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반응형

지금의 교육은
학생들이 자율적으로 생각하는 것을
극히 어렵게 만들고 남들과 똑같이 순응하며
살게 만듭니다. 그 과정에서 불만은 억누르게 되고,
자발성은 사라지고, 두려움이 자리잡기 시작합니다.
그 두려움이 삶에 대한 진정한 이해를 가로막습니다.
그리고 나이 들어 가면서 그들의 마음과
가슴은 무디어집니다.


- J.크리슈나무르티의《교육을 말하다》중에서 -


* "내 아이를 어떻게 키울 것인가!"
부모의 가장 큰 관심은 내 아이의 교육입니다.
그러나 지금의 교육 현실은 걱정이 태산입니다.
타고난 끼와 꿈과 재능을 살려 주기는 커녕
균등화된 '성적 기계'로 키우고 있습니다.
바다보다 더 넓고 푸르러야 할 가슴을
타다만 숯덩이로 만들고 있습니다.  

반응형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무지한 사람  (0) 2016.12.08
습관의 노예, 습관의 주인  (0) 2016.12.07
알맹이  (0) 2016.12.05
'골목길 학교'  (0) 2016.12.02
'오리지널' 아이디어  (0) 2016.12.01
반응형

그러니까 서로 닮았다는 점,
서로 오랜 기간 함께 살아왔다는 점은
공감의 메커니즘을 강화하는 요인이 된다.
공감의 단계에서 더 나아가 다른 사람과
진정한 관계를 맺을 때, 비로소 우리는
우리 자신을 관찰하고 이해하며
뭔가를 배워나가게 된다.


- 엘사 푼셋의《인생은, 단 한번의 여행이다》중에서 -


* 공감하면 닮아갑니다.
같은 곳에서, 같이 먹고, 같이 생각하고,
같이 바라보면 어느덧 한몸처럼 됩니다.
문제는 그 다음입니다. 끊임없는 자기 성찰과
타인에 대한 보다 더 깊은 이해가 더해질 때
서로 닮아가는 공감의 울타리가
더욱 넓혀지게 됩니다.

 

반응형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겸손의 문턱  (0) 2016.06.15
영성의 시대  (0) 2016.06.14
비움과 채움, 그리고 해독  (0) 2016.06.13
다시 일어나라  (0) 2016.06.10
나의 장미꽃 한 송이  (0) 2016.06.09
반응형

내가 그렇듯이
이 사람도 자신의 인생에서
어려움을 겪어왔다. 내가 그렇듯이
이 사람도 고통을 안다. 내가 그렇듯이
이 사람도 이 세상에서 쓸모 있는 존재가
되고 싶지만, 실패하는 것이 어떤 기분인지도
잘 알고 있다. 우리가 취할 행동이라고는
그 사실을 이해하겠다고
선택하는 것뿐이다.


- 켈리 맥고니걸의《스트레스의 힘》중에서 -


* 나를 이해하면
다른 사람도 이해할 수 있습니다.
나를 들여다 보면 다른 사람도 보입니다.
나의 삶속에서 다른 사람의 삶도 보입니다.
온갖 어려움과 고통과 실패까지를 포함하여
내가 나의 삶을 사랑하면 다른 사람의
삶도 사랑할 수 있습니다.     

반응형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차에 치인 개 이야기  (0) 2015.12.18
조용히 앉아본 적 있는가  (0) 2015.12.17
행복한 곳으로 가라  (0) 2015.12.15
나는 어떤 사람인가?  (0) 2015.12.14
나를 행복하게 하는 시간  (0) 2015.12.12
반응형

'이해'(Understand)란
말 그대로 'Under'(낮은 곳에)+'Stand'(서는)
일입니다. 가장 낮은 곳에 서면 이해하지 못할
사람이 없고, 상대방의 고통을 이해하면
누구와도 공감하게 됩니다. 어쩌면,
진정한 치유는 거기서부터
시작되는지도 모릅니다.


- 김해영의《당신도 언젠가는 빅폴을 만날거야》중에서 -


* 이해하면
풀리기 시작합니다.
공감하면 하나가 됩니다.
내가 상대방보다 한 발 낮은 곳에 설 때
가능합니다. 이해하고 공감하는 것이
진정한 치유의 시작이고
끝입니다.

반응형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내 몸  (0) 2014.11.20
6초 포옹  (0) 2014.11.19
그대 목소리를 듣는다  (0) 2014.11.17
인생 나이테  (0) 2014.11.15
사교적인 사람  (0) 2014.11.14
반응형

상대를 이해한다는 것은


자기의 말을 정말로 잘 들어줄,
그러니까 좀 더 정확히 말하자면
자기의 말을 정말로 잘 이해해 줄 누군가가
필요하다는 것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습니다.
이를테면 우리 사람에겐 자신을 사랑해줄
그 누군가가 절대적으로 필요하다는 것이죠.


- 이정하의《우리 사는 동안에》중에서 -


* 누군가를 이해한다는 것은
상대를 골똘히 생각하는 것부터 시작됩니다.
상대의 일상과 처해진 상황을 머릿속으로 그려보고,
눈으로 바라보고, 귀로 상대의 말을 듣고, 마음으로 느끼고,
머리로 깨달으며 상대가 되어 가는 것입니다.
우리는 흔히 “너를 이해해” 라고 말합니다.
우린 얼마나 이해하며 그렇게 말할까요.
진정 누군가를 이해한다는 것은
사랑하는 것입니다.

반응형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선한 싸움  (0) 2014.02.18
영혼의 창  (0) 2014.02.17
모두 다 당신 편  (0) 2014.02.14
톨스토이는 왜 '여성 심리 대가'가 되었을까?  (0) 2014.02.13
성스런 신전, 그 문지기  (0) 2014.02.12
반응형

 인정받고, 대접받고, 이해받고, 사랑받고자하는 모든 스스로 만든 구속을 놓아 보내주라. 인정받지 않더라도 당신은 충분히 빛난다 - 법상스님 -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