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반응형

성적 학대와 같은
수치심으로 이어지는 어린 시절의 경험은
치료로 그 문제가 해결되지 않는다면 종종
평생 비뚤어진 성격을 갖게 한다. 프로이트가
밝혔듯, 수치심은 신경증을 만들어 낸다. 수치심은
감정적, 심리적 건강에 파괴적이고, 낮은 자존감의
결과로 육체적 질병에 잘 걸리게 한다. 수치심에
기반한 인격은 부끄러워하고
고립되며 내성적이다.


- 데이비드 호킨스의《의식 지도 해설》중에서 -


* 인간의 의식에서
가장 낮은 단계가 바로 수치심입니다.
다시 말해 '부정적 에너지'가 가장 높은 의식이
곧 수치심이라는 뜻입니다. 해결되지 못한 수치심은
파괴적이어서 육체적 정신적 질환에도 취약하고
'극단의 선택'을 부르는 악마의 손짓이기도
합니다. 내 안의 수치심을 두려워하지 말고
밖으로 드러내는 용기를 갖는 것이
치료의 첫걸음입니다.

반응형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명인이 명인을 만든다  (0) 2022.12.26
실수의 순기능  (0) 2022.12.24
걸음마  (0) 2022.12.22
'그런 걸 왜 하니'  (0) 2022.12.21
3~4년이 젊어진다  (0) 2022.12.20
반응형

일을 파괴할 용기가 없으면 대규모 일의 창조는 있을 수 없다.
이것이 내가 창조에 미친 이유이다.
창조를 통해 파괴하라.
그렇지 않으면 도태될 것이다.
- 톰 피터스


소설 데미안에서 헤르만 헤세는
‘새는 알을 깨고 나온다. 알은 새의 세계다.
태어나려는 자는 한 세계를 파괴해야만 한다.’고 말합니다.
창조를 원하는 자는 기존 질서를 깨야 합니다.
그러나 그 파괴는 창조를 위한 파괴여야 합니다.

반응형
반응형

인간은 자신이 원하는 만큼 위대해질 수 있다.
자신을 믿고 용기, 투지, 헌신, 경쟁력 있는 추진력을 가진다면,
그리고 가치 있는 것들을 위한 대가로
작은 것들을 희생할 용기가 있다면 가능하다.
- 빈스 롬바디


‘생각이 팔자’라는 말이 있습니다. 생각하는 대로 팔자가 변한다는 말입니다.
모든 것이 같은 상황에서 성공하리라 믿으면 성공하고,
실패할 것이라고 지레 겁먹으면 실패하는 사례들을 많이 경험하게 됩니다.
헨리 포드도 ‘할 수 있다고 생각하는 사람도 옳고, 할 수 없다고 생각하는 사람도 옳다.
그가 생각하는 대로 되기 때문이다.’고 생각의 중요성을 설파했습니다.

반응형
반응형

타인의 피드백에 전혀 개의치 않을 자신이 있어요?
그러면 천재가 될 수 있어요.
긍정적인 피드백은 창의성을 떨어드립니다.
피드백을 필요로 하지 않으면 않을수록 창의성은 상승하죠.
남다른 아이디어를 얻으려면 모든 사람의 피드백을 무시해야 해요.
피드백 따윈 무시하세요.
- 닉 스자보


결과가 어떻게 될지는 아무도 모릅니다.
좋은 아이디어에 필요한 건 창의성보다 용기입니다.
독창적인 아이디어일수록 상사나 동료에게 이해받기도 어렵습니다.
독창성을 위해서는 무시할 수 있는 용기, 미움 받을 수 있는 용기가 필요합니다.

반응형
반응형

세상에서 주목 받는 인물들은
성공하기 전에 반드시 큰 장애물에 부딪혔음을 역사가 증명해준다.
그들은 거듭되는 실패에도 용기를 잃지 않았기 때문에
승리자가 될 수 있었다.
- B.C 포브스


리더십 대가, 워렌 베니스도 같은 말을 합니다.
‘내가 만난 지도자들은 한결같이 개인적으로 어려웠거나
정신적인 상처를 남긴 일, 또는 최악의 절망감을 느껴야 했던 일들이
오히려 그들의 인생에 꼭 필요한 일이었다고 생각하는 것 같았다.
마치 그런 순간에 그들의 영혼이 강철 같이 단단해지고,
지도자로서 필요한 극복 능력이 생겨난 것처럼 말이다.’

저는 ‘새로운 리더의 성공여부를 예측하는 첫 번째 척도로
그가 얼마나 많은 역경을 경험했는가’를 살펴봅니다.

반응형
반응형

버트런드 러셀은
"사랑을 두려워하는 것은
인생을 두려워하는 것이고,
인생을 두려워하는 사람은 이미
4분의 3이 죽어 있는 상태다"라고 했다.
어쩌면 그게 노라의 문제인지도 모른다.  
노라는 그냥 사는 게 두려운 건지
모른다.('노라'는 이 책에 나오는
사람이름. 편집자주)


- 매트 헤이그의《미드나잇 라이브러리》중에서 -


* 두려움은 사람을
무너뜨리는 무서운 바이러스입니다.
파괴력이 커서 한걸음도 내딛지 못하게 합니다.
살아 있어도 이미 죽은 몸과도 같습니다. "두려움을
용기로 바꾸자!" 열악한 조건에서 백전백승했던
이순신의 웅변입니다. 두려움, 용기, 에너지는
같습니다. 두려움을 사랑할 용기, 살아갈
용기로 바꾸는 순간 4분의 3 죽은 몸이
4분의 4 모두 산 몸으로 바뀝니다.

반응형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들음(聽)의 네 단계  (0) 2022.06.23
도서관의 존재 이유  (0) 2022.06.22
물고기도 우울증에 걸린다  (0) 2022.06.21
출발점  (0) 2022.06.21
실천하는 힘  (0) 2022.06.17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