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반응형

화가 날 때는
잠깐 행동을 멈추어야 한다.
그리고 생각을 해야 한다. 한걸음 물러서서
자기의 감정과 자신을 분리하면 분노에 사로잡힌
자신의 모습에 부끄러움을 느낀다.
그러면 스스로 자제하게 된다.


- 조윤제의《하루 한 장 고전 수업》중에서 -


* 참 어려운 것이
화를 다스리는 것입니다.
화를 참지 못하고 터뜨리는 것도,
화를 억지로 참는 것도 문제입니다.
이때 꼭 필요한 것이 잠깐멈춤입니다.
화가 날 때는 일단 멈추고 깊은 호흡을
몇 차례 하면 고비를 넘길 수 있습니다.
스스로 부끄러운 모습을 보는 일도
없게 됩니다.

반응형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삶을 풀어나갈 기회  (0) 2022.12.12
나이가 든다는 것  (0) 2022.12.09
파워냅(Power Nap)  (0) 2022.12.07
말보다 빠른 노루가 잡히는 이유  (0) 2022.12.06
적재적소의 질문  (0) 2022.12.06
반응형

현재의 자기와 이웃의 처지를 비교하는 것은 무의미한 짓이다.
비교는 마침내 자기 몫의 삶마저
스스로 물리쳐 버리는 거나 마찬가지의 불행을 가져온다.
각기 삶의 조건과 양식이 다른데 어째서 남과 비교하려 하는가.
비교는 좌절감을 가져오고, 시기심을 불러일으킨다.
부질없는 비교는 배움을 저해하고, 두려움만을 키운다.
- 법정 스님



이어지는 내용입니다.
“사람은 저마다 이 세상에서 단 하나밖에 없는 독창적인 존재다.
사람마다의 조건이 다르고 삶의 양식이 다르며, 그릇이 다르다.
자신의 빛깔을 지니고 진정으로 자기 자신답게 살아가는 사람은
무엇보다도 먼저 자신의 삶을 남과 비교하지 말아야 한다.”

 

 


자신의 삶을 남과 비교하지 말아야 한다.

반응형
반응형

내가 비로소
깨닫게 된 것이지만,
아이에게 그냥 뭔가를 가르치는 것보다
소크라테스에 관한 소소한 일화들을 들려주는
것이 훨씬 더 큰 효과가 있었다. 그런 일화들은
현명하게 산다는 것이 무슨 의미인지를
아이가 스스로 생각해 보도록
자극을 주었다.


- 도널드 로버트슨의《로마 황제처럼 생각하는 법》중에서 -


* 모든 아이를
소크라테스로 키울 수는 없습니다.
그러나 그에 관한 소소한 일화들을 들려줄 수는
있습니다. 그 소소한 일화가 아이들의 지적 감각을
일깨워 보다 더 현명하게 키워낼 수 있습니다.
말로 가르치는 것보다 삶으로 보여줌으로써
스스로 깨달아 알게 하는 것이
진정한 스승입니다.

반응형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행복한 미래로 가는 길  (0) 2022.11.09
지금 당장!  (0) 2022.11.08
몸으로 읽는다  (0) 2022.11.07
심각성  (0) 2022.11.07
'적정 긴장'  (0) 2022.11.03
반응형

우리는 혼돈 및 불확실성과 사는 법을 배워야 하고,
그것에 편안해지는 법을 배워야 한다.
확실성이 없는 곳에서 확실성을 찾지 말아야 한다.
인생은 흘러간 다음에야 제대로 이해할 수 있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는 미리 내다보고 살 수밖에 없다. 그렇게 하려면 불확실성 속으로 걸음을 내딛고,
그런 다음에 그 불확실성 속에서 우리 스스로 안정감의 영역을 만드는 수밖에 없다.
- ‘미래를 다시 생각한다’에서


'사과는 예측하지 못한 순간에 우리 앞에 떨어지지만
당신이 직접 과수원에 가서 나무를 약간 흔들어 준다면
사과가 떨어질 가능성은 더욱 많아지게 됩니다.' (찰스 헨디)
안정 보다는 혼란 속에서 편안함을 느낄 수 있어야
살아남는 조직의 영광스런 대열에 낄 수 있습니다.

반응형
반응형

신제품 출시에 있어 스스로 설정한 시간 목표를 맞춘 회사와
그 보다 6개월 뒤진 회사 사이에는 실적이 8배 차이가 났다.
일단 차이가 발생하게 되면, 그 차이를 따라잡기는 지극히 어렵다.
일단 뒤진 측에서 계획보다 자금을 50% 더 투자하면서 선발주자를 따라잡으려 해도
처음에 발생한 차이가 다 없어지지는 않았다.
- 맥킨지 보고서


속도경영의 중요성이 더욱 커지고 있습니다.
정확성은 희생하더라도 더 빨리 움직이는 것만이 살길이 되는 경우도 많습니다.
그러나 속도와 바꿀 수 없는 것도 있습니다. 윤리, 정도경영, 고객가치등이 그것입니다.
속도와 핵심가치 둘 다 지켜갈 수 있도록
멈추지 않고 끝없이 단련을 해나가는 조직만이 생존할 수 있습니다.

반응형
반응형

얼마전
대구 위성 도시 경산에서
15세 소년이 왕따를 당하다가 아파트 옥상에서
투신했습니다. 유서도 공개되었습니다. 옥상에서
뛰어내리기 직전에 적었습니다. 왕따당한 사실을.
그리고 가족에게 미안하다는 말을 적었습니다.
그리고 마지막 두 마디.
"나 목말라. 물 좀 줘."


- 임재양의《의사의 말 한 마디》중에서 -


* 모든 비극에는
반드시 전조가 있습니다.
작지만 절박한 비명 소리.
왕따 당한 소년에게는 '목마르다'는
외마디 소리가 비극을 알리는 전조였습니다.
작지만 절박한 비명소리를 서로 놓치지 않는 것,
그것이 진정한 사랑이고 소통입니다.  
더 좋은 것은 자기 내공을 키워
스스로 강해지는 것입니다.

반응형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생이 우울하기 때문에  (0) 2022.07.28
꾸준히 해야 바뀐다  (0) 2022.07.27
'제가 맡아 키우겠습니다'  (0) 2022.07.25
지금, 여기, 찰나의 삶  (0) 2022.07.25
다른 사람을 뜨겁게  (0) 2022.07.22

+ Recent posts