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반응형

우리는 살아 있는
모든 순간에 잘 살아야 한다.
디오게네스도 비슷한 이야기를 했다.
누군가 그에게 '이제 나이가 들었으니
쉬어야 하지 않겠느냐'고 했을 때 이렇게
답했다고 한다. "내가 달리기를 하고 있는데
결승점에 다가간다고 달리기를
멈추어야 할까?"


- 고병권의《철학자와 하녀》중에서 -


* 그렇습니다.
모든 순간에 잘 살아야 합니다.
젊을 때는 젊으니까 잘 살아야 하고
나이가 들면 들었으니까 더 잘 살아야 합니다.
그래서 달리기의 결승점에 이르는 순간까지
'열심히 달렸다', '최선을 다했다'고
스스로 말할 수 있을 때, 비로소
잘 살았다 할 수 있습니다.

반응형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용서를 받았던 경험  (0) 2015.02.09
사랑해요 엄마  (0) 2015.02.07
이타적 사랑  (0) 2015.02.05
회복 탄력성  (0) 2015.02.04
달리는 여자가 아름답다  (0) 2015.02.03
반응형

 

좋은 것이건 나쁜 것이건
 당신이 현재 소유하고 있거나 앞으로 소유하게 될 모든 것은
 당신의 ‘생각’이라는 매개체를 통해 당신에게 이끌린 것이다.
당신의 뇌는 자석과 같아서
 당신이 소유한 모든 것이 들러붙는다.
현재 당신의 위치가 어디건
 그것은 당신의 지배적인 생각의 결과다.
- 나폴레온 힐


긍정적인 생각은 긍정적이고 바람직한 것을,
부정적인 생각은 가난과 비참함 등
 온갖 종류의 불쾌한 것들을 끌어들입니다.
다행히 신은 우리에게 우리 마음을 통제할 수 있는
 절대적인 힘을 주었습니다.
우리 운명의 주인은 바로 ‘나’인 것입니다.

 

반응형
반응형
사랑 없이는,
정서적으로 교감해 본
경험 없이는, 아무도 행복할 수 없다.
장담하건대, 모든 정서적 관계 속에는
자기중심적인 이기적 사랑과 이타적 사랑,
두 가지 차원이 공존한다. 사랑은, 친구 또는
배우자가 강력한 이타적 상호성 속에서
사랑할 때 훨씬 강력하고 눈부시다.


- 프레데릭 르누아르의《행복을 철학하다》중에서 -


* 사랑에도 중심추가 있습니다.
무게 중심추가 어느 쪽이냐에 따라
이기적 사랑, 이타적 사랑으로 갈립니다.
이기적 사랑과 이기적 사랑이 만났을 때는
쉽게 갈라지고 부서집니다. 그러나 이타적 사랑과
이타적 사랑이 만나면 깊고 편안해집니다.
내 중심추가 상대에 쏠려 있는데도
상대방은 어느덧 내 안에
들어와 있습니다.

 

반응형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랑해요 엄마  (0) 2015.02.07
모든 순간에 잘 살아야 한다  (0) 2015.02.06
회복 탄력성  (0) 2015.02.04
달리는 여자가 아름답다  (0) 2015.02.03
손님이 덥다면 더운거다  (0) 2015.02.02
반응형

2015.02.05 수영일지

 

어제의 여파로 온몸이 찌뿌둥.....

 

화목은 라인 구성이 다른가보다.

어제와 같은 줄에 서 있는데, 중급이군.

킥판 잡고 자유형킥 4

땅콩끼고 자유형 스트로크 4, 4, 4, 4

마무리 접영 25m 3. 

 

몸이 무거워서 접영이 안된다.

체력 보강필요함.

반응형

'운동일지 > 수영'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15.02.12 수영강습  (0) 2015.02.12
2015.02.11 수영일지  (0) 2015.02.11
2015.02.04 수영일지  (0) 2015.02.04
수영 간만에 등록  (0) 2015.02.02
양재 YMCA 수영장 - http://www.yjymca.or.kr/  (0) 2015.01.19
반응형

 

우선 태도가 중요하다.
사람은 미안하다는 말을 듣고 싶은 게 아니라
 상대가 미안하다고 느끼는 것을 원하기 때문이다.
사과의 핵심도 미안하다(I am sorry)가 아니라
 내가 틀렸다(I was wrong)이다.
본인의 잘못을 겸허하게 인정하는 것에서부터 출발해야 한다.
- 김호 더랩에이치 대표 (‘쿨하게 사과하라’에서)

김호 대표의 계속되는 주장입니다.
“또 나의 잘못을 산더미처럼 부풀려라.
자신의 실수가 5라면
 사과는 그 두 배인 10만큼 해야 한다.
사과하는 사람이 패자가 아니라
 사과를 제대로 못하는 사람이 패자다.”


 

 

반응형
반응형

일반적으로 회복 탄력성이란
스트레스나 도전적 상황, 역경을 딛고
일어서는 힘이라고 정의합니다. 우리는
휴대전화 배터리를 그날그날 충전합니다.
사람의 에너지도 마찬가지입니다. 매일매일
에너지를 충전해야 피로나 스트레스 속에서도
활력을 되찾고 잘 살아갈 수 있습니다.
그러기 위해서는 회복탄력성이
필요합니다.


- 최성애의《나와 우리 아이를 살리는 회복탄력성》중에서 -


* 요즘 옹달샘에
선생님들이 줄지어 오고 계십니다.
이 나라의 많은 선생님들에게 가장 필요한 것이
'회복 탄력성'이 아닌가 싶습니다. 누구보다도
많이 지쳐 있고, 누구보다도 많은 에너지의
충전이 필요합니다. 선생님들의 기운이
넘쳐야 학생들의 '회복 탄력성'도
높아집니다.

반응형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모든 순간에 잘 살아야 한다  (0) 2015.02.06
이타적 사랑  (0) 2015.02.05
달리는 여자가 아름답다  (0) 2015.02.03
손님이 덥다면 더운거다  (0) 2015.02.02
꽃보다 더 아름다운  (0) 2015.01.31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