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읽자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 하루 한 시간씩 열흘! (0) | 2025.03.05 |
|---|---|
| 함께 살만한 따스한 공간 (0) | 2025.03.05 |
| 맞바람, 뒷바람 (0) | 2025.03.05 |
| 자신에 대한 정직함 (0) | 2025.02.27 |
| 새 물건을 사는 재미 (0) | 2025.02.26 |
책
읽자

| 하루 한 시간씩 열흘! (0) | 2025.03.05 |
|---|---|
| 함께 살만한 따스한 공간 (0) | 2025.03.05 |
| 맞바람, 뒷바람 (0) | 2025.03.05 |
| 자신에 대한 정직함 (0) | 2025.02.27 |
| 새 물건을 사는 재미 (0) | 2025.02.26 |
책 읽어주기는
아이들의 마음을 안정시키는
안전기지를 구축하는 데 기여한다.
우리는 이러한 사실을 뇌과학 및 심리학 실험을
통해 증명해냈다. 그렇다면 이러한 효과를 얻으려면
책을 얼마나 읽어주어야 할까? 실험 데이터를 보면
책을 읽어주는 시간이 길어질수록 스트레스가
줄어드는 경향을 엿볼 수 있다. 따라서 시간이
허락하는 한 부모에게 과도한 부담이 되지
않는 선에서 되도록 많이, 자주 책을
읽어주는 것이 가장 좋다.
- 김대식의 《독서의 뇌과학》 중에서 -
* 어릴 적
부모님이 읽어주던 책은
아이의 가슴에 깊이 남습니다.
책의 내용이 아니라, 그때의 정서가
한 방울도 새지 않고 잠재의식에 고스란히 저장됩니다.
이것은 아이의 성장 과정에서 필연으로 맞게 되는
어려움을 극복할 수 있는 용기와 지혜의 근간이
되어줍니다. 부모가 자녀에게 책을 읽어줌은
사랑을 주는 것입니다. 유형무형의 막대한
유산을 남겨주는 것입니다.

| 영원한 연인 (0) | 2024.11.28 |
|---|---|
| 멋진 걸 보는 눈 (0) | 2024.11.27 |
| 재테크보다 근테크가 더 중요하다 (0) | 2024.11.25 |
| 벌거숭이 (0) | 2024.11.25 |
| 안빈낙도(安貧樂道) 수양 (0) | 2024.11.22 |
"저녁이 되면 집으로 돌아와
먼지가 내려앉은 옷을 벗고 관복으로
갈아입는다. 그리고 홀로 옛 선인들의 정원인
서재로 들어간다. 매일 그들과 네 시간 동안
대화를 나누다 보면 잠시나마 나는 내 삶에
주어진 모든 시련과 고통을 잊게 된다."
(마키아벨리가 프란체스코 베토리에게
보낸 편지 중에서)
- 조윤제의 《신독, 혼자 있는 시간의 힘》 중에서 -
* 책을 읽을 때
어떤 마음가짐으로 읽고 계십니까?
'군주론'을 쓴 마키아벨리가 의관을 갖추고
서재로 들어갔다는 사실이 큰 울림을 줍니다.
마치 위대한 스승이나 옛 선인들을 만나 대화를
하는 마음으로 책을 읽는다면, 그 자체만으로
'지혜와 치유'의 시간이 될 것입니다.
홀로 있는 시간이 더없이
행복할 것입니다.

| 니체의 별명 '꼬마 목사' (0) | 2024.11.13 |
|---|---|
| 전쟁터의 샘물에서 (0) | 2024.11.12 |
| 아메리카 (0) | 2024.11.11 |
| 세상에서 가장 안전한 곳은 (0) | 2024.11.08 |
| 돈은 '힘'이다? (0) | 2024.11.07 |
자기 학력 수준에 맞는
글을 읽고 그 의미를 제대로 이해하지
못하는 학생이 10명 중 3명이나 된다. 성인도
다를 게 없다. 한 대학에서 성인을 대상으로 한
문해력 진단 결과 정답률은 50%였다고 한다.
이 조사 대상자들의 85%가 대학 재학
이상의 교육을 받았다. 이쯤 되면
문해력의 위기라는 말이
호들갑은 아닌 셈이다.
- 김을호의 《결국 독서력이다》 중에서 -
* 독서법은
속독, 정독, 다독으로 나뉩니다.
이 가운데 다독은 한 사람이 여러 권의 책을
읽는 것을 말합니다. 하지만 진정한 다독은 한 권의
책을 열 번, 백 번, 반복해서 읽는 것입니다. 한 작가의
작품을 여러 번 읽다 보면 그 작가의 문체를 알게 됩니다.
작가의 문체적 특성뿐만 아니라 드러내지 않은 행간까지도
읽어낼 수 있습니다. 이것이 쌓일 때 문해력이 생겨납니다.
물론 하루아침에 생겨날 수 있는 것이 아닙니다.
'밥 먹듯이 책을 읽으라'는 옛말이 괜히
있었던 것이 아닙니다.

| 미로 (0) | 2024.09.28 |
|---|---|
| 자신만의 힐링 장소 (0) | 2024.09.27 |
| '내면의 음악'이 들릴 때 (2) | 2024.09.25 |
| 건강한 장수 비결 (0) | 2024.09.24 |
| 천년의 사랑, 영원한 사랑 (0) | 2024.09.23 |
한 분야의 책
100권을 읽으면 그 분야의
전문가가 될 수 있다고 한다. 한 권의
책을 쓰기 위해서는 100권의 책을 읽으라는
의미이기도 하다. 목적이 있는 독서는 전문가
수준의 지식과 통찰을 얻는 가장 빠른 방법이다.
이런 변화를 경험하면서 삶의 질이
높아지고 인생의 방향도 바뀐다.
- 김을호의 《결국 독서력이다》 중에서 -
* 한 사람이 경험할 수 있는
시간과 공간은 한계가 있습니다.
그 한계를 뛰어넘을 수 있는 길은 책 속에 있습니다.
앞서 간 선지식들이 펼쳐놓은 세계 속으로 들어가
흠뻑 젖어 들면 그때에 비로소 비밀의 정원이
그 자태를 드러냅니다. 100권은 상징적인
숫자입니다. 일생에 1,000권, 10,000권을
읽는 목표 그 자체만으로도 인생의
방향이 바뀝니다.

삶을 살다가
어떤 의문에 봉착했을 때 찾아갈 곳이
서점이다. 무언가 고적할 때 찾아가서 그
고적을 치유받을 수 있는 공간이 서점이다.
책이 있기에 우리는 외롭지 않다. 책은 언제나
따뜻하고 책의 내용은 언제나 옳다. 독서는
혼자 하는 행위이지만 위대한 선현들과
대화할 수 있고 오늘의 세계인들과
교류할 수 있다. 책들은 다정한
우리 모두의 친구들이다.
- 김언호의《세계 서점 기행》중에서 -
* 찻집에는 차가 있고
책방에는 책들이 있습니다.
언제 찾아도 반겨주는 친구들이 가득합니다.
삶은 늘 질문을 안겨주지만 마땅한 답을 얻지
못할 때가 많습니다. 외로움 때문에 흔들릴
때도 많습니다. 그럴 때마다 현명한 답을 주는
좋은 스승, 외로움을 함께 나누는 좋은
친구가 필요합니다. 우리가 서점을
찾는 이유입니다.

| 사는 게 힘들죠? (0) | 2024.09.05 |
|---|---|
| 눈을 감아야 별이 보인다 (0) | 2024.09.04 |
| 꿈이라면 보일까 (0) | 2024.09.02 |
| 화로 (0) | 2024.09.02 |
| '나는 건강해 행복해, 그러니 감사해' (0) | 2024.08.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