런 부분도 신경써야하지 않을까? 우리도 외국가면 구글지도로 다 찾아보지않나? 



“구글 지도에 영상으로 리뷰 남기세요”

http://www.bloter.net/archives/288540


동영상은 대세다. 짧은 시간 노출되더라도 텍스트나 이미지보다 더 큰 효과를 불러올 수 있으므로 어떤 플랫폼이든 동영상 포맷에 큰 노력을 들이고 있다. 구글 지도도 예외는 아니다.

구글은 구글 지도에서 ‘구글 지역 가이드’로 활동하는 사람들이 짧게나마 영상 리뷰를 남길 수 있도록 8월25일(현지시간) 새로운 업데이트를 발표했다. 물론 등록된 영상은 지역 가이드뿐만 아니라 모두가 볼 수 있다.

구글 지역 가이드는 구글 지도에 후기 작성, 사진 공유, 지역에 대한 질문 답변, 장소 추가 또는 수정, 정보의 사실관계 확인을 위해 구글이 만든 글로벌 커뮤니티이다. 누구든 자신의 위치를 선택하고 클릭 몇 번으로 가입해 활동할 수 있다. 구글 가이드에게는 정보에 대한 보상으로 포인트와 구글 서비스 무료 이용권을 제공한다.

이번 업데이트로 구글 지역 가이드 활동자에 한해 영상 리뷰를 등록할 수 있는 기능이 생겼다. 영상 리뷰를 등록하는 방법은 2가지로, 간단하다.

방법 1. 영상을 바로 찍어 올리기

– 구글 검색·지도에서 원하는 장소를 검색한 뒤 정보 페이지에 들어간다.
– 아래로 스크롤 해 ‘사진 추가’를 누른다.
‘카메라’ 선택 후 사진 셔터 버튼을 꾹 누르면 영상이 촬영된다. (단, 10초 이하 영상)

방법 2. 갤러리에서 영상을 선택해 올리기

– 구글 검색·지도에서 원하는 장소를 검색한 뒤 정보 페이지에 들어간다.
– 아래로 스크롤 해 ‘사진 추가’를 누른다.
‘폴더’ 선택 후 원하는 영상을 선택해 업로드 한다. (30초 이하로 영상 추가 가능)

영상을 촬영하고 올릴 때는 구글 리뷰 정책새로운 오디오 콘텐츠 정책을 준수해야 한다. 현재 영상을 업로드 기능은 구글 지도 안드로이드 기기에서만 이용할 수 있다. 웹브라우저에서는 업로드는 할 수 없지만, 영상 리뷰를 보는 것은 가능하다.

구글은 해당 기능은 몇 주에 걸쳐 점차 적용될 예정이며, 올리는 영상에 따라 지급되는 포인트 규정도 점차 업데이트될 계획이라고 전했다.

반응형
반응형

‘비전(Vision)’이란 단어는 외국어다. 그래서 생소하게 느껴질 수도 있다. 이미 알고 있는 사람들도 용어에 대한 정확한 뜻을 이해하지 못하는 경우가 종종 있다. 간혹 종교적 의미로만 해석하는 사람들도 있다. 용어의 뜻을 이해할 필요가 있다.


 

사전적으로는 ‘미래에 대한 구상, 미래상’이라고만 짧게 기술되어 있다. 좀 더 살펴보면 ‘보는 행위 또는 능력, 보는 감각, 꿰뚫어보는 힘, 마음의 시력’을 뜻함을 알 수 있다. 흔히 상상력, 선견, 통찰력으로 번역되기도 한다. ‘광경, 상상도, 미래도’와 같이 보이는 모습의 의미를 담고 있기도 하다.


서양에서 들어온 말이라 우리말에 딱 들어맞는 용어가 있는 것은 아니다. 그래서 원어 그대로 비전으로 불리는 경우가 많다. 굳이 우리말과 비교해서 쉽게 말한다면 ‘꿈’이나 ‘사명’이라는 단어에 가장 근접하다. ‘목표, 목적, 소명, 소망, 소원, 목표설정’과 비슷한 뜻으로 이해될 수도 있다. 동양적으로 바라본다면 ‘삶의 철학, 사상, 가치관, 좌우명’이라는 뜻도 담겨져 있다.


때때로 ‘혼, 신념, 신조, 의지, 믿음, 정신’의 뜻으로 쓰인다. 구어체에서는 ‘어떤 사람의 됨됨이, 미래성, 발전 가능성’으로 사용된다. 그래서 ‘비전 없는 인간’이라고 한다면 앞으로의 미래가 안 보인다는 뜻으로 상당한 욕이 된다.


■ 비전은 목적 달성을 위한 영속적인 지침


비전은 우리 자신의 정체성과도 연관을 맺고 있다. 그래서 우리가 올바른 삶의 방향으로 나아가기 위해서는 자아(自我)에 대해서 좀 더 깊이 있게 알 필요가 있다. 비전은 자아뿐만 아니라 직업, 성공, 행복에 이르기까지 우리 삶의 모든 부분과 연관관계를 맺고 있다.


세계적인 베스트셀러 작가 켄 블랜차드. 그는 《비전으로 가슴을 뛰게 하라》에서 ‘비전은 자신이 누구이고, 어디로 가고 있으며, 무엇이 그 여정을 인도할지 아는 것이다’라고 말한다. 


블랜차드는 비전과 목표를 구분하여 정의 내리고 있다.


비전은 목적을 달성해가는 과정에서 끊임없이 지침을 제공하는 영속적인 것이다. 목표와 비전을 구분하는 한 가지 방법은 다음과 같은 질문을 해보는 것이다. ‘그 다음에는?’


목표는 달성하고 나면 끝난다. 그러나 비전은 미래의 행동을 위한 뚜렷한 방향을 제시하고 새로운 목표를 설정하도록 도와준다. 많은 사람들이 목표만 있고 비전이 없는 경우가 많다. 그렇게 되면 목표만 달성되고 나면 모든 게 끝나버리고 만다.


만일 당신이 ‘아름다운 몸매를 가지고 싶다, 넓고 큰 주택을 구입하고 싶다, 아름다운 별장을 가지고 싶다, 고급 승용차를 구입하겠다, 많은 돈을 모으고 싶다, 경영자가 되고 싶다’라고 생각한다면 그것은 비전이 아니라 목표를 말하는 것이다.


만일 이러한 목표를 비전으로 알고 살아간다면 설령 당신이 원하는 것을 성취한다고 해도 만족보다는 오히려 허무함을 느낄 수 있다. 이러한 목표는 그것을 성취하고 나면 또다시 새로운 목표를 수립해서 도전하면 된다. 하지만 비전은 내 삶에서 영원한 생명력을 가지고 있는 것이다.



출처: http://careernote.co.kr/1455 [정철상의 커리어노트]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