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반응형

진짜 고통, 깊은 고통을 
겪어보지 못한 사람은 진정한 어른이 되지 않는다. 
누군가는 여섯 살에 어른이 되기도 하지만 누군가는 
예순이 훌쩍 넘어서도 아이로 남아 있다. 부모가 
세상을 떠나거나, 자기 몸에 심각한 이상이 
생기거나, 눈에 넣어도 아프지 않을 자식이 
큰 병 또는 죽음을 맞거나, 이혼 또는 
사업의 실패, 도덕적 문제로 삶이 
무너지면 그제야 비로소 
어른이 된다. 

- 스티브 레더의《고통이 지나간 자리, 
당신에겐 무엇이 남았나요?》중에서 - 


* 나이가 들었다고
모두 어른이 되는 것은 아닙니다. 
어른다운 어른이 진짜 어른입니다. 
어른다운 어른은 고통의 경험과 비례합니다.
고통의 나이, 시련의 시간, 무너지고 다시 일어선 
경험들이 진정한 어른을 만듭니다. 뒤따라 오는 
젊은이들에게 '고통은 견딜 만한 것'이라고
일러주는 안내자가 될 수 있습니다.
어른다운 어른의 역할입니다.


반응형

'생활의 발견 >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중한 것은 경험  (0) 2020.03.14
'넌 꿈이 뭐니?'  (0) 2020.03.13
너무 고민 말고 도움을 청하라  (0) 2020.03.11
부모가 강하면 자식도 강해진다  (0) 2020.03.10
초인(Übermensch)  (0) 2020.03.09
반응형

리더는 동의하지 않는 사안에 대해 정중하게
이의를 제기해야 할 의무가 있습니다.
불편하고 피곤하더라도 그렇게 해야 합니다.
리더는 신념과 끈기를 갖고 있으며,
인간관계를 위해 적당히 타협하지 않습니다.
하지만 결정이 내려지면 전적으로 헌신합니다.
- 아마존 리더십 원칙 중 하나

우리는 일반적으로 충돌보다는 적당한 타협을 선호 합니다.
언뜻 충돌보다는 화합이 더 좋아 보입니다.
그러나 적당한 타협은 잘못된 결정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습니다.
탁월함을 추구한다면 건설적 충돌은 필수불가결한 조건입니다.

반응형
반응형

혼자서 
해결해 보겠다고 애쓰는 동안 
타인의 도움을 받아 쉽게 해결 가능했던 
문제가 손쓸 수 없는 지경에 이르고 만다. 
그러니 제힘으로는 버거운 일을 만나면 
너무 고민하지 말고 타인에게 도움을 
청해야 한다. 안 그러면 나라의 문을 
걸어 잠갔다가 멸망해 버린 
여느 나라의 지도자와 
다를 바가 없다. 

- 한성희의《딸에게 보내는 심리학 편지》중에서 - 


* 도움을 청할까 말까...
고민했던 경험들이 아마도 많을 듯합니다.
그러다가 차마 입이 안 떨어져 접었던 경험도
적지 않을 것입니다. 그러니 '너무 고민하지 말고
도움을 청하라'는 말이 가슴으로 다가옵니다.
그렇습니다. 사랑을 서로 주고받듯 도움도 
주고 받는 것입니다. 당당하고 떳떳하게 
도움을 청할 수 있는 것도 용기입니다.
다음에 도움을 주면 됩니다.


반응형

'생활의 발견 >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넌 꿈이 뭐니?'  (0) 2020.03.13
어른다운 어른  (0) 2020.03.12
부모가 강하면 자식도 강해진다  (0) 2020.03.10
초인(Übermensch)  (0) 2020.03.09
치유와 정화의 바이러스  (0) 2020.03.09
반응형

어디가나 좋은 스승이 있지만 
어떻게 살아야 하는 지를 제대로 배우려면 평생이 걸린다.
역사를 장식한 수많은 위인도 삶을 마감하는 순간까지
제대로 사는 법을 배우지 못했다고 고백하며 세상을 하직했다.
어느 날 갑자기 찾아오는 인생의 마지막 날까지 
배우기를 게을리 하지 말라.
- 세네카

하물며 위인들도 세상을 하직하면서 제대로 배우지 못했다고 후회하는데,
우리 같은 보통 사람이야 더 말할 필요가 없습니다.
이제 다 배웠다고 생각하는 순간부터 급속한 내리막길이 시작됩니다.
아직 부족하다는 지적 겸손, 현 시대를 살아가는 모두에게
필수조건이라 할 수 있습니다.

반응형
반응형

나는 평생의 
반려자를 원했지. 
내 아이들의 엄마가 되고 
나와 영원히 함께해줄 사람 말이다. 
나는 소리가 있는 세상에서 소리를 듣지 
못하는 사람끼리 의지하며 살고 싶었다. 
그래서 우리만의 세계, 침묵의 세계를 
함께 만들고 싶었다. 함께 있어서
강해지고 아이들을 위해서 
강해지는 그런 부부가 
되고 싶었다. 


- 마이런 얼버그의《아버지의 손》중에서 - 


* 두 사람의 청각장애인이 만나
사랑을 나누었습니다. 결혼을 하고 가정을 꾸려
아이를 얻었습니다. 아무것도 들리지 않는 침묵의 
세계에서 간절히 바라는 것은 오직 하나, 그것은 
아이들을 위해 강해지는 부부가 되어야겠다는
열망이었습니다. 어떤 역경에서도 부모가 
강해지면 자식도 강해집니다.
강함도 유산입니다.


반응형

'생활의 발견 >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어른다운 어른  (0) 2020.03.12
너무 고민 말고 도움을 청하라  (0) 2020.03.11
초인(Übermensch)  (0) 2020.03.09
치유와 정화의 바이러스  (0) 2020.03.09
때에 맞아야 한다  (0) 2020.03.09
반응형

타인에 대한 봉사라는 높은 목표가 있다면, 
직원들의 사기는 높아질 것이고,
기업은 계속하여 고객을 유치할 것이며, 국가는 부강해질 것이다.
논쟁의 여지가 없는 삶의 교훈 중 하나는 바로
우리가 타인을 위해 기여하지 않는 이상, 
어느 것 하나 자급자족 할 수 없다는 것이다.
- 리차드 스니즈

세상을 바꾸는 사명을 가진 기업의 직원 업무 몰입도가 3배 이상 높습니다.
고객들도 세상에 이로움을 보태는 기업을 지지하고,
그들의 성공을 적극적으로 돕게 됩니다.
세상을 위해 올바른 일을 한다는 고매한 사명과 목표가
탁월한 성취를 불러옵니다.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