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반응형

뭐가 잘못되었는지
구구절절 확인하기보다
그 말을 인정하고 어떻게 해결해야
할 것인지를 말하는 편이 훨씬 효과적이다.
설명은 입씨름을 연장시키는 반면,
동의와 인정은 입씨름을
막아준다.


- 샘 혼의《적을 만들지 않는 대화법》중에서 -


* 토론과 입씨름은 다릅니다.
토론이 생산적이라면 입씨름은 소모적인 것입니다.
시간도 버리고 서로의 믿음도 잃기 쉽습니다.
다르지만 틀리지 않다고 받아들이는 것,
서로 동의해 주고 인정해 주는 것,
입씨름할 이유가 없습니다.

반응형

'생활의 발견 >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45,011명의 어린 영혼  (0) 2021.03.17
간디의 튼튼한 체력의 비결  (0) 2021.03.16
그대 슬퍼마라  (0) 2021.03.15
외로움의 기억들  (0) 2021.03.15
세계를 보는 능력  (0) 2021.03.11
반응형

그대 슬퍼마라
어둡던 저 하늘
다시 열릴 것이니
그대 눈물 보이지마라
동트는 저 쪽
저 말간 해는
그대 꿈이다


- 홍광일의《가슴에 핀 꽃》중에서 -


* 3월 중순입니다.
이제 곧 꽃도 피겠군요.
당신의 꿈도 피어날 것입니다.
당신의 꿈을 끝없이 생각하고 끊임없이 바라보세요.
고통과 아픔 속에서도 꿈을 품을 수 있는 자!
그대가 진정 강한 사람입니다.
그대 슬퍼말아요.

반응형

'생활의 발견 >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간디의 튼튼한 체력의 비결  (0) 2021.03.16
입씨름  (0) 2021.03.15
외로움의 기억들  (0) 2021.03.15
세계를 보는 능력  (0) 2021.03.11
향기가 나는 사람, 향기가 나는 나라  (0) 2021.03.10
반응형

세상에는 두 종류의 사람들이 있다.
자신이 할 수 있다고 생각하는 사람과
할 수 없다고 생각하는 사람이다.
물론 두 사람 다 옳다.
언제나 자신의 경험이 그러한 믿음을 만들기 때문이다.
- 헨리 포드, 포드 자동차 창업 회장


성공과 실패의 경험이 그러한 믿음을 강화시키기도 하지만,
오히려 생각에 따라 성공과 실패가 갈리는 경우가 더 많습니다.
위대한 성과는 ‘큰 목표를 세우고, 할 수 있다는 강한 자신감 하에
과감히 도전하는 사람들’이 만들어 냅니다.
반면, ‘할 수 없다. 어렵다. 안될 것이다'라고 처음부터
지레 겁을 먹고 시작하면, 이룰 수 있는 것이 하나도 없습니다.

반응형
반응형

외로움이라는 감정을
굳이 설명할 필요는 없을 것이다.
다들 어릴 적부터 외로움을 안다.
누군가 함께 있어주기를 간절히 바랐지만
결국 혼자 보내야만 했던 어느 저녁 이후로,
다른 사람들은 서로 어울려 놀기 바쁜 파티에서
아는 사람 하나 없이 멀뚱히 서 있다 돌아온 이후로,
이성 친구와 나란히 누운 채 이제 이 사람이랑은
끝이구나 확실히 깨달은 그 밤 이후로,
그들이 영영 떠나가고 텅 빈 집에서
홀로 지내본 후로.


- 라르스 스벤젠의《외로움의 철학》중에서 -


* 누구나
외로움의 기억들이 있습니다.
유난히 춥고 서럽고 아팠던 기억들입니다.
특히 상실감에서 오는 외로움은 뼛속까지 시리게
합니다. 철석같이 믿었던 사람의 변심에서 느끼는
아픔은 측량하기 어렵습니다. 그러나 돌아보면
그 외로움의 경험 때문에 내면의 근육이 더욱
단단해져서, 언젠가 또 필연적으로 닥쳐올
외로움의 순간을 더 잘 견디게 해줍니다.

반응형

'생활의 발견 >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입씨름  (0) 2021.03.15
그대 슬퍼마라  (0) 2021.03.15
세계를 보는 능력  (0) 2021.03.11
향기가 나는 사람, 향기가 나는 나라  (0) 2021.03.10
잇몸에서 피가 나왔다?  (0) 2021.03.09
반응형

직원들이 회사와 사랑에 빠지지 않았는데
어떻게 고객이 좋아할 일을 할 수 있을까?
직원이 우선이고, 고객은 나중이라는 말은 약간 이상하게 들릴지 모른다.
그러나 장담컨대 오래가는 회사를 만드는 유일한 길이다.
- 제임스 와트, ‘창업의 시대 브루독 이야기’에서


언제나 사람이 먼저입니다. 직원을 존중하고 성장시켜주면
그들이 고객을 더 존중하고 더 성장시켜줍니다.
직원을 행복하게 해주면, 고객이 행복해집니다.
고객이 행복해지면 주주가 행복해집니다.

반응형
반응형

세계에서
무슨 일이 벌어지는지 모르고,
세계의 복잡한 사안들을 분석하는
능력을 기르지 못한다면 더 나은
세계를 위한 실천은
불가능합니다.


- 마르쿠스 베르센의《삶을 위한 수업》중에서 -


* '한국 1등이 세계 1등이다'라는
말이 전혀 낯설지 않게, 자랑스럽게 들립니다.
열심히 노력해서 어느덧 세계의 중심에 서게 된
결과입니다. 이럴수록 세계를 더 잘 알아야
합니다. 눈을 더 크게 떠서 세계의 흐름을
우리 것으로 만들어야 합니다.

반응형

'생활의 발견 >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그대 슬퍼마라  (0) 2021.03.15
외로움의 기억들  (0) 2021.03.15
향기가 나는 사람, 향기가 나는 나라  (0) 2021.03.10
잇몸에서 피가 나왔다?  (0) 2021.03.09
요즘 청소년의 꿈  (0) 2021.03.08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