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반응형

나는 성숙을 자기중심주의의 소멸이라고 정의한다.

성숙한 사람은 타인을 소중히 여기기 때문에

타인의 관점에서 볼 수 있다.

성숙한 사람은 자기가 먼저 사다리를 오르겠다고

몸싸움을 벌이는 것이 아니라,

타인이 먼저 오를 수 있게 사다리를 만들어준다.

- 존 고든, ‘인생 단어’에서


다른 사람이 내가 만든 사다리를 딛고 정상으로 올라갈 때,

사다리를 만든 사람은 비로소 성공하게 됩니다.

다른 사람의 성공을 돕는 것,

내가 받는 것이 아니라 더 많이 주는 것이

성공의 척도가 됩니다.



...

반응형
반응형

인생의 비극은 주로 실패가 아닌 현실 안주에서,

너무 많은 일을 하는 것이 아닌 너무 적은 일을 하는 것에서,

능력 이상으로 사는 것이 아닌 능력 이하로 사는 것에서 비롯된다.

- 벤저민 메이스 (인권 운동가)


일이 많은 것이 아니라, 할 일이 없는 것이 비극입니다.

실패가 아닌 현실안주가 도태를 부릅니다.

한계를 뛰어넘는 도전을 계속할 때

우리 능력의 한계는 계속해서 넓어집니다.



...

반응형
반응형

인생에서 가치 있는 것은 모두 오르막이다.

인생에서 가치 있는 것, 당신이 소망하고 이루고 싶은 것,

당신이 누리고자 하는 것은 모두 오르막이다.

문제는 대부분의 사람 들이 꿈은 오르막인데,

습관은 내리막이라는 사실이다.

- 존 고든, ‘인생단어’에서


이미 굳어진 습관대로 살아가는 것은 매우 쉬운 일입니다.

그러나 편안하게, 습관대로 살아가서는

좋은 결과를 얻기 어렵습니다.

힘겹고, 고되고, 험난하고 가혹한 경험이 함께하는

오르막을 통과해야만 뭔가 가치 있는 것을 이뤄낼 수 있습니다.



...

반응형
반응형

낙관적인 사람이 일을 더 열심히 하고, 급여도 더 많이 받는다.

공직에 선출될 확률도 더 높고, 스포츠에서도 더 많이 승리한다.

부정적인 감정을 주로 느끼는 사람은 상대적으로 시야가 더 좁고

문제에만 몰두하는 경향이 있다.

긍정적인 감정을 자주 느끼는 사람은 더 큰 그림을 보고

우호적인 인간관계를 형성하고 사업도 번창한다.

- 듀크대 만주 피 & 데이비드 로빈슨 교수


마틴 셀리그만 교수는 ‘비관적인 영업사원에 비해

낙관적인 영업사원이 실적이 더 높다.’고 밝혔습니다.

대니얼 골만 교수는 ‘긍정적인 팀이 부정적인 팀보다

더 높은 수준의 성과를 올린다’고 주장합니다.

긍정과 낙관, 활력과 사기가 넘칠 때 개인이나 조직이나 실적이 좋아집니다.



...

반응형
반응형

리스크는 일을 하는데 필요한 연료와도 같아서

연료를 집어넣어야 원하는 곳으로 갈 수 있다.

만일 내가 리스크를 감수하면서 무언가를 하지 않는다면

나에겐 발전이 없을 것이다.

리스크를 싫어하면 성취의 크기는 제한될 수밖에 없다.

리스크를 감수할 때 예상치 않은 성장이 일어난다.

- 밥 보먼, ‘골든 룰’에서


꿈의 크기에 비례해서 장벽이 높아집니다.

리스크 없는 성장은 없습니다.

리스크를 감내하고 도전하다 보면 당장의 성취가 아니더라도

부쩍 성장해 있는 자신을 발견할 수 있습니다.

리스크가 커야 더 크게 성장할 수 있습니다.



...

반응형
반응형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