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반응형

사람들이 다시 피난길에 나섰다. 

연말에, 마동수는 피난 열차 지붕에 올랐다. 

부산으로 가야 하는지 대구나 김천에서 내려야 

하는지, 어디서 내리든 별 차이 없을 것이었다. 

열차 지붕 위 아이들은 죽고 또 죽었다. 바람에

날려 가서 죽고 졸다가 떨어져 죽고, 열차가 

터널을 지날 때 터널 천장에 늘어진 철근에 

부딪혀서 죽었다. 열차는 며칠 밤 

며칠 낮이 걸려서 부산에 

도착했다. 



- 김훈의《공터에서》중에서 -



* 피난 열차.

다시는 없어야 할 비극의 열차입니다. 

아이들의 생명을 열차 밖으로 날려버리는 

죽음의 열차, 불행의 열차, 절망의 열차입니다.

현대전은 피난길도, 피난 열차도 의미가 없습니다.

그냥 그 자리에서 모든 축적이 날아갈 뿐입니다.  

그러나 희망은, 극한의 위기가 극적인 기회가

될 수 있다는 엄연한 사실입니다.

위기가 기회입니다.



...

반응형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꿈꾸고 춤춘다  (0) 2017.09.07
누구도 대신 할 수 없다  (0) 2017.09.06
수화명월류(水和明月流)  (0) 2017.09.04
마음을 뚫고 나오는 말과 글  (0) 2017.09.04
믿고 맡겨라  (0) 2017.09.01
반응형

눈에 보이는 것과 

보이지 않는 것이 함께 존재해야 

생명을 존속시킬 수 있다. 보이지 않는 것이 

우리를 버리고 떠날 때에야, 그것이 

뒤돌아서서 사라진 다음에야,

보이지 않는 것이 얼마나 

중요한지 깨닫게 된다. 



- 제임스 힐먼의《나는 무엇을 원하는가》중에서 -



* 눈에 보이는 것이

결코 전부가 아닙니다.

눈에 보이지 않는 것에 더 소중하고 값진 것이 

숨어 있습니다. 혼을 담은 눈으로 보아야 

두 가지가 함께 보입니다. 사랑을 담은 

눈으로 보면 더 잘 보입니다. 



...

반응형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희망이란  (0) 2017.08.01
가난과 문학  (0) 2017.07.31
단지 20초만 만져봐도...  (0) 2017.07.27
'산소가 씹힌다'  (0) 2017.07.26
'한몫'을 한다  (0) 2017.07.25
반응형

"살아 있는 물체와 

살아 있지 않은 물체는 어떻게 다를까?" 

움직이면 생물, 안 움직이면 무생물. 장난치냐고요? 

하지만 움직인다는 행위는 생명을 유지하는 데 있어

매우 중요한 일입니다. 왜? 움직여야 스스로 살 수 

있기 때문입니다. 먹이를 구하고, 위험으로부터 

도망치고, 자손을 번식하기 위해선

'움직여야' 할 테니까요. 



- 석정현의《석가의 해부학 노트》중에서 -



* '움직여야' 삽니다.

아닙니다. 살아 있는 것만 움직입니다.

만일 움직이지 않거나 움직이지 못하면

그것은 살아 있어도 살아 있다 할 수 없습니다. 

오늘 하루를 보내면서, 행여라도 무생물처럼 

스스로 죽은 존재로 만들지는 않았는지

잠깐 돌아보십시오. 그리고

바로 움직이십시오. 



.



반응형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백문불여일견'  (0) 2017.05.24
숨어있는 광맥 발견  (0) 2017.05.23
그대 마음  (0) 2017.05.21
'기쁘기 그지없다'  (0) 2017.05.19
최근에 가장 행복했던 순간  (0) 2017.05.18
반응형

생명을 먹다. 

밭이 있고 논이 있고 

강이 있고 산이 있어서 그 자리에 

서 있기만해도 자연 전체를 만날 수 있는 생활은 

상상을 훨씬 뛰어넘는다. 생생한 사건이 잇달아 일어나고, 

놀라고, 감격하면서 온 가족이 자연 속으로 휩쓸려 

들어갔다. 그중에서도 가장 강렬한 체험은

'먹을 수 있는 자연'을 발견하는 것이 

아닐까. 



- 바바 미오리의《주말엔 시골생활》중에서 - 



* 먹어야 삽니다.

밭과 논과 강과 산은 먹을 것으로 가득합니다.

'생명'으로 가득하다는 뜻도 됩니다. 이따금 시골로, 

자연 속으로 찾아가는 것은 생명을 먹으러 

가는 것과 같습니다. 상상을 뛰어넘는

가장 강렬한 체험입니다.

자연을 먹는 체험!




.


반응형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중요한 것은 사람이다  (0) 2017.03.27
한계의 벽  (0) 2017.03.27
125세 한계 수명  (0) 2017.03.23
재능과 열정, 무엇을 택할 것인가?  (0) 2017.03.23
왜 난 내게 그리도 가혹했을까?  (0) 2017.03.22
반응형

"언제나 보이는 세계와 

보이지 않는 세계를 잇는 다리 위에 있어야 해." 

유칼리나무 숲속을 함께 걸으며 위카가 말했다. 

"우주 만물은 모두 생명을 지니고 있어. 

항상 그 생명들과 만나려고 노력해야 해. 

그 생명들은 당신의 언어를 알아들어. 

그러면 세상은 당신에게 전혀 

다른 의미를 띄게 될 거야." 



- 파울로 코엘료의《브리다》중에서 - 



* '빙산의 일각'이란 말처럼

보이는 것은 한 조각에 불과합니다.

보이지 않는 세계가 훨씬 크고 넓습니다.

사람의 아름다움도 외면보다 내면이 더 깊고, 

사랑도 보이는 사랑보다 보이지 않는 사랑이 

더 크고 깊습니다. 그것을 잇는 다리가

언어입니다.  

반응형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주 화가 난다면  (0) 2017.03.02
전쟁터와 감옥에서 글쓰기  (0) 2017.03.02
자연의 친절한 속임수  (0) 2017.02.27
그리워하라  (0) 2017.02.27
비밀의 땅  (0) 2017.02.24
반응형

같이 사는 강아지도
정말 사랑스럽다. 어릴 때는
그렇게 앙탈을 부리고 사람 옆에만
있으려고 하더니 지금은 식구들 말을 잘 듣고
나를 너무 좋아한다. 짐승이지만
눈을 보면 뭔가 통하는 것
같아서 좋다.


- 박정희의《푸른집 이야기》중에서 -


* 강아지를 키우는 것은
생명을 키워내는 것입니다.
한 마리 강아지를 사랑하는 것은
소중한 한 생명을 사랑하는 것입니다.
가까운 사람을 더 사랑하는 마음으로
확장됩니다. 그럴수록 강아지가
더 사랑스러워집니다.

반응형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 장애 소녀를 살린 조용필의 '비련'  (0) 2016.08.26
'당신은 행복하십니까?'  (0) 2016.08.25
훌륭한 인재를 사냥하는 방법  (0) 2016.08.23
최고가 된다는 것  (0) 2016.08.22
쓸모없는 '책'은 없다  (0) 2016.08.22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