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반응형
코리안 디아스포라



나의 수식어가
무엇인지 오랫동안 고민하던 중에
'디아스포라'라는 개념을 접했다. 처음에는
팔레스타인을 떠나 전 세계에 흩어져 사는
유대인들을 지칭하는 표현인 줄로만 알았다.
하지만 대한민국을 떠나 미국에 살면서, 여러 국가에서
자신을 코리안으로 소개하는 다양한 친구들과 마주치며
디아스포라가 유대인뿐 아니라 대대로 이어 온 삶의
터전인 본국을 떠나 타지에서 살아가는 모든
이들을 통칭하는 것임을 알게 되었다.


- 전후석의《당신의 수식어, 더 큰 세상을 위한 디아스포라 이야기》중에서 -


* 우리에게도 750만 명의 디아스포라가
있습니다. 그중 24세 이하의 청소년이 250만 명입니다.
단 1%라도 우리 피가 섞인 인구는 2억 명에 이른다는 통계도
있습니다. 흔히 '몽고반점'으로 통칭되는, 같은 혈통의 DNA를
가진 '코리안 디아스포라'가 그만큼 전 세계에 많이 흩어져
있는 것입니다. 우크라이나에 살고 있는 1만 5천 명의
'고려인'도 '코리안 디아스포라'들입니다.
더없이 귀중한 인적자원입니다.
반응형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 시대의 영성  (0) 2022.03.07
농촌을 살리는 길  (0) 2022.03.04
젊은 시절에는 갖기 어려운 마음  (0) 2022.03.04
길가메시여, 힘에만 의지하지 말고  (0) 2022.03.04
'우리는 힘든 일을 치렀어'  (0) 2022.03.04
반응형


시시각각 죽음에 가까워짐을 알아서 하루의 시간을 가지고 값을 논할 수 있게 된다면
어찌 지혜롭지 않겠는가? 설령 수명이 대단히 길다 해도 몹시 아껴 쓰지 않으면
반드시 마땅히 해야 할 일에 힘쓰기에도 부족하다.
하물며 함부로 써서 덕을 어그러뜨리는 일이나
아무 도움이 안되는 일에 힘쓰는 것이야 말로 말해 무엇하겠는가?
그러므로 재물에 인색한 것은 소인의 잘못이고, 시간에 인색한 것은 군자의 덕이다.
- 세네카


스티브 잡스는 죽음을 생각하는 삶에 대해 이렇게 말합니다.
“곧 죽는다는 사실을 기억하면 살면서 중요한 선택을 내릴 때
큰 도움이 됩니다. 외부의 기대, 자부심, 망신이나 실패에 대한 두려움 등
거의 모든 것이 죽음 앞에서 사그러지고 정말로 중요한 것만 남기 때문이죠.
죽는다는 사실을 기억하는 한 당신에게는 이미 잃을게 없습니다.
그러니 가슴 뛰는 일을 하지 않을 이유가 없습니다.”

반응형
반응형

젊은 시절에는 갖기 어려운 마음


젊은 시절에는
갖기 어려운 마음가짐입니다.
빠르지 않아도 좋아요. 그러나
우리 포기하지 말고 한 걸음씩 걸어요.
성공을 향해서가 아니라 행복을 향해서.
거기에서 우리는 다 같이 만날 테니까.


- 이문수의《누구도 벼랑 끝에 서지 않도록》중에서 -


* 젊음의 특권이 있습니다.
젊기 때문에 가능하고 용인되는 것들입니다.
그 과정에서 빠지기 쉬운 함정이 성급함입니다.
무슨 일이든 빠른 것이 좋다는 생각에 조급해집니다.
그 때문에 겪는 낙심과 좌절감이 클 수밖에 없습니다.
빠르지 않아도 괜찮다는 것, 속도보다 방향이 중요하고
포기하지 않으면 반드시 목적지에 도달한다는 것,
나이 들면서 얻는 지혜입니다.

반응형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농촌을 살리는 길  (0) 2022.03.04
코리안 디아스포라  (0) 2022.03.04
길가메시여, 힘에만 의지하지 말고  (0) 2022.03.04
'우리는 힘든 일을 치렀어'  (0) 2022.03.04
선선한 거리  (0) 2022.02.26
반응형

No를 거꾸로 쓰면
NO를 거꾸로 쓰면 전진을 의미하는 ON이 된다.
모든 문제에는 반드시 문제를 푸는 열쇠가 있다.
끊임없이 생각하고 찾아내라.
- 노먼 빈센트 필


판매의 신으로 일컬어지는 엘머 레터맨 역시
‘판매는 거절당한 때부터 시작이다’고 No-On의 비밀을 말하고 있습니다.
모든 사람들이 안된다고 생각해 포기할 때 고(Go)를 외칠 수 있는 사람,
그 사람이 바로 승리자입니다.

‘성공이란 대체로 남들이 끈을 놓아버린 뒤에도
계속 매달려 있는 사람에게 돌아가는 대가’라는 말을 새겨봅니다.

반응형
반응형
 



그들은 서로 손을 잡고
서둘러 대장간으로 갔네.
거기서 대장장이들이 앉아 의논했네.
그들은 멋진 손도끼들을 만들었고,
도끼의 무게는 각각 3달란트였네.
길가메시여, 힘에만 의지하지 말고
멀리, 골똘히 보시기를, 믿을 수 있는
일격을 가하시기를! '앞에 가는 자가
동행자를 구제하며, 길을 아는 자가
친구를 보호하리라.'


- 작자 미상, 앤드류 조지 편역의 《길가메시 서사시》 중에서 -


* '길가메시 서사시'.
인류 최초의 신화를 점토판에 풀어낸
가장 오래된 대서사시입니다. 인간의 근원적 질문인
삶과 죽음, 사랑과 이별 등에 대한 고대 수메르인들의
생각과 세계관이지만 오늘에도 적용할 수 있는 현답이
담겨 있습니다. 전쟁과도 같은 삶에서 3달란트(약 100kg,
1달란트는 26~36kg)의 손도끼나 힘에 의존하지 말고
"길을 찾아라. 길을 아는 자가 친구를 보호한다."고
말합니다. 죽음이 아닌 삶의 길, 불행이 아닌
행복의 길, 절망이 아닌 희망의 길.
반응형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코리안 디아스포라  (0) 2022.03.04
젊은 시절에는 갖기 어려운 마음  (0) 2022.03.04
'우리는 힘든 일을 치렀어'  (0) 2022.03.04
선선한 거리  (0) 2022.02.26
누가 내 삶의 승자인가  (0) 2022.02.25
반응형


어쩌면 우리가
받아들여야 할 현실은
'난 아무것도 되지 못했어'가 아닐 수 있다.
'우리는 힘든 일을 치렀어, 삶은 큰 실험이었지.
하지만 지금 우리를 봐, 아주 많은 걸 이뤘잖아'가
더 맞는 말일지도 모른다.


- 에이다 칼훈의《우리가 잠들지 못하는 11가지 이유》중에서 -


* 살다보면
받아들이기 힘든 아픔과 시련들이 많습니다.
'왜 나에게 이런 일이 닥쳤지?'라며 분노하고 낙심과
절망의 늪에 빠지기 쉽습니다. 견딜 수 없이 힘든 시련을
큰 실험으로 받아들이고 그를 통해 얻은 것, 이룬 것을
생각하며 새로운 동력으로 삼으면
감사할 일이 생깁니다.
희망이 보입니다.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