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반응형






어떤 사람의 
진정한 가치는 자신에게 
전혀 도움이 되지 않는 사람에게
어떻게 대하는지에 달렸다. 
(새뮤얼 존슨)


- 맨프레드 케츠 드 브리스의《삶의 진정성》중에서 - 


* 어떤 대가를 바라지 않고
나의 이로움이나 손해를 생각하지 않고
사람을 대하는 태도를 가진 사람이 많아질수록 
세상은 아름다워집니다.


반응형

'생활의 발견 >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우두머리 수컷 침팬지  (0) 2020.05.04
아픔이 길이 되려면  (0) 2020.05.04
아침 건강관리 기술  (0) 2020.05.04
이야기의 주인공  (0) 2020.04.29
임진왜란과 조선 백성들  (0) 2020.04.29
반응형





명상과 요가도 
몸을 이완시키는 작업을 포함한다. 
그런데 실제로 몸을 이완시키는 심리치유법이 
있다. 예를 들면 아침에 기상하기 전에는 이런 동작을 
권한다. 발가락 끝까지 다리를 쭉 뻗고 숨을 들이쉬면서
척추와 배가 몸 위쪽으로 늘어나는 것을 느낀다. 
팔은 양옆으로, 그 다음엔 위쪽으로 쭉 뻗는다. 
잠깐 숨을 멈추고 몸의 유쾌함을 느껴본다. 
호흡을 깊게 들이쉬고 내쉰다. 


- 김혜령의《불안이라는 위안》중에서 - 


* 명상의 첫 단계가 이완입니다.
요가도 이완이 핵심입니다. 몸을 이완시켜
마음을 풀고, 마음의 이완을 통해 몸을 푸는 것입니다.
아침에 눈을 떴을 때 맨먼저 필요한 것이 이완입니다.
하다 못해 기지개라도 크게 켜고 일어나면
몸이 풀립니다. 자기 나름의 이완 기술
한두 가지를 갖게 되면 그것도
좋은 건강관리법입니다.


반응형

'생활의 발견 >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픔이 길이 되려면  (0) 2020.05.04
아름다운 세상  (0) 2020.05.04
이야기의 주인공  (0) 2020.04.29
임진왜란과 조선 백성들  (0) 2020.04.29
공전과 자전  (0) 2020.04.27
반응형

2020-04-29 서울, 북악산, 산책

반응형
반응형


사는 게 고통이라는 건 벗어날 수 없는 진리예요.
새는 진공 상태에서 날 수 없습니다.
새가 하늘을 날기 위해선 공기 저항이 필요하죠.
인간도 고통이라는 저항을 통과해야 앞으로 나갑니다.
고통을 ‘바람’이라고 생각하고, 인정해야 합니다.
- 기시미 이치로, ‘미움 받을 용기’ 저자

기시미 이치로는 말합니다.
“인간은 늘 배가 고프죠. 어떤 굶주림이든 완전히 채울 수는 없어요.
다행히 욕망이 아니라, 의미를 추구하는 ‘그레이트 헝거(great hunger)'는
굶주림 덕분에 인생이 풍요해지죠.”
끝없이 고통을 맛보고 좌절을 경험하면서 의미를 추구하는 삶이
진정 가치 있는 삶이라 할 수 있습니다.

반응형
반응형





기억하고 표현할 때 
우리는 늘 이야기의 도움을 필요로 한다. 
극적인 포인트를 잡아 변화를 정리하고 농축해서 
한 편의 이야기로 만든다. 빼어난 이야기로 우리는 
자신을 표현하고, 핵심을 빠르게 전달할 수 있다. 
우리는 이야기로 자신을 정리하고, 이야기로 
다른 사람에게 자신의 도드라지는 
개성을 알린다. 


- 양자오의《이야기하는 법》중에서 -


* 길가메쉬 서사시.
기록된 가장 오래된 이야기입니다.
그리스 신화, 유대인 탈무드도 이야기입니다.
지금도 이야기는 탄생되고 있습니다. 저와 여러분의 
삶과 생각과 경험에 상상이 결합되고, 여기에
이야기를 만드는 기술이 더해지면 새로운
서사시와 신화가 탄생할 수 있습니다.
사람은 누구나 이야기의
주인공입니다. 


반응형

'생활의 발견 >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름다운 세상  (0) 2020.05.04
아침 건강관리 기술  (0) 2020.05.04
임진왜란과 조선 백성들  (0) 2020.04.29
공전과 자전  (0) 2020.04.27
주체적인 삶  (0) 2020.04.26
반응형


남들에게 의존하는 성향은 우리를 노예로 만든다.
특히 자기 존중의 경우에 그렇다.
만인의 격려와 칭찬을 받아야 직성이 풀린다면,
이는 만인을 자신의 심판관으로 삼는 것과 같다.
- 프리츠 펄스, 정신과 의사

유대교에는 ‘내가 내 인생을 살아가지 않는다면
아무도 대신 살아주지 않는다'는 가르침이 있습니다.
남이 나를 어떻게 볼지 전전긍긍하다가는 내 인생을 살아갈 수 없습니다.
남의 눈을 의식하지 않고 내 인생을 살아가기 위해서는
칭찬의 함정에서 벗어날 수 있어야 합니다.
미움 받을 용기도 필요합니다.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