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반응형

삶의 가장 깊은 변혁은 
요약컨대 아주 단순하다. 자신의 
내면에서 일어나는 일에 바로 자동반응하지 
않고 대응하는 법을 배우는 것이다. 예를 들어, 
어떤 일로 화가 나거나 불안할 때 무슨 일이 일어나는가? 
만약, 습관대로 자신을 괴롭히고 타인을 비난하거나 
상처를 주고, 희생자가 된 기분을 느끼는 식으로 
자동반응한다면, 스스로 괴로움을 
더하는 셈이다. 

- 타라 브랙의《끌어안음》중에서 - 


* 변혁은
양날의 칼입니다. 
변혁에 대응하는 방식에 따라
약이 되기도 하고 독이 되기도 합니다.
가장 경계할 것이 '자동반응'입니다. 화, 분노,
불안, 비난 같은 자기 내면에서 일어나는 감정 상태를 
기계처럼 즉각적인 방식으로 대응하면 결과는
또다른 괴로움으로 다가오게 됩니다.
진정한 변혁은 바깥이 아니라
자기 내면에서 완성됩니다.


반응형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난 왜 이런 몸으로 태어났을까?'  (0) 2020.04.20
전환점  (0) 2020.04.18
'좋은 지도자'는...  (0) 2020.04.16
쇠나팔이 울렸다  (0) 2020.04.15
'어떻게' 살아갈 것인가?  (0) 2020.04.14
반응형

감사는 사람들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매우 중요한 요소다.
감사하는 마음을 지닌 사람은 그렇지 않은 사람에 비해 더 행복하고,
더 열정적이며, 정서적으로 똑똑하면서도 덜 외롭고,
덜 우울하며 걱정도 적었다.
감사를 훈련하면 더 많이 행복해하고 더 낙관적으로 생각한다.
- 로버트 에몬스, 심리학자

행복하면 저절로 감사한 마음이 들지만,
그렇지 않을 때도 훈련을 통해 감사할 수 있습니다.
감사하는 마음이 역으로 행복을 만들어내기도 합니다.
감사하는 마음이 노화를 늦추기도 한다고 합니다.

반응형
반응형

밥을 먹고 
무얼 하는지를 보면 
그 사람이 어떤 사람인지 알 수 있다. 
이 말은 당신이 '무슨 일'을 하는지가 곧 당신이라는 
말이 아니다. '어떻게' 일하고 있는지에 대한 것이다. 
그래서 일에 대한 고민은 삶에 대한 고민이며 
일을 어떻게 할 것인가는 어떻게 살아낼 
것인가와 맞닿은 질문이다. 

- 김혜령의《불안이라는 위안》중에서 - 


* 무엇을 하며 살 것인가?
너나없이 모든 사람의 숙제입니다.
직업이자 밥벌이의 중요한 수단이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그보다 더 중요한 것이 '어떻게' 살아갈 것인가?
이 문제입니다. 똑같은 조건, 똑같은 상황에서도
그 '어떻게'에 따라 사는 모습이 달라집니다.
어떤 사람인지도 드러냅니다. 

반응형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좋은 지도자'는...  (0) 2020.04.16
쇠나팔이 울렸다  (0) 2020.04.15
출근길  (0) 2020.04.13
아이에게 그림책을 읽어주세요  (0) 2020.04.11
희망을 기다리며... (사회적 사랑의 거리 운동 8)  (0) 2020.04.06
반응형

삶 속의 
온갖 자잘한 일들을 대면하여 
늘 중심에 머물게 하는 마음의 기술을 
연마하는 게임에 맛을 들이다 보면, 어느 날 
문득 당신은 자신이 정말 중대한 문제 앞에서도 
중심을 지킬 수 있게 된 것을 발견할 것이다. 과거 
같았으면 당신을 파멸로 몰아갔을 종류의 사건도 
당신을 완벽하게 평화로운 중심에 남겨둔 채 
왔다가 그냥 지나가게 할 수 있다.

-마이클 A. 싱어의《상처받지 않는 영혼》중에서 -


* 중심이 잡힌 사람!
좋은 칭찬의 말입니다. 
언제 봐도 평화롭고 안정감을 주는 사람! 
더 좋은 찬탄의 말입니다. 그러나 그런 칭찬과 
찬탄을 받기가 쉽지 않습니다. 작고 소소한 일부터
중심 잡는 훈련이 필요합니다. 그래야 천지를 흔드는
큰일이 닥쳐도 '평화로운 중심'을 잃지 않게 됩니다.
당신이 그 주인공이 되시길 바랍니다.


반응형
반응형

불편함이 찾아올 때면 살며시 익숙함을 빠져나와
그저 불편함을 껴안아라.
불편함과 친숙해지는 만큼 네 삶의 자유가 결정되리니.
불편과 고독은 견디는 것이 아니라 추구하는 것
불편과 고독의 날개 없이는
삶은 저 푸른 하늘을 날 수 없으니.... 
- 박노해, ‘불편과 고독‘ 시에서

무언가 새로운 것을 시도하는 것, 잘 모르는 사람과 만나는 것은
불편함을 동반합니다.
그러나 불편함이 없이는 성장도 없습니다.
기꺼이 스스로를 불편함으로, 두려움으로 몰아넣을 수 있는
의지야말로 멋진 인생을 만드는 단초가 됩니다.

반응형
반응형

영감을 받는 삶과
의미가 있는 삶을 원한다면,
우리의 질문은 힘을 가진다. 질문은
우리를 그 경험에 더 가까이 데려간다.
그런데 질문은 역설적일 때가 많다. 처음
질문을 할 때 바로 나오는 대답은 조건화된
반응이기 쉽기 때문이다. 반면 이 질문들을
깊이 천착하는 것, 자신의 내면을 깊이
살펴보는 것이 바로 영적 수행이다.
"가장 중요한 것은 무엇인가?"

- 아디야 산티의《가장 중요한 것》중에서 -


* 삶은 늘 우선순위가 있습니다.
먼저 할 것과 나중에 할 것이 있고,
가장 중요한 것과 덜 중요한 것이 있습니다.
그것을 여는 첫 번째 관문이 질문입니다. "가장
중요한 것이 무엇이냐"고 물으면 답도 명확해집니다.
물론 그 답이 하루 아침에 되는 것은 아닙니다.
오랜 내적 경험과 자기 성찰, 영적 수행에서
얻어지는 것이고, 그렇게 얻은 답이어야
올바른 답이 될 수 있습니다.

반응형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련없이 버려라  (0) 2020.02.11
'디제스터'(Disaster)  (0) 2020.02.07
기민하고 차분한 대처와 슬기  (0) 2020.02.07
굳이 말하지 않아도  (0) 2020.02.07
꿈도 계속 자란다  (0) 2020.02.07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