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반응형
사회적 폭력으로 인해
상처를 받은 사람들은 종종
자신의 경험을 말하지 못합니다.
그 상처를 이해하는 일은 아프면서
동시에 혼란스럽습니다. 그러나 우리 몸은
스스로 말하지 못하는, 때로는 인지하지 못하는
그 상처까지도 기억하고 있습니다. 물고기 비늘에
바다가 스미는 것처럼 인간의 몸에는
자신이 살아가는 사회의 시간이
새겨집니다.


- 김승섭의《아픔이 길이 되려면》중에서 -


* 물고기는 물 없이 못 삽니다.
강과 바다가 있어야 생명을 이어갈 수 있습니다.
인간도 사회라는 바닷속에서 살아가고 있습니다.
그러면서 크고 작은 상처를 받아 몸과 마음과 영혼에
물고기 비늘처럼 딱지가 생깁니다. 돌멩이보다
더 단단히 달라붙은 그 딱지가 사실은
시간이 새겨준 삶의 훈장입니다.
반응형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곧 터널 끝인데...  (0) 2021.12.30
'저분이 왜 저렇게 되었을까?'  (0) 2021.12.24
그 '좋은 말'을 어떻게 찾았을까?  (0) 2021.12.22
교황도 똥을 싼다  (0) 2021.12.21
'사람'인가 '괴물'인가  (0) 2021.12.20
반응형

당신을
위로하는 사람이라고 해서
그 위로하는 좋은 말들처럼 평탄한 인생을 살고
있다고 생각하지 마라. 그의 인생 역시 어려움과
슬픔으로 가득 차 있을 것이다. 당신의 인생보다
훨씬 더 뒤처져 있을 것이다. 그렇지 않다면
그 좋은 말들을 찾아낼 수조차
없었을 것이다.


- 라이너 마리아 릴케의《젊은 시인에게 보내는 편지》중에서 -


* 위로하는 말은
좋은 말을 쓸 수밖에 없습니다.
험한 말로 남을 위로할 수는 없는 노릇이지요.
그 좋은 말은 어디에서 나올까요. 그도 언젠가
힘들고, 외롭고, 슬플 때 누군가로부터 받은 위로의
말에 힘을 얻었던 경험에서 비롯되었기 쉽습니다.
걱정 근심 없는 사람 없습니다. 고통과 슬픔은
언제나 삶의 동반자입니다. 그런데 그것이
오히려 시(詩)가 되고, 아침편지가 되고,
남을 위로하고 치유하는 좋은 말로
탈바꿈합니다.

반응형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저분이 왜 저렇게 되었을까?'  (0) 2021.12.24
물고기 비늘  (0) 2021.12.23
교황도 똥을 싼다  (0) 2021.12.21
'사람'인가 '괴물'인가  (0) 2021.12.20
모방에서 창조까지  (0) 2021.12.20
반응형

삶이 쉽지 않은
또 다른 이유는 타인과 더불어
살아야 하는 게 인생이라는 데 있다.
타인과 함께하지 않고는 의식주 어느 것도
제대로 해결할 수 없다. 인간은 타인과 함께하지
않고는 도저히 살아남을 수 없는 존재, 혹은 타인과
더불어 살 때에야 비로소 자신의 잠재력을 실현할 수
있는 존재다. 즉 인간은 정치적 동물이다. 그러나
타인과 함께하는 일이 어디 쉬운가.


- 김영민의《인간으로 사는 일은 하나의 문제입니다》중에서 -


* 삶이 쉽지 않은 이유는 무수합니다.
그중 핵심은 사람 문제, 곧 타인과의 관계입니다.
가까우면 가깝기 때문에 부딪치고 긁히고, 멀면 멀기
때문에 소원하거나 단절됩니다. 나를 힘들게 하는
걱정 근심도 대부분 타인에게 있습니다. 그러나
그 걱정 근심이 글을 쓰는 사람에게는 좋은
글의 재료가 되고, 기도하는 사람에게는
기도의 제목이 됩니다. 나를 돌아보면
타인과의 문제도 풀립니다.
삶이 쉬워집니다.

반응형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만병을 다스리는 근원  (0) 2021.12.15
자연 섭리, 자연 치유  (0) 2021.12.14
내 인생의 책임자  (0) 2021.12.13
새로운 세상이란  (0) 2021.12.10
오늘 하루, 어떻게 보내셨나요?  (0) 2021.12.09
반응형

몸을 단련하고
건강함을 지켜나가는 일은
어떻게 보면 내가 살아가는 동안
나에 대한 책임감이 아닐까 한다.
여러 가지 습관들이 크고 작은 내 삶의 방향을
끌고 가게 되며 지금 나를 만들어가는 것처럼
좋은 습관을 만들어가며 살아야겠다.

- 김재덕의《나는 오늘도 수련하러 갑니다》중에서 -


* 나의 행복을 위해서,
나의 안녕을 바라며 행동하는 많은 것들이 있습니다.
내 주변을 깨끗하게 정리하거나 땀 흘려 운동을 하는 것,
몸에 좋은 음식을 챙겨 먹는 것도 한 방법입니다.
그것들이 내 몸에 배게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나를 위해 몸에 밴 좋은 습관이 오늘도
나를 편안히 잠들 수 있게 해줍니다.

반응형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연 섭리, 자연 치유  (0) 2021.12.14
삶이 쉽지 않은 이유  (0) 2021.12.13
새로운 세상이란  (0) 2021.12.10
오늘 하루, 어떻게 보내셨나요?  (0) 2021.12.09
오프라 윈프리의 '실패는 없다'  (0) 2021.12.08
반응형

우리 자신이 잘못된 길을 가고 있음을 깨달을 때 그만두는 능력이야말로
우리의 삶을 바꾸는데 필요한 힘이다.
이것이 중요하다. 그만두는 것은 힘이다.
성공하는 사람들은 더 이상의 손실을 막음으로써 자신을 계속 앞으로
나아갈 수 있게 해주는 일에 자신의 시간과 에너지를 다시 할당할 수 있다.
- 리치 칼가아드, ‘레이트 블루머’에서


무언가를 중도에 그만두는 것은 결코 쉽지 않습니다.
그만둘 때 우리는 죄책감, 굴욕감 같은 감정을 느끼게 됩니다.
그러나 적절한 이유가 있어 그만둘 경우, 그것은 포기가 아닙니다.
진정으로 성공한 사람들은 ‘똑똑한 중도 포기자들’로, 이들은 현재의 길이
자신의 최종 목표에 다가가는데 더 이상 도움이 안된다는 것을 깨달았을 때
과감하게 방향을 수정할 수 있는 사람들입니다.

반응형
반응형

 

자기 무늬의 교본은 자기 머리에 있어.
그걸 모르고 일평생 남이 시키는 일만 하다가
처자식 먹여 살리고 죽을 때 되면 응급실에서
유언 한마디 못하고 사라지는 삶...
그게 인생이라면 너무 서글프지 않나?
한순간을 살아도 자기 무늬로 살게.


- 김지수의《이어령의 마지막 수업》중에서 -


* 왕골로 만든 돗자리는 두 가지가 있습니다.
무늬가 없는 무문석과 화려한 무늬가 있는 화문석.
우리의 삶은 자기의 돗자리를 짜는 것과도 같습니다.
오직 생존을 위해 아무런 꿈과 보람 없이 산다면 그것은
무문석과 같은 삶이고, 역경과 고난이 있더라도
자신만의 무늬로 짜여지는 삶은 아름다운
화문석과 같은 삶이라 할 수 있습니다.
 

반응형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뜻대로 되지 않는 인생  (0) 2021.12.07
사랑한다고 말하자  (0) 2021.12.07
행운이란, 준비가 기회를 만나는 지점에 있다  (0) 2021.12.07
얼마나 짧은가  (0) 2021.12.03
'잘' 나이 든다는 것  (0) 2021.12.01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