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반응형

플랜 B, 즉 백업 계획은 안전장치라기보다는 차라리 올가미에 가깝다.


실제로 백업계획이 있는 사람은

실패를 예상하기에 모든 것을 다 쏟아붓지 못한다.

백업계획이 있다는 건 스스로 실패하겠다고

미리 계획을 짜두는 것과 같다.

그러니 백업 계획을 죽여라,

그렇지 않으면 백업계획이 당신을 죽일 것이다.

- 스탠 비첨, ‘엘리트 마인드’에서

 

물론 플랜 B가 필요할 때가 있습니다.

그러나 플랜 B는 생각보다 부작용이 큽니다.

백업계획은 우리 자신을 망치는 아주 좋은 방법이 되기도 합니다.

두렵지 않은 목표는 무용지물에 가깝습니다.

배수진을 쳐야 각오도 달라지고 그에 따라 노력과 결과가 달라집니다.



.

반응형
반응형

수행자가

제대로 수련하기 위해서는 

헌신, 열정, 끊임없는 각성, 꾸준한 노력 등 

네 가지 자질이 요구된다. 수행자도 수준에 따라 

약한 수행자, 보통 수행자, 열의에 찬 수행자, 최상의 

수행자, 이 네 가지로 나뉜다. 그리고 수행자의 단계도

네 가지로 나뉜다. 요가를 처음 시작한 초보자, 신체 

내면의 기능을 머리로 이해한 수행자, 지성을 몸의 

모든 부분과 연결시킬 수 있는 수행자, 자신의 몸,

마음, 영혼을 하나로 만든 수행자가 

그것이다. 


- B.K.S 아헹가의《요가 수트라》중에서 - 


* 모든 일에는

수준과 단계가 있습니다.

한 걸음에 최상의 달인이 될 수 없습니다.

고통스런 반복의 계단을 하나하나 어렵게 오르면서 

자라고 무르익게 됩니다. 중요한 것은 '시작'입니다.

첫 단계부터 시작해야 두 번째, 세 번째, 네 번째

단계에 이를 수 있고, 몸과 마음과 영혼이 

하나가 되는 경지도 맛볼 수 있습니다.

시작이 반입니다.



.

반응형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어떻게'가 더 중요하다  (0) 2017.06.12
고통의 짐  (0) 2017.06.11
'예술의 어머니'  (0) 2017.06.08
산삼을 대하는 태도  (0) 2017.06.07
케네디의 명연설은 어떻게 탄생했나  (0) 2017.06.07
반응형

우리는 곧 자기가 주변에서

가장 잘 생긴 사람이 될 수 없다는 걸 깨닫게 된다.

가장 똑똑한 사람도 될 수 없고, 가장 교양 있거나

조예가 깊은 사람이 되는 것도 불가능하다.

그런 면에서는 남들과 경쟁할 수 없다.

하지만 언제나 경쟁이 가능한,

성공에 있어서 진정으로 평등한 측면이 하나 있다.

바로 ‘노력’이다.

옆에 있는 사람보다 더 열심히 노력하는 건 언제나 가능하기 때문이다.

- 케이시 네이스탯 (영화 제작자) 


어떤 일을 잘하려면 능력 이상으로 노력해야만 합니다.

타고난 재능이 없던 일도 거듭하다보면

제 2의 천성처럼 됩니다.

우리의 잠재력을 열어줄 열쇠는

힘이나 머리가 아니라 끊임없는 노력입니다.

노력은 누구나 할 수 있습니다.



.

반응형
반응형

진정한 리더십이란 무엇일까? 

리더는 단지 효율적으로 일 처리하는 

사람이 아니다. 리더는 '올바른 일'을 하는 사람이다. 

리더는 목표달성을 위해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는 

사람이 아니라, 올바른 가치관에 따라 움직이는 

사람이다. 리더는 자기의 장단점을 정확히 알고 

자기의 약점을 극복하기 위해 

노력하는 사람이다.



- 게리 맥킨토시의《리더십의 그림자》중에서 -



* 리더는 명암(明暗)의 

칼 끝 위를 걸어가는 사람입니다. 

자기가 가는 길이 올바른 길인지 항상 

날카로운 눈으로 자신을 돌아보아야 합니다. 

그 방법은 두 가지입니다. 하나는 스스로 돌아보는

자기 성찰의 방법이고, 또 하나는 다른 사람을 통해 

자신을 비춰보는 방법입니다. 



.

반응형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난생 처음 먹어 보는 맛  (0) 2017.05.12
가장 멀고, 가장 빛나는 길  (0) 2017.05.11
갈림길에서  (0) 2017.05.10
사랑 노래, 왜 부르는가  (0) 2017.05.08
내가 무언가를 찾고 있다면  (0) 2017.05.08
반응형

인생의 문제를 초월했다는 듯

우리는 곧잘 노 프라블럼이라고 말한다.

그러나 그 노 프라블럼의 기준을 '나'에서

'타인'으로, 나 아닌 다른 존재로 전환하지 않는다면

그것이야말로 '빅 프라블럼'(Big problem)이다.

자기 중심에만 머물러 있는 관점은

결코 노 프라블럼일 수가 없다.



- 류시화의《새는 날아가면서 뒤돌아보지 않는다》중에서 - 



* 사람은 모든 상황을 자기 중심,

자기 관점에서만 인식하고 해석하려는 경향이 있습니다.

자기중심에서 문제를 인식하고 해결하려고 하지 말고

나를 둘러싼 타인 관점에서 보면 문제가 없던 것도

문제가 있을 수 있습니다. 다른 사람의 관점에서도 

상황을 인식하고 해결하려는 노력이 필요합니다.

세상 문제를 '나의 관점'에서 '우리의 관점'으로

바라보는 사람들이 더 많아졌으면 좋겠습니다.





.

반응형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그냥 눈물이 나요  (0) 2017.04.05
마지막 노래를 언제 불렀나요?  (0) 2017.04.03
분노를 억제하는 법  (0) 2017.03.31
'스트레스 어벤저스'  (0) 2017.03.30
내 젊은 날을 반성한다  (0) 2017.03.29
반응형

약간의 성공을 거둔 사람들은

타고난 재능이 있어야 성공을 거둘 수 있다고 생각한다.

하지만 진정으로 성공한 사람들은

어떤 목표를 향해 끊임없이 노력한 사람만이

성공을 거둘 수 있다고 생각한다.

- 톰 스템버그 (스테이플스 창립회장)

 

“재능은 뛰어나지만 의지와 열정이 부족한 선수와

재능은 평범하지만 의지와 열정이 탁월한 선수 중

하나를 골라야 한다면,

나는 서슴없이 후자를 택할 것이다.”

알렉스 퍼거슨 전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감독의

이야기 함께 보내드립니다.



.

반응형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생명을 먹다  (0) 2017.03.24
125세 한계 수명  (0) 2017.03.23
왜 난 내게 그리도 가혹했을까?  (0) 2017.03.22
'사랑하고 존경한다'  (0) 2017.03.21
소화기관의 완전한 휴식  (0) 2017.03.20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