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반응형

튀르베이넨과 동료들은
한 연구에서 도시 거주자 3,000명에게
자연에서의 정서 경험과 회복 경험에 관해 물었다.
그러자 한 달에 다섯 시간을 자연에서 보낼 때 효과가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나는 당장 계산해봤다. 한 달에
다섯 시간이면 일주일에 두 번 30분 정도 푸른 자연으로
나가면 된다는 뜻이다. 튀르베이넨의 동료들은
이렇게도 말했다. "한 달에 2, 3일 정도 도시에서
벗어나도 같은 효과가 나타날 겁니다."


- 플로렌스 윌리엄스의《자연이 마음을 살린다》 중에서 -


* 단 1분이면
아침편지를 읽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그조차도 '시간이 없어서' 못 본다는 사람이
적지 않습니다. 하물며 한 달에 다섯 시간! 자연에서
보내는 그 다섯 시간을 내기가 쉬울 턱이 없습니다.
그래서 결심이 필요합니다. 그 다음은 실천이고,
그 다음은 일상의 습관으로 만드는 것입니다.
하루에 1분, 한 달에 5시간이 그 사람의
인생을 바꿀 수도 있습니다.

반응형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더 많이 지는 사람  (0) 2021.02.01
무심하게 구는 손자손녀들  (0) 2021.01.28
청년들에게 꿈과 희망을!  (0) 2021.01.26
일정한 시간에 일어나는 습관  (0) 2021.01.25
자기답게 사는 법  (0) 2021.01.25
반응형

만약 우리에게 겨울이 없다면
봄은 그렇게 즐겁지 않을 것입니다.
만약 우리에게 고난이 없다면
성공 역시 그토록 환영받지 못할 것입니다.
- 앤 브래드스트리트


"성공하는 사람들은 기꺼이 스스로를 불편한 상태로 만드는 반면,
성공하지 못한 사람들은 모든 결정에서 편안함을 추구합니다."
그렌트 카돈의 '10배의 법칙'에 나오는 말입니다.
근심할 일은 먼저 근심하고, 즐길 일은 나중에 즐기는 선우후락(先憂後樂)을
실천에 옮길 줄 알아야 지혜로운 사람이라 할 수 있습니다.

반응형
반응형

만약 우리에게 겨울이 없다면
봄은 그렇게 즐겁지 않을 것입니다.
만약 우리에게 고난이 없다면
성공 역시 그토록 환영받지 못할 것입니다.
- 앤 브래드스트리트


"성공하는 사람들은 기꺼이 스스로를 불편한 상태로 만드는 반면,
성공하지 못한 사람들은 모든 결정에서 편안함을 추구합니다."
그렌트 카돈의 '10배의 법칙'에 나오는 말입니다.
근심할 일은 먼저 근심하고, 즐길 일은 나중에 즐기는 선우후락(先憂後樂)을
실천에 옮길 줄 알아야 지혜로운 사람이라 할 수 있습니다.

반응형
반응형

그저 스스로가 
그것이 옳다고 판단하고,
그 판단에 대해 믿고 따를 것을 결단하고,
그 결단을 스스로에게 명령하는
삶의 실천을 행한 것일 따름입니다.
자기 판단과 선택, 그리고 결정과 실천이 
어우러지는 그야말로 내 삶을 
내가 살아가는 모습입니다.

- 김연숙의《나, 참 쓸모있는 인간》중에서 - 


* 내가 내 삶의 주체입니다.
내 삶을 내가 살 때에는 시선은 나에게 두고, 
귀는 남의 말에 휘둘리지 않을 정도로
살짝 열어두는 것이 좋습니다.
나를 알고
나를 믿고
나를 사랑하는 나는,
나의 인생을 살고 있습니다.

반응형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임진왜란과 조선 백성들  (0) 2020.04.29
공전과 자전  (0) 2020.04.27
금상첨화  (0) 2020.04.24
'공포'에서 '반야'를!  (0) 2020.04.23
안전거리  (0) 2020.04.22
반응형

마케팅은 너무 너무 중요해서 마케팅 부서에만 맡겨둘 수 없다. 
기업이 세계에서 가장 훌륭한 마케팅 부서를 보유할 지라도, 
다른 부서들이 고객 이익에 부합하는데 실패하면 
여전히 마케팅에서 실패한다. 
- 데이비드 패커드 (David Packard), 휴렛 패커드 공동 설립자

마케팅은 하나의 부서로 운영되는 상황을 넘어서야 합니다. 
마케팅과 고객중심 사고는 기업의 비전속에 스며있어, 
고객가치 및 만족을 모든 사람의 임무로 만들려는 
원칙 및 실천 관행을 제공해야 합니다. 
소위 전사적 마케팅이 필요합니다. 
현실적으로 쉽지 않지만 도전해야 할 과제입니다. 

반응형
반응형

내가 나를 위하지 않으면 누가 나를 위하겠는가?
그렇지만 나만을 위해 산다면 삶의 의미가 무엇이겠는가?
그리고 지금 배우고 실천하지 않으면 언제 하겠는가?
- 피르케이 아보트 (탈무드) 

우리 모두는 내가 가지고 태어난 무한 잠재력을 100% 개발할 의무가 있습니다.
그렇게 해서 만들어낸 성과를 세상을 바꾸는데,
더 좋은 세상을 만드는데 쓰도록 해야 합니다.
그러기 위해서는 끝없이 학습하고 배운 대로 실천하는 삶,
어제 보다 더 나은 나를 만들기 위한 끝없는 투쟁(?)이 필요합니다.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