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반응형

은혜를 베푸는 일은
얼마만큼 긴 안목을 가졌는지 시험할
좋은 길이다. 발밑에 시선을 둔 자는 타인에게
너그럽지 못하다. 하나만 아는 사람도 더불어
나아갈 길과 방향을 모른다. 그로 인해
손안의 것만 움켜잡으려 한다.
인생을 멀리 보면 매사에
관대해질 수 있다.


- 천위안의 《심리학이 제갈량에게 말하다》 중에서 -


* 하나만 알고 둘을 모르면,
무지하고 지혜롭지 못한 사람입니다.
나만 알고 남을 모르면, 스스로 자기 손안에 갇힌
이기적 외톨이가 됩니다. 자신은 물론 다른 사람에게
결코 관대한 사람이 되기 어렵습니다. 긴 안목은
나의 시선을 자신으로부터 타인에게도 옮기는
것입니다. 친절과 은혜를 베푸는 것입니다.

반응형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멋진 할머니'가 되는 꿈  (0) 2023.03.30
인생 90을 참 잘 살았다  (0) 2023.03.29
요즘 어떻게 지내세요?  (0) 2023.03.27
나는  (0) 2023.03.26
아버지가 수없이 가르친 말  (0) 2023.03.26
반응형

어린 시절
부모와 따뜻한 관계를 유지한 남성들은
부모 자식 간의 유대감이 더 느슨한 남성들보다
성인이 되어서 더 많은 돈을 벌었다. 노년기에 더
행복했고 치매에 걸릴 확률도 낮았다. 결혼 생활이
탄탄했던 사람들은 삶의 과정에서 신체적, 정서적
고통을 덜 겪었다. 개인 간의 친밀한 우정은
콜레스테롤 수치보다 건강한 노화를 더
정확히 예측할 수 있는 척도였다.


- 다니엘 핑크의《후회의 재발견》중에서 -


* 어린 시절 결정되는 것이 많습니다.
한 사람의 행복과 불행이 어린 시절의 부모관계에서
비롯된다는 사실에 움찔하게 됩니다. 청년이 되어서는
결혼 생활, 노년이 되어서는 친밀한 우정, 말하자면
사람 사이의 '따뜻한 관계'가 이다음 인생의
건강과 행복을 결정합니다. '따뜻한 관계'는
사랑을 의미합니다. 사랑받고 존중받고
자란 아이가 장차 부자가 됩니다.
물질의 부자, 마음의 부자!

반응형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버지가 수없이 가르친 말  (0) 2023.03.26
다락방의 추억  (0) 2023.03.23
얻음과 잃음, 빛과 어둠  (0) 2023.03.21
진실이면 이긴다  (0) 2023.03.20
봄은  (0) 2023.03.18
반응형

반성하는 삶은
우리의 인생을 더 풍요롭게 만듭니다.
우리가 세상을 만나는 방식 중에 여행이 있지요.
여행을 통해 다른 세상을 직접 경험하고, 전보다
더 나은 사람으로 성장하기도 합니다. 가끔 세계
곳곳을 많이 여행했지만 마음의 여유가 전혀
없는 분들을 만나게 됩니다. 더 넓은
세상과의 만남이 '반성의 단계'를
거치지 않았기 때문일 것입니다.


- 반은섭의《인생도 미분이 될까요》중에서 -


* 되돌아보는 건 중요합니다.
미흡한 것은 보완하고, 지나쳤던 것은
덜어내는 과정이 더 나은 미래를 준비하는
기본 과정입니다. 여행도 새로운 세상을 만나는 방식의
하나입니다. 여행을 통해 삶을 돌아보고 '반성'하는
시간도 갖게 됩니다. 호흡법 중 수식관처럼 한 번
숨을 들이쉬고 내쉴 때마다 반성과 감사를
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이 또한 더 좋은
세상을 만나는 방식의 하나입니다.
마음의 평화를 안겨주니까요.

반응형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진실이면 이긴다  (0) 2023.03.20
봄은  (0) 2023.03.18
자부심과 자만심의 차이  (0) 2023.03.16
넬슨 만델라의 위대한 결단  (0) 2023.03.15
절벽에도 길은 있다  (0) 2023.03.14
반응형

감사, 사랑, 연민을 느낄 때 나오는 호르몬은
걱정, 불안, 두려움을 느낄 때 나오는 호르몬과 매우 다르다.
감사는 그러한 부정적인 반응들에 해독제가 될 수 있다.
내가 대가를 바라지 않고 베풀고 도와줄 때
그 무엇과도 비교할 수 없는 뿌듯함과 만족을 느낀다.
누군가를 도우면 마법 같은 일이 일어난다.
- 데이비드 스테인들, 베네딕트회 수도사


‘인생에서 가장 멋진 일은 모든 일에 감사하는 것이다.
이를 터득한 사람은 삶의 의미를 아는 사람이다.
이런 사람은 삶의 신비를 모두 꿰뚫고 있다.
삶의 신비란 모든 것에 감사하는 것이다.’
슈바이처 박사의 성공적 삶의 비밀입니다.
삶이 안겨주는 일들에 감사하는 것 만큼 자신을 위한 멋진 선물은 또 없습니다.
남에게 베풀면 기분이 좋아지고 이는 궁극적으로 자신에게 이익이 됩니다.

반응형
반응형

아침지기 수칙에는
세월이 흘러 전통이 되어가는,
첫 마음이 담겨 있다. 서로가 행복하고 웃으면서
그러면서도 잘 소통하며 일할 수 있는 조직이
되었으면 하는 첫날의 바람과 다짐이
고스란히 담겨 있다.


- 고도원, 윤인숙의 《고도원 정신》 중에서 -


* 아침지기 1호가 청와대에서
고도원님으로부터 받았던 A4 반쪽의 내용 그대로,
선배가 후배에게 입에서 입으로 전하던 아침지기 수칙.
아침지기들과 함께 하다 보니 이 수칙은 내게 주어진
삶을 대하는 태도, 사람을 바라보는 눈에 이정표가
되어주곤 합니다. 첫날의 바람과 마음을 이어가는
사람들과 함께할 수 있음에 감사합니다.
사랑합니다. 감사합니다.

반응형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절벽에도 길은 있다  (0) 2023.03.14
광고의 힘  (0) 2023.03.13
탐험가들의 철저한 준비  (0) 2023.03.10
그냥 들어주자  (0) 2023.03.09
실수에 대한 태도  (0) 2023.03.08
반응형

생각은 쉴 새 없이 움직인다.
그것은 흐르는 물이나 공중의 대기처럼
혹은 바람에 흩날리는 풍선처럼 중심을 잡지
못하고 이리저리 움직인다. 생각의 특징은 자신이
의도하지 않은 생각, 즉 잡념이 등장한다는 점이다.
이 생각은 인간의 감정, 지성 그리고 '나'라는
이기적인 자아가 실제의 삶에서 만들어낸
복잡한 결과물이다.


- 배철현의《삼매》중에서 -  


* 생각은 구름과 같습니다.
먹구름, 흰 구름이 쉴 새 없이 오갑니다.
이 구름은 '작은 나'. 곧 '에고'(Ego)와도 같습니다.
작은 나, 에고 구름이 가득할 때는 청정한 하늘은 보이지
않습니다. 그 구름이 걷혀야 하늘이 모습을 드러냅니다.
하늘은 언제나 거기에 있습니다. 그것이 '진아'(眞我),
곧 '참나', '큰 나'입니다. 그 '큰 나'가 '작은 나'를
연민으로 지켜보는 것이 명상입니다.

반응형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그냥 들어주자  (0) 2023.03.09
실수에 대한 태도  (0) 2023.03.08
아버지와 아들 사이  (0) 2023.03.06
삶의 모든 것은 글의 재료  (0) 2023.03.04
운이 더 좋았을 뿐이다  (0) 2023.03.03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