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반응형
잘한 일 세 가지와 그 이유를 일주일 동안 매일 기록한 사람들은
6개월 동안 어린 시절 기억을 기록한 집단보다 행복감이 커졌다.
매일 매일 정말 잘한 일 세 가지와 그 이유를
5- 10분 동안 기록한 사람들은 3주 만에 정신 및 신체적 고통이 완화되었고
스트레스도 감소했다.
자신이 기여한 일을 세면 자신감이 증가하고 더 노력하게 된다.
- 세릴 샌드버그, ‘옵션 B’에서

매일 5-10분 만 투자해서 감사와 더불어
자신이 잘한 일 세 가지를 기록해 보십시오.
행복감, 자신감이 증가하게 됩니다.
잘한 일을 적으면 작은 승리(small wins)에 집중하게 되어
더 큰 성공을 이루게 됩니다.
스스로 잘 한 일을 기록하는 습관을 가져보세요.

...
반응형
반응형
사람의 한계란 절대 알 수 없다. 세상의 어떤 검사, 스톱워치로도
인간의 잠재력을 측정하지 못한다.
꿈을 좇는 사람은 한계로 보이는 벽을 훌쩍 뛰어넘어 버린다.
우리 안에 존재하는 잠재력은 한계가 없고
많은 부분이 아직 미사용인 채로 남아있다.
- 로버트 크리겔

우리는 우리가 아는 것보다 위대합니다. 
T. S 앨리엇은 “위험을 무릅쓰고 저 멀리 나아가는 사람만이
자신이 얼마나 멀리까지 갈 수 있는 지 알 수 있다.”고 말했습니다.
그렇습니다. 자신을 계속 몰아붙이지 않으면
자신의 한계가 어디인지, 잠재력의 끝이 어디인지 결코 알 수 없습니다.

...
반응형
반응형
실패는 당연한 것이요, 필수적인 것이다.
실력이 탁월한 사람은
실패와 마음 편하게 공존하는 법을 터득한 사람이다.
탁월한 사람은 평범한 사람보다 더 많이 실패한다.
더 많이 시작하며 더 많이 시도하고 더 많이 공격한다.
통달은 언제나 실패의 산 정상에 조용히 앉아 있다.
- 에릭 그레이튼스

실패를 많이 할수록 탁월함에 이를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탁월함을 추구하는 사람과 조직이라면 누구나
실패를 환영하고 장려할 수 있어야 합니다.


...
반응형
반응형

사람들은 일을 열심히 해서 피곤하다고 생각한다.

그러나 일을 열심히 해서 피로감을 느끼기란 쉽지 않다.

사람들이 피곤해 하는 이유는 목표가 없기 때문이다.

일 때문에 피곤한 것이 아니라

그 일을 왜하는지 잊어버렸기 때문에 피곤한 것이다.

- 존 고든, ‘인생단어’에서


같은 책에서 이어지는 내용입니다.

“행복은 일을 마치고 얻는 열매가 아니라, 그 일의 의미와 목표다.

열정과 목표를 따라가면 행복은 자연스럽게 찾아온다.

행복을 찾아 나설 필요가 없다.

성공을 좇는 대신 원대한 목표를 세우고 세상에 변화를 불러오겠다고 다짐하라.

그러면 성공은 알아서 찾아올 것이다.”



...

반응형
반응형
반응형
반응형

단순히 비전을 세우는 것만으로도 당신은 고무될 수 있다.

비전은 흥미롭고 감성을 자극하는 것이어야 한다.

머리뿐 아니라 가슴에게도 들려야 하는 말이다.

당신이 비전을 달성했을 때를 상상하면 소름이 돋는 그런 비전을 세우라.

좀 아득하고 불분명한 비전도 좋다.

그러나 지루하거나 평범하거나 낡아빠진 비전은 안 된다.

- 밥 보먼, ‘골든 룰’에서


달성 가능성이 높은 겸손한(?) 비전이 좋을까요?

달성 불가능해 보이더라도

달성했을 경우를 생각하면 가슴이 떨리는 원대한 비전이 좋을까요?

비전을 생각하면 가슴이 뛰어 자다가도 벌떡 일어날 수 있어야 합니다.

달성이 불가능해 보일수록 제대로 된 비전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